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더위지기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24초

더위지기 추출물이 당뇨 흰쥐의 혈당과 항산화 효소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rtemisia iwayomogi Ethanol Extract on Hypoglycemic and Antioxidant Activities in Diabetic Rats)

  • 한혜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12호
    • /
    • pp.1716-1726
    • /
    • 2012
  • 더위지기 추출물이 STZ으로 유발된 당뇨쥐에서 혈당, 지질 및 항산화효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용량(1 g, 2 g 및 3 g/kg b.w.)을 달리하여 14일간 경구투여한 실험에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정상군을 비롯한 당뇨유발군, 당뇨유발에 더위지기를 투여시킨 군을 14일간 실험한 결과 STZ 투여로 식이섭취량은 증가된 반면 체중은 감소되었는데, 더위지기 추출물을 2 g 투여 시 체중증가량의 변화는 관찰되지 않은 반면 식이섭취량은 억제되었다. 장기의 상대적인 중량비교에서 신장의 경우 당뇨대조군에 비해 더위지기 추출물을 1 g 투여 시 비대가 유의적으로 억제되었다. 당뇨로 인하여 증가된 ALT 활성도는 더위지기 추출물을 2 g과 3 g 투여 시, AST 활성도는 1 g과 3 g 투여 시 당뇨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혈장 포도당 함량은 실험 4일째부터 실험 14일째까지 당뇨대조군에 비해 더위지기 추출물을 2 g 투여함으로써 혈당치가 저하됨을 관찰할 수가 있었으며, 간의 글리코겐 함량도 더위지기 추출물을 2 g 투여 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혈장의 중성지방과 유리지방산 함량은 더위지기 추출물 2 g 투여 시 당뇨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동맥경화지수는 더위지기 추출물을 투여한 모든 당뇨실험군에서 유의적으로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의 MDA 함량이 모든 Ai투여군에서 당뇨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간에서의 항산화 효소 중 SOD 활성도는 당뇨대조군에 비해 더위지기 추출물을 3 g 투여 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CAT와 GSH-px 활성도는 당뇨대조군에 비해 더위지기 추출물을 1 g과 3 g 투여 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GST 활성도는 당뇨대조군에 비해 모든 Ai투여군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용량의존적으로 차이를 보였다. 이상의 실험결과를 통해 더위지기 추출물은 당뇨로 인한 체중저하를 방지하고, STZ로 유도한 고혈당을 완화시키는 항당뇨작용과 더불어 항산화효소의 활성도를 증가시켜 산화스트레스 감소를 유도하여 고혈당에 의한 조직손상을 감소시켜 주는 것으로 사료된다.

더위지기와 사철쑥의 정유성분 조성 비교 (Comparison of Essential Oil Composition of Artemisia iwayomogi and Artemisia capillaris)

  • 홍철운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7권1호
    • /
    • pp.124-129
    • /
    • 2004
  • 국내에서 자생하고 있는 더위지기와 사철쑥의 정유성분 조성의 차이점을 비교하기 위하여 각 시료로부터 수증기증류에 의해 정유를 분리한 다음 GC-MS 분석결과 및 문헌에 보고된 각 성분의 retention index 비교에 의해 성분을 동정하였다. 국내의 2개 지역에서 수집한 더위지기에서 분리한 정유에서 60종의 성분을 동정하였으며, 그중 한 시료에서는 iso-pinocamphone(31.64%), 1,8-cineole(21.55%), ${\beta}-pinene$(4.46%), pinocarvone(3.72%), myrtenal(3.42%) 및 trans-pinocarvel(3.14%)이 주요 구성성분이었으나 다른 시료에서는 camphor(26.99%), 1,8-cineole(11.02%), ${\alpha}-terpineol$(7.63%), borneol(4.10%), camphene(3.97%) 및 artemisia ketone(3.84%)이 주요 구성성분이었다. 또한 2개 지역에서 수집한 사철쑥에서는 80종의 성분을 동정하였으며, 두 시료간에 구성성분이나 성분별 조성비율은 유사한 편이었으나 그 중에서도 capillene$(26.01{\sim}30.31%)$, ${\beta}-pinene(8.55{\sim}18.38%)$, ${\beta}-caryophyllene(8.80{\sim}13.70%)$, $cis,trans- {\alpha}-farnesene(2.10{\sim}7.38%)$, ${\beta}-himachalene(1.57{\sim}5.57%)$ 및 germacrene D$(2.27{\sim}5.46%)$가 주요 구성성분이었다. 더위지기와 사철쑥의 정유 성분 조성상의 뚜렷한 차이점으로서 더위지기의 정유에서는 사철쑥에서 검출되지 않은 iso-pinocamphone 또는 camphor, 1,8-cineole과 같은 monoterpenoid 화합물의 함유비율이 높은 반면 사철쑥에서는 더위지기에서 검출되지 않은 acetylene화합물인 capillene 이외에도 sesquiterpenoid 화합물의 함유비율이 높은 것이 특징이었다.

