• 제목/요약/키워드: 땅콩나물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37초

땅콩나물 분말 첨가가 대두요구르트의 품질 및 항산화능에 미치는 영향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Effects of Peanut Sprout Soybean Yogurt)

  • 김재용;권순재;강혜인;이주혜;강점순;서권일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99-206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땅콩나물 분말을 다양한 농도(0, 0.5, 1.0, 2.0, 3.0%)로 첨가한 요구르트의 품질 특성 및 항산화활성 측정을 실시하였다. 요구르트의 발효 중 pH는 발효시간 및 땅콩나물 분말 첨가량에 의존하여 감소한 반면, 적정산도는 발효시간 및 땅콩나물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산도가 증가하였고 요구르트의 명도는 감소하였으며, 황색도 및 적색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땅콩나물 요구르트의 당도는 땅콩나물 분말 첨가량에 의존하여 증가하였으며,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감소하였다. 한편, 요구르트의 점도는 발효시간과 땅콩나물 분말 첨가 농도가 증가할수록 높아졌으며, 첨가군의 유산균수는 대조군에 비하여 높게 측정되었다. 땅콩나물 요구르트의 관능평가에서는 질감에 대한 선호도를 제외하고 향미, 색, 맛 및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0.5 및 1.0% 땅콩나물 분말 첨가군에서 다른 첨가군보다 높은 선호도를 나타내었다. 요구르트의 항산화활성은 1.0% 이상 땅콩나물 분말 첨가하였을 때 유의적으로 항산화활성이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요구르트를 제조 시 땅콩나물 분말의 첨가는 산 및 유산균과 같은 품질특성을 증가시키고, 항산화 효과와 같은 기능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1.0% 농도의 땅콩나물 첨가는 땅콩나물 대두 요구르트 제품 개발시 기능성 및 기호도 향상에 가장 적합한 조건으로 이용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땅콩나물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Effects of Peanut Sprout Extracts)

  • 강혜인;김재용;권순재;박경욱;강점순;서권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7호
    • /
    • pp.941-946
    • /
    • 2010
  • 땅콩나물을 기능성식품 소재로 활용하기 위하여 충북, 경북, 전북, 중국 및 베트남산 땅콩 및 이들을 9일 동안 발아시킨 땅콩나물 메탄올 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과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땅콩나물 추출물은 땅콩 추출물에 비하여 폴리페놀 함량이 높았으며, 특히 경북 땅콩나물 추출물에서 20.4 mg/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9일간 발아시킨 땅콩나물 추출물은 모두 땅콩 추출물에 비하여 그 활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경북 땅콩나물 추출물의 활성이 $200\;{\mu}L/mL$ 농도에서 37.68%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환원력의 경우도 이와 유사한 경향이었다. 경북 땅콩나물에서 잎, 줄기 및 뿌리의 부위별 추출물에 대한 수소공여능을 측정한 결과 잎 추출물의 활성이 가장 높았으며, 그 활성은 $200\;{\mu}L/mL$ 농도에서 90%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ABTS radical 및 $\beta$-carotene bleaching 활성 모두 줄기나 뿌리 추출물에서의 활성보다 잎 추출물에서 우수하였다. 경북 땅콩 및 땅콩나물의 resveratrol 함량의 분석한 결과 땅콩나물에서의 그 함량이 $15.05\;{\mu}g/g$로서 땅콩에서의 $1.42\;{\mu}g/g$에 비하여 그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고려해볼 때 땅콩나물을 항산화 기능을 함유한 기능성식품 소재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땅콩나물의 레스베라트롤 함량 및 영양성분 분석 (Resveratrol Content and Nutritional Components in Peanut Sprouts)

