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데이터요소

검색결과 5,457건 처리시간 0.033초

한의학 연구 데이터 관리 및 공유를 위한 메타데이터 요소 설계 (Metadata Element Design for Korean Medicine Research Data Management and Re-use)

  • 예상준;장호;김선태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223-246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한의학 연구 데이터 관리 및 공유를 위한 메타데이터 요소를 설계하고 한국한의학연구원에서 생산되는 연구 데이터를 대상으로 요소검증을 수행하였다. TTAK.K0-10.0976 표준과 DataCite 메타데이터 스키마,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의 국가 연구 데이터플랫폼 스키마를 대상으로 메타데이터 요소를 도출하였다. 최상위 요소로서 Identifier를 포함한 27개 요소가 도출되었으며, 필수요소 29개, 권고요소 13개, 선택요소 31개를 도출하였다. 한의학 관련 분야별 전문가 6인을 대상으로 도출요소에 대한 필요성 정도를 조사하였으며, 추가적인 메타데이터 요소를 제안 받아 검토하였다. 한의학 연구 데이터 주제 분류를 제안하였으며, 최종 제안하는 메타데이터 요소로 현재 운영 중인 시스템의 메타데이터 수용여부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한국한의학연구원에 구축되는 데이터 리포지터리에 아이템과 파일을 기술하기 위한 메타데이터 스키마로 활용될 수 있다.

디지털 도서관의 의미적 상호운용성(Semantic Interoperability) 향상을 위한 메타데이터 요소와 활용에 관한 연구 (The Utilization of Metadata Elements and Content Designation for Improving Semantic Interoperability in Context of Digital Libraries)

  • 정은경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193-211
    • /
    • 2008
  • 이 연구는 디지털 도서관에 실제로 사용된 메타데이터의 요소와 활용을 분석하여 의미적 상호운용성 향상 요인을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그린스톤 기반의 78종의 디지털 도서관에서 실제로 사용한 메타데이터 요소를 동질 정보 커뮤니티로 세분하여 분석하였다. 동질 정보 커뮤니티내 디지털 도서관에서 사용된 메타데이터 요소를 크로스워킹하고. 각 요소들의 활용 및 활용 수준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동일 정보 커뮤니티 내에서 중복되는 핵심 메타데이터 요소는 25% 미만으로 나타났다. 이들 핵심 메타데이터 요소는 요소 명칭과 활용에 있어서 불일치하는 문제점이 고찰되었으며, 메타데이터 요소 활용의 수준에 있어서도 무결점과 완결성 면에서 상이한 측면이 밝혀졌다.

데이터 거버넌스 실증연구: 구성요소 간 구조적 관계와 영향을 중심으로 (An empirical study on data governance: Focusing on structural relationships and effects of components)

  • 윤건
    • 정보화정책
    • /
    • 제30권3호
    • /
    • pp.29-48
    • /
    • 2023
  • 디지털전환과 AI·데이터시대가 심화되면서 데이터의 원활한 흐름과 활용을 위한 데이터 정책, 그리고 그 의사결정 구조로서의 데이터 거버넌스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기존의 데이터 거버넌스 연구들을 살펴보면, 데이터 거버넌스 자체의 측정이나 사례 분석은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실증연구가 부족한 것으로 보인다. 이 논문에서는 데이터 거버넌스의 구성요소 간 구조적 관계와 그것이 목표로 하는 데이터 융합이나 데이터기반행정 등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하고자 하였다. 첫째, 데이터 거버넌스에 대한 다양한 정의와 구성요소 및 유형화의 방식, 이를 적용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고, 공공 부문에 특화된 데이터 정책 관점의 정의를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둘째, 분석틀과 가설을 설정하고, 검증을 위해 한국행정연구원의 '공공데이터 정책 활용 실태조사'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데이터 거버넌스 구성요소 중 조직 요소가 제도 요소와 기술 요소 사이에서 매개적 효과를 나타내었고, 제도 요소와 기술 요소가 데이터 융합이나 데이터기반행정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데이터 거버넌스에서 법제도의 개선과 개발에 대한 관심과 투자, 데이터 기술의 수단과 목적에 대한 명확화, 데이터 조직과 인력에 대한 관심과 실제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메커니즘의 개발 등, 몇 가지 중요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V 광고자료의 메타데이터 요소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of Metadata Element for TV Commercials)

