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rowth Characteristic Models of Collected Artemisia Resources

수집 쑥속 자원의 생육특성 모형

  • You Ju-Han (Chungcheongbuk-do Research Center for Wild Plants) ;
  • Cho Heung-Won (Chungcheongbuk-do Research Center for Wild Plants) ;
  • Lee Cheol-Hee (Department of Horticulture,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유주한 (충청북도수목 산야초연구센터) ;
  • 조흥원 (충청북도수목 산야초연구센터) ;
  • 이철희 (충북대학교 원예학과)
  • Published : 2005.10.01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dissertation were to examine relativity between growth characteristics factors and develop the model of growth characteristics. In the result of statistical summaries of the factors in growth characteristic, the highest level of correlation was in plant height, plant width, petiole and chlorophyll in the case of Artemisia iwayomogi; leaf length, in the case of A. stolonifera;, leaf width, of A. princeps var. orientalis;, diameter, of A. feddei;, leaf thickness, of A. iwayomogi, A. princeps var. orientalis, A. montana, A. stolonifera, A. sylnatica; leaf length and leaf width of the other species. In the case of correlation analysis, leaf width and diameter were most correlative in A. capillaris;, plant height and plant width, in A. montana; plant height and leaf width, in A. stolonifera; leaf length and leaf width, in other species. The results of model analysis of growth characteristics were as follows. A. capillaris proved to be about $79.4\%$ effective ; A. princeps var. orientalis, about $91.7\%$ ; A. montana, about $70.3\%$ ; A. iwayomogi, about $49.0\%$ ; A. stolonifera, about $72.5\%$; A. sylnatica, about $75.0\%$;, A. feddei about $60.4\%$ ; A. rubripes about $54.0\%$.

본 연구의 목적은 쑥속 자원에 대한 생육인자간 상관성 구명과 생육인자 모형 개발을 위해 수행하였다. 생육인자의 특성에서 초장 초폭, 엽병장, 엽록소량은 더위지기, 엽장은 넓은잎외잎쑥, 엽폭은 쑥, 줄기직경은 뺑쑥, 엾두께는 더위지기, 쑥, 산쑥, 넓은 잎외잎쑥, 그늘쑥이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다. 생육인자 간 상관분석 결과 사철쑥은 엽폭과 줄기직경, 산쑥은 초장과 초폭, 넓은잎외잎쑥은 초장과 엽폭, 나머지 종들은 엽장과 엽폭이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생육인자 모형 분석 결과 사철쑥은 약 $79.4\%$, 쑥은 약 $91.7\%$, 산쑥은 약 $70.3\%$, 더위지기는 약 $49.0\%$, 넓은잎외잎쑥은 약 $72.5\%$, 그늘쑥은 약 $75.0\%$, 뺑쑥은 약 $60.4\%$, 덤불쑥은 약 $54.4\%$의 설명력을 나타내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윤한, 박용근, 오상룡, 문광덕. 1995. 솔잎과 쑥의 추출불의 기능성 검토. 한국식품과학회지 27(6):978-984
  2. 김태정. 1996. 한국의 자원식물IV. 서울대학교출판부. pp.260-267
  3. 노경희.2001. 팬지의 DUS 검정을위한 유사 품종군 의 분류. 서울대학교 농학석사학위논문. pp.18-19
  4. 노태홍, 서관석. 1993. 수집종 쑥(Artemisia sp.)의 생육특성 및 성 분함량. 한국약용작물학회지 1(2): 171-177
  5. 노태홍, 서관석. 1994. 수집종 쑥(Artemisia sp.)의 조기 재배시 생육특성과 화학성분 함량. 한국약용 작물학회지 2(1):95-100
  6. 노태홍,서관석,심재성.1994.지역 수집종쑥의 차광 재배시 생육특성 및 성분함량. 한국약용작물학회지 2(3):205-210
  7. 류익상, 황주광. 1996. 자생식물 쑥, 돌외 및 환삼덩 굴의 지역별, 재배방법 별 생육특성과 주요 약리 성분. 한국약용작물학회지 4(1):27-30
  8. 박소홍, 이 용범 .1997. 관엽식물의 광합성 역할에 미치는 광순화의 영향. 한국원예학회지 38(1):71-76
  9. 배기환.2000. 한국의 약용식물. 교학사. pp.488-490
  10. 손영모, 정영관. 1994. 지형, 토양 및 기상 인자가 해 송의 수고생장에 미치는 영향. 한국임학회지 83(3):380-390
  11. 송주택. 1985. 식물학대사전. 거북출판사. pp.1022-1035
  12. 송천영.2002.팬지의 이면교잡에 의한 1대 잡종에서 생육과 개화 관련형질의 상관관계 및 조합능력. 한국원예학회지 43(3):239-243
  13. 심재성, 노태홍, 이가순, 이주찬. 1994. 불쑥의 유용화를 위한 수집종 쑥과의 성분비교 연구. 한국약 용작물학회지 2(2):174-179
  14. 유종근, 이원영, 최용희.2000. 마이크로웨이브 추출 한 쑥 엑기스의 저장 안정성. 한국산업식품공학 회지 4(2):88-94
  15. 유주한, 조흥원, 정성관, 이철희.2004. 미선나무 자생지의 생육특성과환경특성간의 상관분석.한국 환경생태학회지 18(2):210-220
  16. 이기동, 김정숙, 배재오, 윤형식.1992. 쑥(산쑥)의 물 추출물과 에테르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한국영양식량학회지 21(1): 17-22
  17. 이기철, 박슬기. 1991. 내음성 지피식물 개발을 위한 애기나리의 생육환경분석. 한국조경학회지 19(2):65-74
  18. 이상영.2000. 쑥의 생육 및 콩과의 경합에 관한 연구. 충북대 학교 농학박사학위 논문. pp.l-7
  19. 이영로. 1996. 원색한국식물도감. 교학사. pp.829-835
  20. 이종락. 1976. 잣나무의 생장과 토양특성에 관한 연구.한국조경학회지 7:9-17
  21. 이 창복.1980.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pp.755-761
  22. 장준근.1997. 산야초 동의보감. 아카데미북. pp.347-349
  23. 황우익, 한용봉,김동청,황윤경. 1998. 쑥(Artemisia princeps Pamapan.) 추출 성분의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 한국영양학회지 31 (4 ):799-808
  24. Briggs,G.B. and C.L Calvin. 1987. Indoor plants. John Wiley&Sons. pp.173-179
  25. Clausen, D., D. Neck and W.M. Heisey. 1940 Experimental studies on the native species. Effect of varied environments on western north America plants. Camegi lnst. pp.5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