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독서공간

검색결과 79건 처리시간 0.029초

농산어촌지역의 학교도서관 인식에 대한 연구 (A Study of the Perception of the School Libraries in the Rural Area)

  • 곽철완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83-202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농산어촌 지역에 학교도서관을 설치하여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농산어촌 지역의 학교도서관을 담당하는 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학교도서관 운영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는데 있다. 사용된 연구방법은 설문지법과 면담법이 사용되었다. 조사결과 농산어촌 학교도서관의 역할은 독서교육 공간과 학생들의 문화 및 여가활용 공간으로 나타났다. 특히 학생들이 사회생활에 필요한 견문을 넓히는 공간으로 다양한 정보매체 활용을 위한 공간을 강조하였다. 또한 농산어촌의 학교도서관은 지역주민과 결합된 문화공간의 기능을 강조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연성 있는 도서관 운영시간, 학업능력 향상 프로그램 교양능력향상 프로그램, 문화공간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어린이도서관의 공간특성과 이용행태에 관한 이용자 인식조사 (Survey on the User's Recognition about Spatial Characteristics and User Behaviors in the Children's Library)

  • 강미희;홍현진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253-277
    • /
    • 2012
  • 이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도서관의 공간특성과 이용자의 행위특성을 규명하고, 이용행태에 따른 공간특성의 선호도 차이를 실증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전국에 분포한 16개 어린이도서관을 표집기관으로 선정하고, 영유아, 저학년, 고학년 이용자를 대상으로 661부의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간특성과 이용자특성간의 관계에서 연령,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는 반면, 발달단계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둘째, 공간특성과 이용행태와의 관계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구체적 내용은 다음과 같다. 방문목적: 독서목적의 이용자는 쾌적성과 편안함을 선호하는 반면 비독서목적의 이용자는 소통성과 영역성을 선호하였다. 방문형태: 단독방문보다 동반방문시 다양성, 편안함, 소통성을 더 선호하였다. 활동패턴: 동적활동의 이용자보다 정적활동의 이용자가 다양성을 더 선호하였다. 이용빈도: 방문횟수가 증가할수록 심미성, 역동성, 융통성, 휴식성, 소통성, 영역성에 대한 선호도는 증가하는 반면 안전성에 대한 선호도는 감소하였다. 체류시간: 체류시간이 길수록 다양성, 자존감, 편안함, 역동성, 융통성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다.

청소년의 공공도서관 이용만족도 분석 및 서비스 발전 방안 연구 - 서울특별시교육청 도서관·평생학습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Analyzing Adolescents' User Satisfaction Survey and Suggesting Service Development Plan: Focusing on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Library)

  • 이혜원;장선화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397-417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22개 서울특별시교육청 도서관·평생학습관(서울시교육청 도서관)에 대한 청소년의 만족도 실태를 파악하고 불만족 요인을 개선해 청소년을 위한 정보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고 궁극적으로는 서울시교육청 도서관의 청소년 이용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디지털 시대로의 전환기에 독서 매체의 변화가 불가피해지는 상황을 고려하여 전자도서관 이용실태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고 새로운 정보기술을 반영한 독서 프로그램 기획, 전자책 서비스 범위 및 시스템 개선, 학교도서관과의 연계, 공간 재구조화 등을 제안하였다.

공공도서관 공간에 대한 청소년의 인식 및 요구 분석 (A Study on the Young Adult's Perceptions and Needs towards the Public Library Space)

  • 지선;장윤금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461-480
    • /
    • 2017
  •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공간에 대한 청소년의 인식, 이용 및 요구 사항을 알아보고 향후 공공도서관의 효율적인 청소년자료실 공간구성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청소년자료실이 별도로 설치된 공공도서관 두 곳을 선정하여 중 고등학생 이용자 12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전체 응답자의 86.5%가 청소년자료실을 이용하며, 주요 이용목적은 여가독서, 개인학습, 정보이용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설문 응답자의 64.8%는 청소년자료실 별도 설치를 중요 이유로 대답하였다. 청소년자료실에서 가장 개선해야 할 점으로 열람석 확대, 정보활용기기 이용 공간 부족, 휴게 공간 부족, 그룹학습 및 모임 공간 확대 등이 나타났다. 이를 통해 청소년 요구를 반영한 공간구성 정책 마련, 물리적 시설 및 청소년서비스가 균형을 이룬 도서관 환경 조성, 열람석 확충을 위한 자료실 개방시간 연장, 다른 공간의 유연성 있는 열람 공간 활용 등의 공공도서관의 공간 활용 방안을 제안하였다.

