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도서관협력수업

검색결과 44건 처리시간 0.022초

국가수준의 교육과정과 연계한 정보활용교육과 도서관활용수업의 제도화 (Institutionalization of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and Library Assited Instruction Considering National Level Curriculum)

  • 이병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443-462
    • /
    • 2007
  • 본 연구는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에 정보활용교육을 위한 "도서관과 정보활용" 교과를 삽입하고, "도서관과 정보활동" 교과의 교육과정에 도서관활용수업 및 도서관협력수업에 관한 사항을 명시함으로써 정보활용교육과 도서관협력수업을 제도적으로 정착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제7차 교육과정의 교과별 교육과정에 맞춰 교과의 성격, 교과의 목표, 내용 체계, 교수-학습 방법, 평가 방법, 도서관협력체계 등 6개 항목으로 나누어 도서관협력수업을 포함한 "도서관 정보활용" 교과의 교육과정 시안을 제시하였다.

  • PDF

도서관협력수업의 통합모형 제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oposal of an Integration Model for Library Collaboration Instruction)

  • 이병기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7권4호
    • /
    • pp.25-47
    • /
    • 2023
  • 도서관협력수업은 사서교사와 교과교사가 공동으로 수업을 계획하고, 공동으로 수업을 전개하며, 공동으로 평가하는 과정이다. 도서관협력수업은 협력의 수준, 정보활동, 시간표 운영 등 다양한 차원에서 연구되고 모델이 개발되어 왔다. 그럼에도 도서관협력수업을 전체적으로 총괄하는 통합모형이 개발되어 있지 않다. 본 연구는 5가지 차원(협력수준, 정보활동, 협력접근, 시간운영, 기술통합)에서 다양한 모형을 비교·분석하여 도서관협력수업의 모형을 도식적으로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도서관협력수업 통합모형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협력수준 차원에서, 통합모형은 도서관활용 교사수업, 범 교과 통합교육과정 등을 반영하였다. 둘째, 정보활동 차원에서, 통합모형에는 정보활용과정과 더불어 사회 및 과학교과 탐구활동을 반영하였다. 셋째, 협력접근 차원에서 통합모형은 주도-관찰수업, 병렬 스테이션 수업 등으로 구분하였다. 넷째, 시간 운영 차원에서는 한국의 국가수준 교육과정과 시간표 편성 방식을 고려하였다. 다섯째, 기술통합의 차원에서, 통합모형은 PICRAT 모형을 도서관협력수업의 관점에서 수정, 반영하였다.

사서교사의 도서관 협력수업 실행의도 영향요인 연구 (Factors Affecting Teacher Librarians' Intentions to Implement Collaborative Instruction in School Libraries)

  • 김승희;박지홍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121-142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계획행동이론을 적용하여 사서교사의 도서관 협력수업 실행의도를 설명하는 것이다. 사서교사의 도서관 협력수업 실행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태도, 주관적 규범, 교사효능감 및 지각된 통제가능성을 설정하고, 사서교사 218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연구모형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사서교사 연령이 30대인 경우, 근무학교의 규모가 작은 경우, 도서관 협력수업 경험이 있는 경우에 도서관 협력수업 실행의도가 높게 나타났다. 계획행동이론에 따른 변수 중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통제가능성은 사서교사의 도서관 협력수업 실행의도에 영향을 미쳤다. 반면에 교사효능감은 도서관 협력수업 실행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개방형 문항을 활용하여 통합적으로 연구결과를 해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도서관 협력수업을 확대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PBL교과수업과 학교도서관 LAI의 연계를 위한 기술적 분석 - PBL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escriptive Analysis for Coordination of the School's Library-Aided Instruction With the Problem-Based Learning in Korea School Libraries: Focusing on PBL Cases)

  • 정종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167-185
    • /
    • 2018
  • 연구의 목적은 PBL 수업과 관련된 사례 연구들을 조사 분석하여 도출된 기초자료를 근거로 PBL 수업과 연계하여 학교도서관의 도서관협력수업을 활성화시키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PBL 수업이 국내 초 중등교육 현장에 도입되어 사례연구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2000년대부터 2018년 현재까지 수행된 국내 PBL 관련 사례연구들을 조사대상으로 하여 초 중 고등학교로 구분하여 대상학년, 교과목, 수업형태, 학습문제 해결을 위한 정보원 종류, 협력수업 여부, 도서관협력수업 여부, 교육적 효과에 중점을 두고 조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PBL 사례연구가 가장 많이 실시된 학교급은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순으로 많았으며 수업형태는 협력수업보다는 단독수업진행이 대부분이었다. PBL을 적용한 교과목계열은 자연과학, 인문사회, 예체능계열 순으로 많았으며 도서관과 협력하여 실행된 PBL수업은 저조하였다. PBL수업의 주된 교육적 효과로는 학업성취도, 만족도, 창의력, 문제해결능력,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신장으로 나타났다. 이를 기초로 학교현장에서 도서관협력수업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사서교사들의 적극적인 인식전환 뿐만 아니라 PBL수업에 집중하여 교과교사와 수업지도안 설계단계부터 평가에 이르기까지 협력하여 적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국채보상운동 기록물을 활용한 도서관협력수업 설계: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를 중심으로 (Designing a Library Collaborative Instruction Using the Archives of the National Debt Redemption Movement: Focusing on the Korean History Subject in High School)

