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도약현상

검색결과 58건 처리시간 0.026초

Teager 에너지를 이용한 GPS 위성 시계 도약 검출 (Detection of GPS Clock Jump using Teager Energy)

  • 허윤정;조정호;허문범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58-63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GPS 위성시계의 갑작스런 주파수 도약이 발생하였을 때 이를 즉시 검출할 수 있는 기법을 제시한다. GPS 위성은 정밀 위치와 시각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원자시계를 장착하고 있으나, 위성 원자시계는 장기적으로는 이차 함수의 형태를, 단기적으로는 주기가 일정치 않은 주기함수의 형태를 보이면서 가끔씩 신호에 갑작스런 도약 현상이 발생한다. 위성 시계의 이상 현상은 GPS 측정치에 큰 오차를 수반하기 때문에, 실시간 정밀 위치 응용분야에서는 위성시계 이상 신호를 즉시 검출할 수 있는 기법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다양한 신호처리 분야에서 특정한 신호를 검출하는데 활용되고 있는 Teager 에너지를 적용하였으며, 그 결과 시계 도약 현상을 효과적으로 검출할 수 있었고, 일반적인 위성시계 도약 검출 기법과의 비교를 통해 제시한 기법의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적응형 주파수도약 시스템의 간섭신호 제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terference Cancellation of Adaptive Frequency Hopping System)

  • 조현섭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396-401
    • /
    • 2017
  • 본 논문은 블루투스와 다른 장치를 연결하였을 때 블루투스와의 간섭 현상에 대한 해결 방안을 제시한다. 랜덤 주파수 도약 기법은 무선랜 간섭을 고려하지 않고 블루투스 전체 채널을 이용하여 도약 패턴을 생성하는 기법이다. 제안된 적응적 주파수 도약 기법은 블루투스의 주기적인 캐리어 센싱을 통해 무선랜 간섭을 고려하여 블루투스 채널의 도약 패턴을 생성하는 기법이다. 모의실험을 통해 무선랜 간섭이 혼잡한 상황에서도 블루투스 캐리어 센싱 간격이 줄어들수록 적응적 주파수 도약 기법을 사용하면 패킷 오류율이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주파수 도약 기법은 적응적 주파수 도약 기법 대비 평균 패킷 오류율은 약 13%의 성능 향상이 있었다.

진자 시스템에서의 새로운 도약 현상의 실험적 관측과 이론적 해석 (Experimental Observation of New Jumping Phenomena in the Pendulum System and Its Analytical Approach)

  • 최동준;정완섭;김수현
    • 소음진동
    • /
    • 제6권4호
    • /
    • pp.439-446
    • /
    • 1996
  • This paper introduces a newly designed pendulum system that enables the more accurate boservation of dynamic behaviour arising from both horizontal and vertical(i.e. two dimension) excitation. First,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examine the frequency responses of the devised pendulum system. Interestingly, experimental results for the three excitation angles of 22, 32 and 48 degree show 'new' jump phenomena. For the further understanding of these phenomena, experimental investigationhas been made to identify the equation of motion of the pendulum system from experimental data. This attempt has revealed that the viscous, coulomb and aerodynamic damping factors are involved in the equation of motion. By applying the Ritz averaging method to the equation, it becomes apparent that the jumping phenomena of the pendulum system in this work is more theoretically understood.

  • PDF

Manufacturing Progress with Embodied Technological Change

  • Shin, Dong-Wook
    • 기술혁신연구
    • /
    • 제1권1호
    • /
    • pp.84-99
    • /
    • 1993
  • 오래도록 생산성향상곡선 (또는 학습곡선), 생산함수, 그리고 대체곡선 등은, 서로 관련이 없는 별개의, 그리고 순전히 경험적인 (empirical) 현상들인 것들로서 이해되어 왔었다. 그러나 1980년대 중반에 발표된 Muth 교수의 탐색이론 (Search Theory)의 생산성향상곡선에서 관찰된 제반현상들을 모두 설명함으로써 이들 현상은 하나의 통합이론체계에 의하여 일관되게 설명되게 되었다. 이 이론의 초기형태는 그 보편성을 구속하는 네 가지 가설 위에 설립되었었으나 점차적으로 이들 가설들이 완화되면서 (relaxed) 이 이론은 또한 해독 력에서 뿐만 아니라 일반성에 있어서도 계속 강화되어 왔다. 본 논문의 목적은, 이들 네 가지 가설들 중 유일하게 아직 완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제 현상과 다분히 유리된, 두 번째 가설, 즉$\ulcorner$생산성향상을 위한 탐색과정에서 새로이 발견된 개량 신기술 (또는 생산방식) 은 즉각적으로 채택될 것$\lrcorner$이라는 가설을 완화함으로써, 보다 현실에 대한 해석력과 일반성 면에서 개선된 모델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제시된 모델은 Muth 교수의 탐색이론모델에 두가지 변수를 더함으로써 확장하여 만든 모델이다. 이 두 변수는 신기술의 채택 (또는 획득)을 위하여 지불하여야 하는 투자비변수와 탐색과정을 통하여 발견은 되었으나 아직 채택은 되지 않은, 유보상태 신기술의 운영비용 변수(또는 수익성변수)등이다. 이 모델의 내용은, 생산성향상은 신기술이 구현된 (embodied) 장비 (equipment)를 사용함으로써 실현되며, 따라서 창의적 활동의 이득은 이들 장비에 대한 투자행위로서 실현된다는 것이다. 이 모델은 보다 나은 신기술이 또 발견될 것이라는 기대 하에, 현재 발견된 최신기술을 채택하지 않는 투자지연현상을 예측.설명해 주며 따라서 이로 인한 기술적 비효율성의 존재이유를 제시한다. 또한 이 모델은 생산성 향상곡선의 초기굴곡현상, 정체현상, 그리고 도약현상 등을 모두 설명해 준다.

