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Evaluation Items for Customized BF Certification in School Facilities -Focusing on the Delphi survey-

학교시설 맞춤형 BF인증을 위한 평가항목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델파이조사를 중심으로-

  • 맹준호 ((사)한국교육녹색환경연구원 ) ;
  • 김성중 ((사)한국교육녹색환경연구원 ) ;
  • 송병준 ((사)한국교육녹색환경연구원) ;
  • 김재영 ((사)한국교육녹색환경연구원) ;
  • 윤평세 ((주)에파건축사사무소)
  • Received : 2023.06.07
  • Accepted : 2023.06.28
  • Published : 2023.06.30

Abstract

This paper reports on three Delphi surveys based on draft evaluation items with the aim of deriving evaluation items prior to developing a BF certification index for school facilities in order to make the index safe and convenient. To this end, problems were formulated using content analysis and follow-up evaluation of existing BF certification indicators. Draft BF certification evaluation items for school facilities were proposed. The adequacy of each evaluation item was verified using a Delphi survey. Experts and working-level groups, such as university professors, architects, public officials, certification agencies, and organizations for disabled persons, provided feedback for all evaluation items for school facility BF, which was incorporated in the final evaluation items. As a result of the Delphi surveys, in addition to the existing 8 evaluation items, a total of 75 evaluation items were proposed as maintenance items, 12 as improvement review items, and 15 as new evaluation items.

본 연구는 안전하고 접근과 이용에 불편함이 없도록 학교시설만의 BF인증지표를 개발하기 위한 선행연구로써 평가항목을 도출하는데 목적을 가지고 평가항목 초안을 바탕으로 3회차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 BF인증지표의 내용분석과 사후 평가를 통해 문제점을 도출하여 학교시설의 BF인증 평가항목의 초안을 제시하였으며, 델파이 조사를 통해 각 평가항목별 적정성에 대해 검증을 실시하였다. 델파이조사는 BF 심사, 심의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는 대학교수, 건축사, 공무원, 인증기관담당자, 장애인단체 등 전문가 및 실무자 그룹으로 구성하여 리쿼드 7단계 척도를 통해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현 학교시설 BF평가항목에 대한 각 평가 항목별 의견을 수렴하여 최종 평가항목에 반영하였다. 델파이조사 결과, 기존의 8개의 평가항목을 제외한 총 75개의 평가항목을 유지항목으로, 12개의 평가항목에는 개선 검토항목으로 결정되었으며, 동시에 새롭게 제시된 추가검토가 필요한 15개의 항목들에 대해 평가항목으로 도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대명(2018).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Barrier Free) 인증현황과 개선과제. 국회입법조사처현안분석 2호.
  2. 서은실(2016). 도시공원의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지표 개선 연구. 상명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성기창(2018). 한국건축의 유니버설디자인 적용에 관한 연구. 한국유니버설디자인협회, 제24권 4호. 
  4. 송정란(2018), 유치원의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조서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 교육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윤평세, 이종국(2019). 학교시설의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BF)인증기준 자체평가서 분석에 관한 연구. 교육녹색환경연구, 제18권 3호. 
  6. 임오연(2018).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현황조사 및 분석.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제13권 6호, 통권 54호. 
  7. 정은영(2012).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 공동주택의 건축 계획적 변화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8. 최서연(2011). 부산시 도심, 레저형 해수욕장의 배리어 프리 분석 연구 : BF 인증지표를 중심으로. 경성대학교 석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