  • 송미애;이지원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47-71
    • /
    • 2023
  • 우리나라는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가장 많은 세계기록유산을 보유하고 있는 기록강국임에도 후대를 위한 기록의 적극적 활용이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록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기록물을 학교 수업에 직접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학교 교과 수업에 활용한 기록물은 세계기록유산으로 선정된 국채보상운동 기록물이며 이를 기반으로 도서관협력수업 설계를 수행하였다. 도서관협력수업은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와 도서관 정보활용교육이 협력하는 형태이며 총 3차시로 설계되었다. 문헌연구를 기반으로 설계한 결과, 도서관협력수업 계획서, 교수학습안, 학습지 등이 도출되었다. 설계된 도서관 협력수업의 실현은 세계기록유산에 대한 관심을 증진시키고 학교 현장에서 교육과정과 기록물이 연계되는 효과를 가질 것으로 예상되며 기록의 이용자층이 교사와 학생으로 확대되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교과교사의 학교도서관에 대한 인식과 경험이 협력수업 시행의지에 미치는 영향: 서울지역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Teachers' Perceptions and Experiences about School Libraries to Collaborative Instruction on the Willingness: Focusing on Seoul High Schools)

  • 신윤정;김기영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237-261
    • /
    • 2018
  • 본 연구는 고등학교 교과교사들의 학교도서관에 대한 인식과 경험이 협력수업 시행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학교도서관 협력수업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서울 지역의 고등학교 14개교의 교과교사 19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교과교사의 학교도서관에 대한 인식 및 학교도서관 관련 경험이 협력수업 시행의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소속 학교 또한 교과교사의 시행의지와 관련된 일부 인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교과교사들의 도서관 인식에 대한 차이가 협력수업 시행의지에 대해서 교육적 효과에 영향을 미치며, 필요성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는데, 시행계획에 대해서는 모든 독립변인들의 유의한 영향을 파악하였다.

고등학교 도서관의 협력수업 사례에 관한 연구 - 중국어과 프로젝트 학습을 중심으로 - (A Case Study on the High School Library-Assisted Instruction: Focused on the Chinese Project Learning)

  • 이덕주;조미아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31-251
    • /
    • 2012
  • 본 연구는 학교도서관에서 이루어지는 교과 협력 수업의 바람직한 학습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의도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인문계 S고등학교 도서관에서 이루어진 중국어과 프로젝트 협력수업을 중심으로 주제 선정 방침 및 선정된 주제 등 수업내용을 파악하고 학생의 보고서 사례를 제시하였다. 또한 중국어과 프로젝트 학습에 참여했던 고등학교 2학년 학생 117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지 조사를 통하여 주제에 대한 흥미, 학교도서관 협력 수업 과정에 대한 인식 및 학교도서관 협력 수업이 어떤 점에서 학생에게 도움이 되었는지를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학생들의 학교도서관 협력수업에 대한 만족도는 높은 편으로 나타났다.

일본의 사회과 교과서 분석을 통한 도서관활용수업의 적용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the Application of Library Assisted Instruction(LAI) Through the Analysis of Japanese Social Studies Text-Books)

  • 노진영;변우열;이병기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155-175
    • /
    • 2008
  • 본 연구는 도서관활용수업과 도서관협력수업에 적합한 형태로 구성되어 있는 일본의 중학교 사회과 교과서(중학교의 지리(中學校の地理), 중학교의 역사(中學校の歷史))를 분석함으로써 도서관활용수업에 적합한 교과서 개편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일본의 사회과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의 교육과정에 해당하는 '신학습지도요령(新學習指導要領)'에 학교도서관 자료의 이용에 관한 사항을 명시하고, 교과서가 다양한 자료를 활용하여 수업을 전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교과내용의 전달에 그치지 않고, 학습하는 방법, 자료 활용을 통한 학습을 유도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도서관활용수업과 도서관협력수업을 학교 현장에 정착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도개선의 측면, 교과서 재개발의 측면, 도서관활용수업 교재 개발의 측면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사서교사의 정보활용능력이 도서관활용수업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eacher Librarian's Information Literacy on Library-Assisted Instruction)

  • 이승길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161-180
    • /
    • 2007
  • 본 연구는 사서교사의 정보활용능력이 도서관활용수업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 사서교사의 정보활용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도서관활용수업과 사서교사의 정보활용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도서관활용수업에서 계획하기가 가장 부족했으며 정보활용능력에서는 정보검색이 가장 부족하다는 것을 밝혀내었다. 따라서 도서관활용수업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교과교사와 사서교사간의 협력을 강화하고 사서교사의 정보활용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하여 정보검색에 대한 체계적인 연수프로그램을 실시해야 한다.

PBL을 적용한 사서교사와 중국어 교과교사의 협력수업 사례 연구 - S고등학교 학생의 학습흥미도 변화를 중심으로 - (A Case Study of Collaborative Classes between a Teacher Librarian and a Chinese Language Teacher Applying Problem-based Learning: With a Main Focus on Students' Degree of Interest in Learning at S High School)

  • 조미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65-88
    • /
    • 2014
  • 본 연구는 PBL을 적용한 사서교사와 중국어 교과교사 협력으로 이루어진 수업의 사례를 분석하고 학교도서관에서 PBL에 의한 협력 수업을 운영할 때 바람직한 수업의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의도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인문계 S고등학교 도서관에서 이루어진 PBL 문제 제시 방법, 차시별 수업 내용, 학생 결과물의 사례 등을 제시하였다. 또한 PBL 수업에 참여했던 고등학교 2학년 학생 101명을 대상으로 교과 흥미에 대한 분석을 수행한 결과, PBL에 참여한 후에 학생들의 학습관련 성취욕, 학습 실행력, 흥미가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