인진(茵蔯)으로 쓰이는 사철쑥과 더위지기 추출물의 항미생물활성 및 total polyphenol함량 (Antimicrobial Activity and Total Polyphenol Content of Extracts from Artemisia capillaris Thunb· and Artemisia iwayomogi Kitam· Used as Injin)

  • 서경순;윤경원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0-16
    • /
    • 2011
  • 본 실험은 인진으로 쓰이는 사철쑥과 더위지기의 항미생물활성을 검정한 것으로 추출용매에 따른 항미생물활성은 gram양성균 3종과 gram음성균 2종 모두에서 ethylacetate 추출물들이 ether추출물들보다 전반적으로 높았다. 실험미생물 중 B. subtilis와 B. cereus에 대한 추출물들의 활성이 다른 실험미생물에 비하여 강하게 나타났으며 더위지기 추출물들이 사철쑥 추출물들에 비하여 높은 활성을 보였다. 추출용매에 따른 최소저해농도는 ethylacetate추출물이 ether추출물보다 낮은 농도에서 대부분의 미생물들의 생육을 억제하였고, 더위지기와 사철쑥 부위별로는 잎과 줄기에서 잎에 비하여 낮은 농도에서 미생물들의 생육을 억제하였으며 더위지기 추출물들의 최소저해농도가 사철쑥 추출물들보다 낮았다.총 폴리페놀함량은 사철쑥 잎과 줄기 추출물에서 27.57 mg/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대체로 잎과 줄기 추출물에서 잎 추출물에서보다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더위지기 및 근연분류군의 분류학적 재검토 (Taxonomic revision of the Artemisia sacrorum group)

  • 박명순;남보미;정규영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75-186
    • /
    • 2016
  • 더위지기 및 근연분류군은 분류학적 위치 및 학명에 대하여 많은 이견이 있어왔다. 이에 본 연구는더위지기 및 근연분류군인 털산쑥, 흰산쑥의 외부형태학적 연구를 바탕으로 정확한 학명을 부여하고 분류학적 위치를 재검토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원기재와 기준표본을 비교 및 분석한 결과, 털산쑥(A. freyniana f. discolor)과 흰산쑥(A. freyniana f. vestita)은 잎에서 털의 분포 양상, 지리적 분포, 체세포염색체 수 및 화분의 자상돌기 기부의 연결 유무 등의 특징에 의해 A. sacrorum var. sacrorum와 A. sacrorum var. incana으로 각각 이명 처리하였으며, A. gmelinii의 학명으로 잘못 사용되어온 더위지기(A. iwayomogi)의 학명은 A. sacrorum그룹과의 형태학적 유사성을 바탕으로 신조합명인 A. sacrorum var. iwayomogi (Kitam.) M. S. Park & G. Y. Chung으로 처리하였다. 또한, 이들의 기재, 도해 및 검색표를 제시하였다.

더위지기 추출물의 항산화 및 미백 효과 (The Antioxidant and Skin Whitening Effect of Artemisia iwayomogi Extracts)