  • 김정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25-146
    • /
    • 2008
  • 이 연구는 TV 광고자료의 특성과 관련 메타데이터 요소를 비교 분석하여 TV 광고자료를 위한 메타데이터 요소설계의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TV 방송자료를 위한 메타데이터인 TV-Anytime 메타데이터나 PB 코어 메타데이터 요소를 분석하였으며, 이어서 AdForum 등을 비롯하여 광고자료를 서비스하고 하고 있는 국내외 광고전문사이트 7개를 대상으로 광고의 데이터요소를 비교 분석하여 광고자료 기술을 위한 데이터 기술요소를 추출하였다. 이를 토대로 TV 광고자료를 위한 메타데이터 기본요소를 선정하였으며, 더블린 코어를 기본으로 하여 광고자료 기술을 위해 일부 요소를 추가하고 필요한 요소들을 세분하였다. 즉, 더블린 코어의 15개 기본요소에 , , , 를 추가하여 모두 19개의 상위요소를 선정한 후, 다시 27개의 하위요소로 세분하였으며, 각 요소들에 대해 광고의 기술내용을 설명하였다. 더블린 코어의 공식 분류스킴에 의해 표현되지 않는 광고 주제분류, 광고 제작진, 광고유형, 광고 이용등급의 요소는 광고자료 요소의 특성을 반영하여 하위요소와 인코딩 스킴을 다시 설정하였다.

  • PDF

차량검지시스템(VDS) 메타데이터의 표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andardization of metadata in Vehicle Detection System)

  • 박형기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568-571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차량검지시스템을 이용하여 메타데이터의 검지시스템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도로에 적합한 시스템이 되도록 실험을 통하여 이를 검증하고, 표준화를 위해 제안하였다. 첫째, 교통정보를 메타데이터하고자 할 때 그 구축범위가 너무 광범위한 점을 보완하여 시내 교통정보의 범위를 줄이고자 적용범위로 VDS(차량검지시스템 : Vehicle Detection System)의 메타데이터 구성요소에 대한 표준을 마련하였다. 둘째, 본 표준에서는 차량의 속도, 단위 시간당 차량의 통과수 및 점유시간 등을 조사할 수 있는 VDS의 메타데이터 구성요소를 추출하고 데이터 요소에 대한 정의 및 기술형식을 정의하였다. 셋째, VDS의 메타데이터 표준지정은 교통정보의 데이터 요소 및 형식을 동일하게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상이한 개발업체에 의해 개발된 시스템의 교통정보를 일관성 있게 표현할 수 있다. 넷째, 본 표준은 VDS 메타데이터의 데이터 요소명을 표준화하기 위해서 Data Dictionary를 구축하여 실제 데이터 요소에서 data dictionary에서 정의된 약어들의 조합으로 표시하여 데이터 모델링시 유용하게 쓰일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마스터 데이터를 활용한 메타데이터 통합 프레임워크 구축 (Construction of Framework for Metadata Integration Using Master Data Approach)

  • 이승민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201-225
    • /
    • 2013
  • 메타데이터 요소들 사이의 매핑에 기반한 현재의 메타데이터 상호운용성 접근방식이 지닌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마스터 데이터를 활용한 메타데이터 상호운용성 접근방식을 제안하고 있다. 이는 메타데이터 요소가 아닌 요소의 값을 기준으로 동일한 값을 지니는 요소를 마스터 요소를 중심으로 통합하는 방식이다. 이를 위해 마스터 요소 프레임워크를 구축하여 메타데이터 요소들을 계층적인 형태로 의미적으로 통합하고, 이를 기반으로 메타데이터 레코드 사이의 상호연결을 확보함으로써 메타데이터 상호운용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는 메타데이터 상호운용성을 확보하기 위한 대안적인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다.

