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델파이 조사

검색결과 478건 처리시간 0.027초

학교시설 맞춤형 BF인증을 위한 평가항목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델파이조사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Evaluation Items for Customized BF Certification in School Facilities -Focusing on the Delphi survey-)

  • 맹준호;김성중;송병준;김재영;윤평세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22권2호
    • /
    • pp.1-16
    • /
    • 2023
  • 본 연구는 안전하고 접근과 이용에 불편함이 없도록 학교시설만의 BF인증지표를 개발하기 위한 선행연구로써 평가항목을 도출하는데 목적을 가지고 평가항목 초안을 바탕으로 3회차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 BF인증지표의 내용분석과 사후 평가를 통해 문제점을 도출하여 학교시설의 BF인증 평가항목의 초안을 제시하였으며, 델파이 조사를 통해 각 평가항목별 적정성에 대해 검증을 실시하였다. 델파이조사는 BF 심사, 심의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는 대학교수, 건축사, 공무원, 인증기관담당자, 장애인단체 등 전문가 및 실무자 그룹으로 구성하여 리쿼드 7단계 척도를 통해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현 학교시설 BF평가항목에 대한 각 평가 항목별 의견을 수렴하여 최종 평가항목에 반영하였다. 델파이조사 결과, 기존의 8개의 평가항목을 제외한 총 75개의 평가항목을 유지항목으로, 12개의 평가항목에는 개선 검토항목으로 결정되었으며, 동시에 새롭게 제시된 추가검토가 필요한 15개의 항목들에 대해 평가항목으로 도출하였다.

청년창업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창업전문가를 대상으로 (A Study on The Success Factors of Youth Enterprises)

  • 심현민;설병문
    • 벤처창업연구
    • /
    • 제17권2호
    • /
    • pp.1-13
    • /
    • 2022
  • 청년창업의 중요성과 청년창업 지원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청년창업은 일반창업 보다 실패할 가능성이 높으며 이에 대한 원인 또한 미시적·거시적으로 다양하다. 이러한 상황에서 청년창업자가 창업을 성공하기 위해 어떻게 대처해야하는지 대안이 제시되지 않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청년창업자에게 창업교육, 창업보육, 창업 멘토링·코칭을 수행하는 창업전문가를 대상으로 델파이 기법을 적용하여 청년창업 성공요인을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기존 사례 연구에서 파악하지 못하였던 창업현장에서의 청년창업 성공요인을 파악하여 청년창업자에게 청년창업 성공요인에 대한 궁금증을 해소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자 한다. 또한 청년창업자가 창업을 진행하면서 고려해야 하는 여러 요인 중 우선적으로 확보하거나 수행해야하는 요인을 파악하고 제한된 자원을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창업성공을 할 수 있도록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 델파이 조사는 총 2차에 걸쳐 진행하였다. 델파이 1차 조사는 구조화된 폐쇄형 문항(Closed-ended)을 사용한 수정 델파이 기법(Modified Delphi Method)을 활용하였으며, 수정 델파이 기법의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청년창업자 및 창업전문가를 대상으로 사전조사(Pilot Test)를 실시하였다. 델파이 1차 조사에서 IBM SPSS Statistics 22와 Microsoft Office Excel 2016을 활용하여 평균(Mean), 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 중위수(Median), 사분범위(Inter Quartile Range), 내용타당도 비율(Content Validity Ratio)을 산출하였으며, 델파이 2차 조사에서는 1차 조사에서의 동일한 통계적 수치와 추가적으로 크론바흐 알파(cronbach's α)를 산출하였다. 델파이 조사결과, 창업자특성, 창업준비, 창업전략, 창업환경의 4개 상위요인과 22개의 하위요인을 청년창업 성공요인으로 도출하였다.

델파이기법을 활용한 부모의 인식전환을 위한 기업가정신 역량 도출

  • 이우진;오혜미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벤처창업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7-61
    • /
    • 2018
  •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접어 들어 불확실성이 높아지고 변동성의 상시화로 세계 경제가 급변하면서, 기업가정신 교육의 중요성은 점점 더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시대의 흐름에 따라 최근 청소년 기업가정신 교육이 확산되었다. 지속가능한 청소년 기업가정신 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시대의 변화와 함께 부모들의 인식과 태도도 함께 변화해야 한다. 부모는 새로운 지식과 그 시대가 요구하는 바람직한 자녀관을 형성해야 하며, 사회 전반적인 변화에 따른 학교에서의 기업가정신 교육이 가정에서도 일관성 있게 유지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부모교육의 중요성을 확인하고, 교육을 통해 부모의 인식을 변화시키기 위해 필요한 역량 도출하기 위해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기업가정신 교육 전문가와 청소년 교육 전문가로 구성된 전문가 패널들을 대상으로 3회에 걸쳐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델파이 조사 분석 결과, 부모 인식 전환을 위해 필요한 최종 8가지 역량(환경의 변화, 도전정신, 주체성/자울성, 창업에 대한 이해, 직업의 다양성, 기업가정신에 대한 이해, 개인의 다양성, 팀/협업에 대한 가치)을 도출하였다. 향후 후속 연구를 통해 도출된 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부모 기업가정신 교육 모델 및 프로그램을 설계하고자 한다.