  • 강혜인;김재용;박경옥;강점순;최명락;문광덕;서권일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384-390
    • /
    • 2010
  • 땅콩나물을 기능성 식품 소재로 사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발아율, 레스베라트롤 함량 및 영양성분을 분석하였다. 원산지별 땅콩 종자의 발아율은 다른 원산지 땅콩 보다 경북산 땅콩의 발아율이 가장 높았다. 레스베라트롤 함량은 땅콩보다 땅콩나물이 높았으며, 특히 경북산 땅콩나물에서 그 함량이 $15.5{\mu}g/g$ 으로 가장 높았다. 한편 경북산 땅콩나물의 부위(잎, 뿌리 및 줄기)별 레스베라트롤 함량을 측정한 결과 잎에서 그 함량이 $24.89{\mu}g/g$ 으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뿌리에 $12.66{\mu}g/g$ 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줄기부분에는 레스베라트롤이 검출되지 않았다. 경북산 땅콩나물의 일반성분은 건물을 기준으로 수분함량은 6.69%, 조단백질 35.58%, 조지방 33.08%, 조회분 2.96% 및 탄수화물 21.69%를 함유하였다. 땅콩나물은 땅콩에 비하여 조단백질 함량은 많았고, 조지방 함량은 적었으나, 무기질 함량은 거의 차이가 나지 않았다. 땅콩나물의 아미노산 함량은 땅콩에 비하여 높았으며, asparagine이 834.54 mg/100 g 으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땅콩에서는 myristic acid 와 palmitic acid와 같은 포화지방산들이 주로 검출되었으며, 땅콩나물에서는 oleic acid 및 linoleic acid와 같은 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이 각각 31.19 및 39.24 g/100 g로 높게 나타났다.

땅콩나물 추출물이 남성갱년기 증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eanut Sprout (Arachis hypogaea L.) Extract on Partial Androgen Deficiency in Aging Males (PADAM))

  • 성혜미;위지향;정현정;김윤희;문주명;전우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11호
    • /
    • pp.1571-1579
    • /
    • 2016
  • 본 연구는 땅콩나물 열수 추출물이 남성 갱년기 관련 증상인 전립선 비대증과 발기부전에 대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phosphodiesterase(PDE) 저해 효과, 5-alpha reductase 활성 억제능, RAW264.7 세포에서 NO 함량 측정 및 TM3 세포에서 testosterone 함량을 측정하였다. 땅콩나물 추출물은 높은 PDE 저해능을 확인되었다. 또한, 5AR2 활성을 억제하였다. 전립선 비대와 관련된 염증에 대한 영향으로 RAW264.7 세포에서 lipopolysaccharide에 대한 NO 함량 억제능을 확인한 결과 땅콩나물 열수 추출물에 의해 NO 생성이 억제되었고 염증 인자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M3 세포에서 과산화수소로 유도된 산화적 손상에서는 땅콩나물 추출물 처리 시에 높은 세포보호능을 보였으며, 땅콩나물 추출물에 의해 testosterone 함량도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땅콩나물 열수추출물은 5AR2 억제 활성을 증대시키고 항염증 효과가 전립선 비대증의 유발을 억제시킬 수 있다는 선행연구로 볼 때 땅콩나물 추출물은 전립선 비대 유발에 직접 관계된 효소와 유전자를 제어함과 동시에 항염증 효능을 가짐으로써 전립선 비대 증상 개선에 매우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땅콩나물 추출물은 PDE 활성을 저해함으로써 발기부전 증상을 완화시키고 고환 내 세포의 산화적 스트레스를 완화하며, testosterone과 같은 호르몬 합성을 증가시켜 전립선 비대증 외에 발기부전 및 호르몬 저하로 인해 발생하는 남성갱년기 증상에도 효과를 보일 것으로 기대된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땅콩나물 열수 추출물은 전립선 비대를 비롯한 남성갱년기 증상을 완화시키는 기능성 소재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땅콩나물용 품종선발과 고함량 레스베라트롤 생육단계 구명 (Cultivar Selection for Peanut Sprouts and Investigation on the Growth Stage for the High Level of Resveratrol)

  • 박은지;이규빈;허유;손병구;최영환;이용재;박영훈;임채신;강점순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63-68
    • /
    • 2015
  • 땅콩나물의 재배에 적합한 온도와 품종, 그리고 최적 레스베라트롤 생산을 위한 생육단계를 구명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땅콩나물용 적정품종을 선발하고자 8가지 국내외 육성품종의 외형적 특징, 발아율, 발아세, 유묘활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소비자의 요구를 반영하여 세근 발생량이 낮고 하배축이 굵은 '조평'이 가장 적절하였고, 땅콩나물 재배에 적합한 온도는 $27^{\circ}C$로 판단되었다. 레스베라트롤 함량이 높은 땅콩나물의 적정 생육시기를 구명하고자 치상 후 생육조사와 동시에 HPLC를 이용한 레스베라트롤 함량을 조사한 결과 레스베라트롤은 치상 후 9일차에 $17.0{\mu}g/g$ 이상의 높은 함유량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땅콩나물은 생산적 측면과 레스베라트롤의 함량을 고려했을 때 치상 후 9일차에 땅콩나물을 수확하는 것이 가장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땅콩나물 생산에서 세근발생 억제 조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uppression Condition of Lateral Root Development for Healthy Production of Peanut Sprouts)