  • 서은종;홍은숙;최민희;김기선;이성준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89-93
    • /
    • 2012
  • 본 연구는 더위지기의 항산화 및 미백제로서의 유효성을 알아보기 위해 100% 에탄올과 물을 이용한 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 플라보노이드 함량, 전자공여능, tyrosinase 활성 저해효과 및 세포내 멜라닌 생합성 억제효과를 조사하였다. 유용한 생리활성을 가질 것으로 예상되는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실험한 결과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에탄올 추출물에서 547.96, 65.93 mg/g, 물 추출물에서 610.45, 82.86 mg/g으로 확인하였으며 더위지기의 에탄올 추출물과 물 추출물 모두 200 mg/g 이상의 높은 폴리페놀을 함유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항산화능을 평가하기 위해 DPPH를 이용한 전자공여능 실험 결과 더위지기의 에탄올 추출물에서 $SC_{50}$값이 17.1 ppm으로 물 추출물의 198.4 ppm 보다 약 11배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미백제로의 효능을 알아보고자 실행한 tyrosinase 활성 저해 및 세포내 멜라닌 생합성 억제에 관한 결과 더위지기의 에탄올 추출물에서 tyrosinase 활성억제농도($IC_{50}$)은 481.8 ppm, 멜라노사이트에 50 ppm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멜라닌 생성억제 효과가 36.8%로 높은 효과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에 따르면 더위지기의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 항산화제 및 미백제로서 큰 가능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진(茵蔯)으로 쓰이는 사철쑥과 더위지기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ies of Extracts from Artemisia capillaris $T_{HUNB}$. and Artemisia iwayomogi $K_{ITAM}$. used as Injin)

  • 서경순;윤경원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92-298
    • /
    • 2008
  • 본 실험은 전자공여능에 따른 $IC_{50}$을 살펴본 것으로 ethylacetate로 추출한 사철쑥 잎추출물에서 1.74${\mu}g/ml$, 잎과 줄기추출물에서 2.24${\mu}g/ml$, 더위지기 잎추출물에서 1.81${\mu}g/ml$, 잎과 줄기추출물에서 1.56${\mu}g/ml$로 가장 낮은 농도를 나타내었 으며 다음으로 ether추출물, methanol추출물, water추출물 순이었으며 hexane추출물에서는 전자공여능이 뚜렷이 나타나지 않았다. ethylacetate와 ether 추출물의 DPPH free radical 소거능을 기준으로 더위지기가 사철쑥에 비하여 높은 항산화활성을 나타내었다. 각 pH 조건에서 아질산염 소거능은 전반적으로 비극성 용매의 추출물보다는 극성 용매인 methanol추출물과 ethylacetate 추출물에서 높은 소거능을 보였다. pH 1.2에서 ethylacetate추출물은 53.75${\sim}$84.25%로 가장 높은 소거능을 나타내었으며 methanol추출물과 hexane추출물에서도 비교적 양호한 소거능을 보였고, water추출물과 ether추출물에서는 소거능이 확실히 나타나지 않았다. 3일간 저장한 linoleic acid 기질에 대한 추출물별 항산화활성은 ethylacetate추출물에서 367${\sim}$423meq/kg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hexane, methanol, water, ether추출물순이었고 더위지기가 사철쑥에 비하여 조금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잎추출물과 잎과 줄기추출물사이의 차이는 유의적이지 않았다.

수집 쑥속 자원의 생육특성 모형 (Growth Characteristic Models of Collected Artemisia Resources)

  • 유주한;조흥원;이철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367-373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쑥속 자원에 대한 생육인자간 상관성 구명과 생육인자 모형 개발을 위해 수행하였다. 생육인자의 특성에서 초장 초폭, 엽병장, 엽록소량은 더위지기, 엽장은 넓은잎외잎쑥, 엽폭은 쑥, 줄기직경은 뺑쑥, 엾두께는 더위지기, 쑥, 산쑥, 넓은 잎외잎쑥, 그늘쑥이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다. 생육인자 간 상관분석 결과 사철쑥은 엽폭과 줄기직경, 산쑥은 초장과 초폭, 넓은잎외잎쑥은 초장과 엽폭, 나머지 종들은 엽장과 엽폭이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생육인자 모형 분석 결과 사철쑥은 약 $79.4\%$, 쑥은 약 $91.7\%$, 산쑥은 약 $70.3\%$, 더위지기는 약 $49.0\%$, 넓은잎외잎쑥은 약 $72.5\%$, 그늘쑥은 약 $75.0\%$, 뺑쑥은 약 $60.4\%$, 덤불쑥은 약 $54.4\%$의 설명력을 나타내었다.