디지털 출판물 유통 플랫폼 개념설계에 관한 연구 - 사회적 협동조합형 비즈니스 모델 - (Conceptual Design on the Marketing Platform for E-Books - The Business Model on the Notion of Social Cooperative -)

  • 정준민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33-55
    • /
    • 2019
  • 납본시스템 기반의 유통 플랫폼을 설계하였다. 도서관이 출판플랫폼이어야 한다는 기존 논문의 완결작업으로 국립중앙도서관의 납본 시스템과 연계하여 전국의 도서관망을 체계적으로 묶은 전자책 유통 플랫폼이다. 목적은 전자책을 하나의 유통 공간으로 묶어내고 자연스럽게 독자를 규합함으로써 국내 출판사, 저자, 서점 및 다양한 출판/구독 서비스를 수행중인 플랫폼들의 가상 플랫폼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함이다. 전제를 전자책의 판매가 아닌 임차 개념이지만 이와 무관하게 플랫폼은 유효하다. 뿐만 아니라 플랫폼을 출판/독서와 연관된 모든 구성원의 이익을 대변하기 위하여 사회적 협동조합의 형식을 취하였다. 납본시스템 기반의 유통 플랫폼은 현실과 타협한 가장 이상적인 비즈니스 모델이다. 개념적 (Conceptually)으로는 출판 콘텐츠 관련 산업의 서비스는 독립적으로 운영되면서 협동공간인 납본시스템으로부터 모든 콘텐츠가 공급되는 모형이며 기술적(Technically)으로는 중앙의 전자책 데이터베이스가 모든 콘텐츠의 흐름을 장악하지만 가상적 (Virtually)으로 출판 콘텐츠 관련 산업이 그 흐름을 제어하는 형식을 취한다.

복합문화기관으로서 도서관의 공간 구성 연구 (A Study on the Space Composition of Library as a Multicultural Institution)

  • 곽승진;노영희;신재민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7-25
    • /
    • 2017
  • 도서관의 공간에 관한 문제는 오래전부터 도서관계와 건축, 공간디자인 분야 등 다양한 측면에서 논의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첨단 기술의 발전과 사회적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라 도서관의 복합공간의 개념 변화를 살펴보고 각각의 사례를 분석하여 미래 도서관의 복합공간 구축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도서관 건축과 공간의 문제로 제시된 복합공간의 주요 이슈인 미디어테크, 인포메이션 커먼스, 라키비움과 최근에 도서관에 도입되고 있는 메이커스페이스 등 모든 개념이 중요한 요소이다. 미래의 도서관은 이러한 개념을 반영하여 독서와 정보, 학습, 휴식, 커뮤니티 중심에서 문화와 창작, 창업과 협업을 지원하기 위한 정보와 사용자, 사용자와 사용자, 사용자와 미디어를 서로 연결하는 매개의 역할을 통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복합 공간 플랫폼으로 건립되어야 할 것이다.

어린이 도서관의 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어린이의 연령 단계별 공간이용 실태를 중심으로 (A Study on Spatial Planning of Children's Library: Focused on the Aspect of Space Use According to the Age Step of Children)