  • 이규빈;박은지;허유;손병구;강점순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77-183
    • /
    • 2016
  • 본 연구는 고품질 땅콩나물 생산을 위해서 세근발생을 억제시키는 생장조절제의 처리 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땅콩나물의 세근발생억제제인 참시루와 6BA를 '조평'과 '베트남'땅콩에 처리하면 세근발생억제제의 처리농도가 높을수록 세근 발생수는 감소하였다. 그 효과는 6BA가 참시루보다 우수하였고, '베트남' 땅콩보다는 '조평'에서 세근발생억제 효과가 명확하였다. 참시루 및 6BA의 배양용액을 1일간 간격으로 교체하면 배양용액을 교체하지 않는 처리구에 비해 부패균 활동을 억제시켜 하배축 생장을 촉진시킨 반면 세근발생은 억제시켜 고품질 땅콩나물 생산이 가능하였다. 땅콩나물 재배의 배양용액에 $GA_3$와 참시루를 혼용하여 처리하면 땅콩나물의 생육을 향상시켰고, 적정 처리조건은 $GA_3\;50mg{\cdot}L^{-1}$ + Chamsiru $8.40mg{\cdot}L^{-1}$ 처리였다.

고품질 땅콩나물 생산을 위한 최적 재배수온 조건 확립 (Establish of Optimum Cultivation Temperature for the Production of Peanut Sprouts)

  • 이규빈;박은지;허유;손병구;최영환;이용재;박영훈;서정민;강점순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763-767
    • /
    • 2015
  • 땅콩나물 생산의 재배수온에 따른 발아성과 부패율 및 생육반응 검정한 결과 재배수온은 발아율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반면 $25^{\circ}C$의 재배수온에서는 발아율이 가장 빨랐다. $30^{\circ}C$$35^{\circ}C$의 고온에서는 부패율이 각각 2.5%와 5.4%로 증가하였다. 따라서 $30^{\circ}C$ 이상의 재배수온은 땅콩종자의 부패율을 증가시켰고, $25^{\circ}C$에서는 부패율이 크게 문제되지 않았다. 재배수온은 하배축 길이생장과 직경생장에도 영향을 주었다. 생육 7일째 땅콩나물의 하배축 신장은 $25^{\circ}C$의 재배수온에서 가장 높았고, 다음이 $20^{\circ}C$였다. 따라서 고품질 땅콩나물 생산에 적용될 수 있는 최적 재배수온은 $25^{\circ}C$였다. 땅콩나물의 레스베라트롤 최적 생산을 위한 생육온도는 생육온도별 레스베라트롤 함량에는 차이가 없었지만 수량과 품질을 감안한다면 재배온도는 $25^{\circ}C$가 적당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결과는 고품질 땅콩나물의 대량생산화를 구축하는 근간이 될 것이다.

땅콩나물 뿌리 추출물의 세포 보호 효과 (Cellular Protective Effects of Peanut Sprout Root Extracts)

  • 조나래;박찬일;박채원;신동한;황윤찬;김용현;박수남
    • 공업화학
    • /
    • 제23권2호
    • /
    • pp.183-189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땅콩나물 뿌리 추출물의 세포보호 작용 및 항산화능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Rose-bengal로 증감된 사람 적혈구의 광용혈에 대한 땅콩나물 뿌리 추출물의 세포 보호 효과를 측정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 분획(5~50 ${\mu}g/mL$)은 농도-의존적으로 세포보호 효과를 나타냈으며, 특히 아글리콘(aglycone) 분획은 5~50 ${\mu}g/mL$의 농도 범위에서 현저한 세포보호 활성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땅콩나물 뿌리의 모든 분획은 지질 과산화 연쇄반응의 차단제인 (+)-${\alpha}$-tocopherol보다도 효과적이었다. Luminol 화학발광법을 이용한 $Fe^{3+}$-EDTA/$H_2O_2$ 계에서 생성된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에 대한 땅콩나물 뿌리 추출물의 활성산소 소거활성을 측정하였다. 추출물 중 에틸아세테이트 분획($OSC_{50}$; 1.59 ${\mu}g/mL$)은 강력한 항산화제로 알려진 L-ascorbic acid (1.50 ${\mu}g/mL$)와 비교할 때 유사한 활성산소 소거활성을 보여주었다. 반면에, free radical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소거활성($FSC_{50}$)의 크기는 (+)-${\alpha}$-tocopherol > 80% MeOH 추출물 > 아글리콘 분획 >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순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은 땅콩나물 뿌리 추출물이 $^1O_2$ 및 다른 활성산소종을 소거하고 활성산소종에 대항하여 세포막을 보호함으로써 생체계, 특히 태양 자외선에 노출된 피부에서 항산화제로써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땅콩나물 추출물의 신경세포 보호 효과 (Neuroprotective Effects of Methanolic Extracts from Peanut Sprouts)