위치 정보를 위한 기술 모델 (DMLI) 설계 (A Design of DMLI (Description Model for Location Information))

  • 김재원;최오훈;백두권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6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33 No.1 (C)
    • /
    • pp.34-36
    • /
    • 2006
  • 본 논문은 다양한 위치 획득 시스템에 따라 다른 형식을 가지는 위치 데이터와 이에 따른 표준의 차이를 해결하기 위해 DMLI(Description Model for Location Information)을 제안한다. DMLI는 다른 형식으로 표현된 위치 데이터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재정의 하지 않고, 모두의 의미를 포괄하는 메타데이터로 재분류하는 분류체계 모델이다. DMLI는 시설물(Facility), 장소(Place), 서비스(Service) 요소들로 구성된다. 시설물은 공간을 정의하는 최상위 요소로 공간 사용목적과 용도 및 기능에 따른다. 장소는 시설물을 구성하는 최하위 요소다. 서비스는 장소에서 제공 가능한 서비스를 말한다. 또한 위치관련 메타데이터 요소간의 정보를 정의한 사전을 이용하여 기존의 위치 데이터에 대한 메타데이터 요소를 DMLI에서 제안한 메타데이터 요소로 변환이 가능하다. 사전을 이용함으로서 또 다른 형식의 위치 데이터가 입력되어도 DMLI 형식으로의 변환이 용의하다. DMLI 형식으로 재분류된 위치관련 메타데이터들은 공간 사용 목적과 제공 가능한 서비스를 명확히 표현한다. 또한 위치관련 검색, 통계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다양하게 응용되어 사용된다.

  • PDF

식품성분 연구데이터의 표준화를 위한 메타데이터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tadata Design for Standardization of Food Composition Research Data)

  • 이상훈;박은지;김주섭;김선태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241-262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식품성분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과정에서 생산되는 연구데이터의 관리 및 공유를 위한 메타데이터 도출이다. 기존의 표준으로 사용되고 있던 메타데이터 DCAT, DataCite 4.4, TTAK.KO-10.0976, AgMES, FoodData Central 등 5개의 비교 분석을 통해 식품성분 연구데이터를 기술하기 위한 '소재정보'와 '성분분석' 메타데이터 요소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소재정보' 메타데이터는 최상위 15개 요소가 도출되었으며 필수 요소 7개, 권고 요소 3개, 선택 요소 5개가 포함되었으며, '성분분석' 메타데이터는 최상위 12개 요소가 도출되었으며 필수 요소 8개, 권고 요소 3개, 선택 요소 1개가 포함되었다. 도출된 메타데이터는 식품성분 연구데이터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항목으로 사용되며, 국내 및 국제 식품성분 데이터베이스와 공유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다종 형태 데이터를 위한 요소선택 방법 (Feature Selection for Mixed Type of Data)

  • 양재경;이태한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14-120
    • /
    • 2010
  • 데이터마이닝의 사전 단계에서 데이터의 차원(Dimensionality)을 줄이기 위한 단계로서 많은 요소선택(Feature Selection) 방법들이 개발되었다. 이 방법은 결과를 예측하거나 데이터를 설명하고자 할 때 어떤 요소들이 관련이 있는지를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이 방법은 데이터의 크기에 대한 확장성 (Scalability)를 향상시키며 학습 모델을 더욱 이해하기 쉽도록 줄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NP(Nested Partition) 방법을 사용한 최적화 기반의 새로운 요소선택 방법을 NP 구조의 기본적인 이론 근거와 함께 제안한다. 또 한 편으로 많은 요소선택 방법들이 다중 형태의 데이터를 처리하는데 한계를 가지고 있는데, NP 기반의 요소선택 방법에 다중 형태의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요소 성능 평가도구(Evaluators)를 도입하여 이를 극복하고자 한다. 또한 어떤 평가도구가 특정 데이터 형태에서 더욱 좋은 결과를 보이는지를 실험 결과와 함께 제시하였다.

빅 데이터의 품질 요소 제안 (A propose of Big data quality elements)

  • 최상균;전순천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9-15
    • /
    • 2013
  • 빅 데이터가 새로운 가치 창출과 문제 해결의 핵심 엔진이 되는 데이터 중심 시대가 본격적으로 시작되고 있다. 본 논문은 빅 데이터를 활용하기 위하여 빅 데이터의 품질 확보를 위한 품질 요소 정의와 품질 요소별 품질확보 전략에 대하여 논한다. 이를 위해 빅 데이터의 구축 사례, 빅 데이터의 자원 확보 방안 및 빅 데이터의 요소기술, 분석기술과 처리기술 등에 대해 살펴 보았다. 이를 통하여 빅 데이터의 품질 요소를 정의하고 품질 요소별 품질 확보 전략을 제안한다. 빅 데이터의 품질이 확보되면 기업은 대용량의 데이터에서 데이터의 재해석을 통하여 빅 데이터를 추출하고 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각종 전략을 수립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