흰쥐에서 사염화 탄소로 유도된 간독성에 미치는 더위지기 추출물의 영향-II. 더위지기 추출물의 투여용량이 사염화 탄소 독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n Extract from A. gmelini Weber on Hepatotoxicity Induced by $CCl_4$in Rats - II. Some Dosage Effects of an Extract from A. gmelini on Hepatotoxicity Induced by $CCl_4$in Rats)

  • 권진욱;이규승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17권2호
    • /
    • pp.175-185
    • /
    • 2002
  • To investigate effects of A. gmelini on the 14-day CCl$_4$induced hepatotoxicity, extracts were prepared in 3 ml saline at the dose of 50, 500, 5,000 mg/kg b.w. to administer orally everyday and same concentration (1 : 9, CCl$_4$: olive oil v/v) of CCl$_4$administered intraperitoneally with 2.5 ml/kg b.w. On the 7th day, hemanalysis showed following recovery values; AST 9.9∼64.6%, ALT 36.9∼71.9%, ALP 75.3∼93.7%, BUN 53.8∼59.7%, TBIL 60.4∼100.0< %, TCHO 77.7∼100.0< %, and TG 60.4∼100.0< %. Even if, 14-day CCl$_4$induced hepatotoxicity recovery was found to depend on doses of extract, and recovery values of each treatment were AST 13.8∼56.4%, ALT 15.7∼68.0%, ALP 53.4∼84.4%, BUN 76.9∼100.0< %, TBIL 60.4 ∼ 100.0< %, TCHO 82.6∼99.3< %, and TG 56.7∼99.7%. By histological examination of liver, hydropic degeneration, fatty change, lipid accumulation and necrosis were also recovered.

흰쥐에서 사염화 탄소로 유도된 간독성에 미치는 더위지기 추출물의 영향- I. 사염화탄소 독성유발 심화 수준에 대한 더위지기 추출물의 회복효과 (Effects of an Extract from A. gmelini Weber on Hepatotoxicity Induced by $CCl_4$in Rats - I. Effects of an Extract from A. gmelini on Hepatotoxicity Induced by Different Levels of $CCl_4$)

  • 권진욱;이규승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17권2호
    • /
    • pp.161-174
    • /
    • 2002
  • To investigate effects of A. gmelini on the 14-day CCl$_4$induced hepatotoxicity, extracts were prepared in 3 ml saline at the dose of 5,000 mg/kg b.w. to administer orally once daily. Each concentration (5:5, 2:5 : 7.5, 1:9, CCl$_4$: olive oil v/v) of CCl$_4$was orally administered with 2.5 ml/kg b.w., During the experiment, halves of the rats were sacrificed every 7 day and hemanalysis was done. On the 7th day, hemanalysis showed following recovery values; AST 52.6∼61.4%, ALT 55.9∼86.1%, ALP 46.0∼70.9%, BUN 75.7∼100.0< %, TBIL 55.2∼96.1%, TCHO 38.0∼63.7%, and TG 55.2∼96.0%. On the 14th day, recovery values of each treatment were GOT 37.7∼43.1%, GPT 19.8∼45.9%, ALP 58.1∼95.9%, BUN 57.6∼100.0< %, TBIL 78.6∼100.0< %, TCHO 56.9∼100.0< %, and TG 10.0∼5l.2%. By histological examination of liver, hydropic degeneration, fatty change, lipid accumulation and necrosis were also recovered by administration of A. gmelini extract.

더위지기 정유로부터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억제활성 성분의 동정 (Identification of the Component with Anti-acetylcholinesterase Activity from the Essential Oil of Artemisia iwayomogi)

  • 최재수;송병민;박희준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7-21
    • /
    • 2017
  • AChE 억제제는 알츠하이머 질환 치료에 이용될 수 있으므로, 본 연구는 더위지기 정유로부터 AChE 활성성분을 탐색하기 위하여 수행한 것이다. 더위지기로부터 얻은 정유를 GC-MS로 분석했을 때 camphor가 29.8%, borneol이 28.0%, eucalyptol이 5.81%, coumarin이 5.49%의 피크 면적 비율을 보였다. 이 중 camphor, borneol, coumarin을 사용하여 Anti-AChE 활성 검색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0.298mg/m{\ell}$, coumarin은 $0.236mg/m{\ell}$$IC_{50}$ 값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coumarin이 anti-AChE 활성을 나타내는 활성물질임을 나타내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