  • 김현정;강점순;박해룡;황용일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53-259
    • /
    • 2010
  • 본 연구는 땅콩나물 추출물이 glutamate가 유도하는 세포독성으로부터 신경세포를 보호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땅콩나물을 부위별로 전체, 머리, 줄기 부분으로 나누어 methanol로 처리하여 얻어진 각각의 추출물 WME, HME 그리고 SME를 이용하여 glutamate에 의하여 유도된 세포독성에 대한 신경세포보호효과를 관찰하였다. 기지의 신경세포 N18-RE-105 세포주를 이용하여 MTT reduction assay, LDH release assay, 형태학적인 변화 및 apoptosis를 관찰한 결과로부터 HME에서 효율적인 신경세포보호효과를 보였다. 다음으로 HME를 이용하여 hexane, diethyl ether, ethyl acetate, water 층으로 분획하여 신경세포 보호 효과를 확인한 결과, diethyl ether 층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HME의 apoptosis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flow cytometric analysis를 실시한 결과에서 glutamate 만을 처리하였을 경우 sub-G1기 세포가 58.5%의 확인되었으나 HME를 100 mg/ml 동시 처리하였을 때에는 sub-G1 세포가 9.1%로 감소하여 높은 apoptosis 억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땅콩나물 머리 부분 methanol 추출물에는 glutamate에 의한 세포독성으로부터 신경세포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땅콩 품종을 이용한 싹나물 특성 평가 (Evaluation of Characteristics of Peanut Sprout Using Korean Cultivars)

  • 배석복;하태정;이명희;황정동;심강보;박장환;박금룡;백인열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6권4호
    • /
    • pp.394-399
    • /
    • 2011
  • 땅콩의 새로운 수요개발을 위해 국내 육성품종 37종에 대한 땅콩 싹나물 비교시험을 통하여 싹나물에 적합한 우량품종을 선발하고 생육형질 상호간의 관계를 조사여 싹나물 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시험에 이용한 각 품종의 100립중은 조광 56 g에서 호광 142 g까지 넓게 분포하였다. 전체품종의 하배축길이는 팔광 4.3 cm에서 대신 5.8 cm 분포하고 평균 5.1 cm였으며 하배축의 직경은 평균 6.9 mm 미광 5.0 mm에서 대청 8.0mm까지 걸쳐 분포하였다. 뿌리길이는 대청 11.1 cm에서 미광 20.6 mm에 분포하였으며 평균 14.6 cm이였다. 상배축의 길이는 평균 1.8 cm로서 대풍 0.8 cm에서 미광 4.6 cm에 걸쳐 분포하였다. 미광은 하배축이 가늘고 짧으며, 상배축과 뿌리가 가장 길었고 기능성 성분 resveratrol 함량($88.2\;{\mu}g/g$)도 높았다. 중소립종 조광은 하배축의 길이(5.0 cm)가 짧은 편이나 하배축 직경(7.8 mm)은 통통하고 싹나물의 크기가 균일하며 수율은 820%로 가장 높았으며 특히 깨끗한 외관 품질을 가져 땅콩 싹나물로 적합한 특성을 가졌다. 땅콩 싹나물 형질 상호간의 상관관계에서 땅콩 종자의 100립중은 싹나물의 resveratrol함량, 성묘율, 수율과는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묘중, 곡묘 하배축 개열성과는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또한 싹나물 뿌리 길이는 상배축의 길이, resveratrol 함량, 수율과는 정의 관계를 나타내고 하배축 직경과 개열성과는 부의 관계를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