  • PDF

델파이 조사를 통한 영재교육 핵심역량 개발 및 타당화 연구 (A Study on Developing and Validating Core Competencies for Gifted Education Based on Delphi Technique)

  • 박혜진;차승봉;김용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1호
    • /
    • pp.319-328
    • /
    • 2021
  • 본 연구는 델파이 조사 방법을 활용하여 영재교육 핵심역량을 개발하고, 역량별 정의를 토대로 행동 요소 선정 및 척도 문항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먼저 문헌 분석을 통해 영재교육 핵심역량을 선정한 후 각 역량의 정의가 역량명에 적합한지를 확인하기 위한 1차 델파이 조사를 진행하였다. 이후 2차 델파이 조사를 통해 핵심역량 함양을 위해 요구되는 능력을 행동 요소로 표현하여 세부 문항을 개발하고 타당화 작업을 수행하였다. 2차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통해 태도와 실천의지, 의사소통과 협업, 정보처리와 도구 활용, 창의적 문제해결, 융합과 응용, 고등 추론, 공동체 의식, 학습성취지향의 8개 핵심역량을 최종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영재교육이 사회적 요구에 부합하는 목표를 추구하기 위해 필요한 영재교육 핵심역량과 행동 요소를 선정하고, 역량 함양의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디지털 환경에서 대학도서관 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ing Evaluation Indicators of University Libraries)

  • 곽병희;이두영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58-296
    • /
    • 2002
  • 본 연구는 도서관 내·외적인 정보환경과 운영환경의 변화요인을 수용하여 디지털 환경에서 대학도서관 평가지표를 개발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문헌연구와 델파이 조사, 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를 통하여 규명된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 연구를 통하여 설정한 평가 항목 및 지표의 내용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한 델파이 조사 결과, 각 평가영역별 평정 값이 3.00이상이고 전체 평균이 4.02이며, 표준편차는 .40~.62 사이에 분포되어 있으므로 델파이 조사결과 평가지표는 타당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본 평가지표의 구인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11개 요인으로 구성된 평가항목의 요인별 누적 변량은 72.733%로서 타당성이 높은 것으로 검증되었다. 셋째, 사서의 특성별로 인지하는 정도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유의확률 0.05 수준에서 t-검증과 일원 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과 같이 델파이 조사와 본 조사의 결과를 토대로 하여 전체 7개 평가부분 35개 평가항목 92개의 평가지표로 구성된 새로운 평가지표를 개발하였다.

도시 기록화 구성요소 도출을 위한 실험적 연구 (A Pilot Study on the Elements of Urban Documentation)

  • 여진원;장우권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575-598
    • /
    • 2015
  • 이 연구는 변화하는 도시패러다임에 대응하고, 도시발전을 위한 도시 기록화에 필요한 구성요소를 도출하기 위한 실험적인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도시아카이브에 관련된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2차에 걸쳐 델파이(Delphi) 조사기법을 적용하여 도시 기록화의 기록분야와 구성요소들을 도출하였고, 각 분야와 요소들을 유형화, 계층화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1차 델파이조사 결과 6개 분야(자연환경, 인문환경, 역사와 문화, 사회와 교육, 산업과 경제, 교통과 통신)에서 62개의 구성요소를 도출, 2차 델파이 조사에서는 6개 분야에서 32개의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스마트모바일 LBS 기술을 활용한 서비스와 광고마케팅 방안 연구 - 델파이 조사 기법을 활용 - (A Study on Service & Advertising Marketing Plan using LBS Smart Mobile Technology based on Delphi Research Method)

  • 안종배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281-288
    • /
    • 2013
  • 본 연구는 국내 LBS 기술발전 현황을 기반으로 향후 어떤 LBS 서비스와 광고마케팅 활용이 필요하고 가능성이 높은지를 LBS 관련 전문가 대상 델파이 조사를 통해 파악하고자 하였다. 델파이 조사 대상으로 선정된 LBS 관련 전문가 50명을 대상으로 1차 개방형 설문지를 제시하여 LBS 서비스와 광고마케팅 활용 방안 중 필요하고 가능성이 있는 것을 자유롭게 서술하게 하였다. 1차 설문 응답을 분석한 결과 6가지 카테고리로 LBS 서비스가 분류될 수 있었고 각 카테고리별로 전문가 관점에서 향후 필요하고 활용 가능성이 있는 서비스 항목이 도출 되었다. 2차와 3차 델파이 조사를 통해 스마트모바일의 확산으로 점차 서비스 인프라가 확대되고 있는 상황에서 LBS산업의 활성화를 위해 어떤 LBS 서비스와 LBS 광고마케팅이 개발되고 제공되어야 하는지를 알게 되었다.