  • PDF

의사잡음 부호와 왈쉬 부호를 이용하는 초광대역 안티포달 임펄스 통신에서 전력 스펙트럼 특성 비교 (The Comparison of Power Spectrum Characteristics in Ultra Wideband Antipodal Impulse Communication using PN Code or Walsh Code)

  • 정철;김영철;이정석;조성준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3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124-127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초광대역 무선 통신에 안티포달 펄스 신호를 이용하고, 기존의 초광대역 시간도약 모노펄스 통신에서 규칙적인 펄스를 전송할 때 발생하는 전력 스펙트럼에서의 에너지 스파크 현상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의사잡음 부호와 왈쉬 부호를 사용하였을 때의 전력 스펙트럼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초광대역 안티포달 임펄스 통신에서의 두 가지 부호 방식의 이용으로 에너지 스파크 현상이 완화되고 고속의 시간도약 부호를 이용하지 않더라도 완만한 전력스펙트럼 특성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원형 외팔보의 응답에서의 비선형 현상 (Non-linear Phenomenon in the Response of Circle Cantilever Beam)

  • 김명구;이흥식;조종두
    • 한국소음진동공학회논문집
    • /
    • 제15권4호
    • /
    • pp.445-451
    • /
    • 2005
  • This paper is the result of a experimental study about non-linear one to one modal coupling of a flexible circular cantilever beam which was transversely excited with harmonic excitation. It was proved that 2 order jumping in out of plane was caused by jump phenomenon in in-plane of flexible circular cantilever beam, because of non-linear coupling. In addition, cantilever beam showed hardening spring characteristics in in-plane and softening spring characteristics in out-of-plane.

주파수도약 대역확산시스템을 위한 디지털 위상고정루프의 설계 및 성능분석 (Design and Performance Analysis of the Digital Phase-Locked Loop For Frequency Hopping Spread Spectrum system)

  • 김성철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1103-1108
    • /
    • 2010
  • 주파수 도약 대역확산시스템에서의 광대역 주파수 도약을 위해 주파수 합성기가 널리 이용된다. 이와 같은 주파수 도약 대역확산 송수신기에서의 도약 주파수를 발생시키는 주파수 합성기는 PLL에 의해 실현된다. 따라서 논문에서는 정교한 반송파 발생, 수신기에서의 반송파동기 등을 위해 널리 이용되는 디지털 위상고정루프를 설계하고 결과를 분석하였다. 디지털 위상비교기, 루프필터, DCO 등 디지털 위상고정루프를 구성하는 기본 요소를 소개하였다. 또한 구현된 각 구성요소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와 특성들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 졌다. 기준입력신호와 DCO의 출력신호의 위상차에 의한 특성을 분석하였다. 루프가 고정이 되었을 때 루프필터의 N값이 이웃하는 값 사이에서 토글되는 현상을 나타내며 이는 출력신호에 위상 지터를 초래한다. 이는 DCO의 클럭인 fc를 증가시키므로 해결이 가능하다.

연속적 라비 진동과 불연속적 양자도약의 양립성 (Compatibility of Continuous Rabi Oscillation and Discontinuous Quantum Jumps)

  • 조영탁;김기식
    • 한국광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77-86
    • /
    • 2012
  • 양자물리학적 패러다임이 발견된 이래, 라비(Rabi) 진동과 같은 전자(electron)의 에너지 준위 간 연속적인 천이(transition)와 보어(Bohr) 모형으로 대표되는 불연속적 양자 도약(quantum jump)의 상충성(incompatibility)은 현재까지도 서로 자연스럽게 연결하기가 어려운 오랜 개념적 어려움으로 남아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그러나, 빛과 물질의 상호작용을 기술하는 현대적 이론 중의 하나인 양자궤적이론(quantum trajectory theory)의 관점에서 단일 모드 공진기 장(single mode cavity field)과 상호작용하는 단일 원자의 행동을 관찰한 바, 원자-장 간 상호작용의 강도(strength)가 줄어듦에 따라서 원자의 행동이 연속적 라비 진동으로부터 불연속적 양자도약의 양상으로 점진적으로 변화하여 가는 과정을 발견하고, 이 단순하면서도 흥미로운 현상에 대하여 보고한다.

배플에 의한 개방챔버 내부 유동의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ffects of the Fluid Flow Inner the Open Chamber by Baffle)

  • 노병수;최주열;정하균;최상범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9권3호
    • /
    • pp.255-260
    • /
    • 2015
  • 플래시증발현상은 개방챔버 내의 온도, 압력, 수위 그리고 배플 등에 영향을 받는다. 이 연구에서 PIV 실험은 최적의 배플 위치와 높이에 대한 개방챔버 내의 유동특성을 확실하게 시행하였다. 배플은 개방챔버 내의 재순환 흐름, 수력 도약 그리고 유동특성에 상당한 영향을 주었다. 그리고 레이놀즈수의 영향은 미미하였다. 최적의 배플높이는 h/H=1.5였고, 최적의 배플위치는 개방챔버 내부 입구로부터 x/H=1.5부근 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