  • 이정미;곽철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177-198
    • /
    • 2005
  • 본 연구는 다양한 연령층의 이용자를 서비스대상으로 하는 어린이 도서관 및 어린이실의 공간계획을 위한 기초적 데이터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체류자 점유조사와 행동관찰조사를 통하여 서로 다른 공간유형을 갖는 4개의 어린이실의 어린이와 동반가족을 대상으로 데이터를 수집하여 이를 공간구성의 특성에 비추어 분석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조사 결과를 크게 다섯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도서관의 입지 조건과 이용자 속성이 어린이실 면적 규모를 결정하는데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둘째, 어린이실에는 어린이 이외의 다양한 연령층이 이용하고 있었다. 셋째, 어린이는 연령 단계별로 서로 다른 행동 패턴을 나타내고 있었다. 넷째, 각 영역별로 다양한 독서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가족, 형제 및 친구와 같은 그룹 이용과 단독 이용에 의해 선택되어지는 체류 장소에서 주로 보이는 행위의 내용과 공간 및 가구의 특성을 공간계획을 위한 키워드로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 PDF

충남교육청 소속 공공도서관의 공간혁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pace Innovation of Public Libraries Belonging to Chungcheongnam-do Office of Education)

  • 임정훈;오형석;이병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2권4호
    • /
    • pp.103-126
    • /
    • 2021
  • 본 연구는 충청남도교육청 소속 19개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교육·문화복합공간으로서의 도서관 재구조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외 공공기관 복합화 시설의 사례 조사, 이용자 설문조사 등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미래 공공도서관이 갖추어야 할 공간으로 배우는 공간(종합자료실, 테마 자료 탐구실, 미래교실, 블렌디드 러닝센터, STEAM 교육실, 원격강의학습실), 표현하는 공간(포이어, 메이커 룸, 디지털 매체 창작실, 원격강의제작실), 나누는 공간(동아리·모둠학습실, 웰빙 복합문화공간, 생활·편의공간, 휴게실·브라우징), 즐기는 공간(퍼포먼스·생각 놀이터, 유아·어린이 자료실, 디지털 가상체험실, 특화 알코브실, 야외독서실) 등으로 구분하여 공간 재구조화 전략을 제시하였다. 또한, 건축 규모, 장서 규모, 서비스 및 공간 수준 등을 고려하여 선도모형, 기본모형, 이음터 모형, 최소모형 등 도서관별로 특화된 교육청 소속 공공도서관의 재구조화 모형을 제안하였다.

대구 시민의 공공도서관 인식 조사연구 (A Survey of Citizens' Perceptions on Public Libraries in Daegu Metropolitan City)

  • 윤희윤;오선경;이재민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99-124
    • /
    • 2016
  • 어느 지역이든 공공도서관이 생활밀착형 지식정보서비스 기관, 문화향유 및 평생학습 공간으로 자리매김하려면 서비스 대상인구에 대한 인식조사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대구 시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방식을 적용하여 공공도서관의 비중과 중요성, 이용실태와 비이용 이유, 독서프로그램 참여 및 비참여 이유, 도서관 확충(신설) 요망지역 등에 대한 인식을 조사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국내외 관련 연구, 관계법령, 국민 독서실태조사, 전국문화기반 시설 총람, 대구시민 의식조사, 대구 도시브랜드 시민의식 조사, 광역시도 및 대구시 기초자치단체의 공공도서관 현황 등과 비교하여 대구시 공공도서관의 인프라 충실화 및 이용제고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용자 생성 도서정보 태그에 기반한 소설 검색의 패싯 유형 개발 (Developing Facets for Fiction Retrieval Based on User-generated Book Tags)

  • 심지영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225-249
    • /
    • 2020
  • 본 연구는 소설 검색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도서태그로부터 소설 이용자가 소설 탐색 상황에서 요구하는 다양한 패싯 요소를 식별하고 체계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소설의 기본 패싯 체계를 랑가나단의 PMEST 기본 패싯에 기반하여, 1) 소설 자료를 형성하는 주체, 2) 소설을 구성하는 내용적, 외형적 성질, 3) 독자가 책과 상호작용하는 행위, 4) 소설 및 독서활동과 관련된 공간 정보, 5) 소설 및 독서활동과 관련된 시간 정보로 정의하고, 소설 7,174건에 부여된 약 31만 건의 태그 중 핵심 태그 3,730건을 선별하여 내용분석하였다. 그 결과, 소설 패싯의 상위범주 25개를 중심으로 다양한 속성을 체계화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도서관 OPAC이나 소설 DB에 패싯 내비게이션 형태로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