델파이 방법을 이용한 비즈니스 프로세스 관리 시스템의 기능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valuation of functions of business process management systems using delphi method)

  • 유성열;이강배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40-53
    • /
    • 2005
  • 최근 들어 많은 기업들이 비즈니스 프로세스 관리시스템(BPMS)에 큰 관심을 나타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델파이 방법을 이용하여 BPMS를 도입하고자 하는 기업들이 원하는 BPMS의 기능에 관하여 조사, 분석을 수행하였다. 델파이 설문 조사를 통해 기업의 BPMS도입 목적별 기능의 중요성에 관한 가중치를 설정하였다. 이를 토대로 각 기업이 효율적인 BPMS 솔루션을 선정하기 위한 평가모형을 제시하였다.

  • PDF

국내 감각통합치료실 구성을 위한 가이드라인 개발: 델파이 연구 (Development of Guidelines for Setting Up Sensory Integration Rooms in Korea Using the Delphi Method)

  • 이찬화;황선미;박서율;채송은;김정란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14
    • /
    • 2020
  • 목적 : 본 연구는 델파이 방법을 적용하여 국내 감각통합치료실 구성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20년 5월부터 6월까지 감각통합치료 관련된 전문가 패널 22명을 대상으로 델파이 방법을 적용하여 전문가의 의견을 수집하였다. 델파이 조사는 2차에 걸쳐 진행 되었으며, 1차 델파이 설문에는 선행연구를 근거로 하여 평가도구 40개와 치료도구 23개의 폐쇄형 질문과 안전을 위한 물리적 환경 10개의 항목과 개방형 질문을 혼합하여 의견을 수렴하였다. 2차 델파이 설문은 1차 설문의 결과를 바탕으로 항목 삭제 및 수정과정을 거쳐 최종 수렴하였다. 결과 : 1차 델파이 결과에서는 총 59개 항목이 선정되었다. 최종 2차 델파이 결과에서는 59개의 모든 항목의 내용타당도 비율이 .42 이상으로 분석되어 삭제한 항목은 없었으며, 안정도 또한 모든 항목 0.5 이하로 분석되어 추가적인 설문이 필요 없음으로 판단하였다. 최종 델파이 조사의 평균 내용타당도 비율은 .92, 안정도 .15, 수렴도 .36, 합의도 .80으로 높은 일치도를 보였다. 결론 : 본 연구에서는 감각통합치료실의 물리적 환경과 치료 도구 및 평가 도구를 조사하고, 감각통합치료자들에게 임상 현장에서 얻어진 감각통합치료실 환경에 대한 견해를 파악함으로써 앞으로 감각통합치료실을 개설하기 원하는 기관들과 임상 치료사에게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연근해 침적폐기물 정화관리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xploring Purification Management Indicators of Depositied Waste in Coastal Waters)

  • 김상구;문유석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637-643
    • /
    • 2014
  • 본 연구는 해구별 침적폐기물 추정량을 산정하여 해구별 정화관리 우선순위를 분석하기 위한 전제로서 침적폐기물 정화관리지표를 개발하는 것이 연구목적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방법으로 전문가 델파이 조사기법을 활용하였다. 전문가 델파이 기법은 적절한 예측방법을 찾을 수 없을 때, 전문가들의 직관을 동원하여 미래를 예측하는 방법으로써 미래변화 뿐만 아니라, 합의를 도출하여 문제를 추정하거나 구성원의 의견을 수집 수렴하는 연구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27명의 전문가를 섭외하여 이들을 대상으로 총 3회기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전문가 델파이 조사결과 최종적으로 선택된 연근해 침적폐기물 정화관리지표는 수거 후 재침적율, 폐어구 유실구역, 해구별 총 폐기물량, 과거 침적폐기물 수거량, 단위면적당 폐기물량 등의 5개 지표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패널의 수가 27명으로 한정되어 있는 문제점이 존재하는데, 본 연구를 선행연구로 하여 향후 패널 수를 더욱 확대하여 정밀한 조사가 이루어지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