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대형항공사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23초

소셜 미디어 감성평가를 활용한 항공사 고객만족도 분석 - 대형항공사와 저비용항공사 비교연구 (Airline Customer Satisfaction Analysis using Social Media Sentiment Evaluation: Full Service Carriers vs. Low Cost Carriers)

  • 이주양;장필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6호
    • /
    • pp.189-196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소셜 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감성평가를 활용하여 대형항공사와 저비용항공사 이용 고객의 만족도를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08년에서 2016년까지 대형항공사와 저비용항공사가 언급된 총 77,591개의 트윗을 취합하고 항공사 선택 속성별로 분류하였으며, 고객만족도 분석을 위해 3명의 평가자가 감성 평가를 시행하도록 하였다. 분석결과, 최근 7년 간 고객 만족도는 저비용항공사가 대형항공사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p<0.001)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형, 저비용항공사 모두 고객만족도가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항공사 선택 속성 중 예약과 항공기 운항과 관련된 고객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형항공사의 경우, 예약과 기내서비스, 마케팅 측면에서 만족도 저하가 최근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형항공사와 저비용항공사의 전반적인 고객만족도 향상을 위한 정량적 데이터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대형항공사와 저비용항공사 승무원의 유니폼에 따른 소비정서 간의 사회연결망 분석 (Analysis of Social Network between Consumption Emotion based on the Uniform of Full-Service Carrier and Low-Cost Carrier Crews)

  • 서란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8호
    • /
    • pp.99-107
    • /
    • 2018
  • 항공사 승무원 유니폼에 관한 선행연구와 실증적 연구를 살펴보고 항공사 승무원의 유니폼이 고객이 지각하는 소비정서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방법은 항공 관광 관련학과 재학생을 대상으로 2018년 3월 11일부터 25일까지 15일간 설문조사를 하였고, 총 289부의 유효표본 수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고객들은 승무원의 유니폼에 대하여 대형항공사와 저비용항공사 간의 지각하는 소비정서에 대한 영향에서 차이가 있는 것을 연결망 관계를 통해 증명하였다. 또한 저비용항공사에 대해 고객이 지각하는 소비정서는 편안하고, 친숙하며, 활기찬 등이며, 이러한 결과는 대형항공사인 깔끔하고 세련된 등으로 저비용항공사와 차별화되었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항공사는 적절한 시기에 승무원 유니폼을 변화시켜왔고, 회사의 이미지 변화에 상당히 중요하게 여기는 마케팅 도구로 생각할 때, 본 연구결과가 의미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서비스 품질이 항공사 만족과 추천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브랜드 파워의 조절적 영향 (The Moderating Effect of Brand Power on the Effect of Service Quality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Recommendation in Aviation Industry)

  • 박승배;홍재원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7권1호
    • /
    • pp.35-44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항공운송산업에서 기내서비스와 가성비가 고객의 만족과 추천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대형항공사 브랜드 파워의 조절적인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결과, 첫째, 고객만족에 있어서 브랜드 파워가 높은 대형항공사는 가성비뿐 아니라 다른 기내서비스 속성들도 모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브랜드 파워가 낮은 대형항공사는 다른 기내 서비스 속성에 비해 가성비의 영향이 무엇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고객의 추천에 있어서도 브랜드 파워가 높은 대형항공사들은 가성비뿐만 아니라 좌석이나 승무원서비스도 중요하게 고려하고 있는 반면에 브랜드 파워가 낮은 대형항공사들은 좌석이나 승무원서비스보다 가성비를 훨씬 더 중요하게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브랜드 파워가 낮은 대형항공사는 저가항공사의 저가격파괴 전략에 맞대응하는 노력이 필요하고, 브랜드 파워가 높은 대형항공사는 가성비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내서비스 속성을 모두 향상시키는 존속적 혁신전략을 추구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대형항공사와 저비용항공사의 브랜드 자산 평가와 유형화 (Evaluating and Categorizing Brand Assets of Full-Service Carriers and Low-Cost Carriers)

  • 정승화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8호
    • /
    • pp.442-454
    • /
    • 2021
  • COVID-19 대유행으로 급속히 침체하였던 국내외 항공업계는 바이러스 백신 접종을 시작으로 조심스럽게 경영 정상화를 준비하고 있으며, 국내 및 근거리 해외 시장을 공유하고 있는 대형항공사와 저비용항공사 간의 경쟁 역시 다시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지금까지 국가, 도시, 일부 기업을 대상으로 이루어지던 브랜드 자산에 관한 연구를 국내 항공사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대상의 인식, 가치, 태도, 신념과 같은 개념을 연구하기 위해 양적·질적 연구 방법의 한계를 보완하고자 제안된 Q 방법론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항공사 브랜드 이용자들은 실속 추구형, 가치 지향형, 업무 관련형의 총 3가지 유형이 도출되었고, Q 표본으로부터 25개 진술문을 확보하고 20명으로 구성된 P 표본의 주관성을 관찰하여 유형별 특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대형항공사와 저비용항공사의 브랜드 자산 유형을 탐색하고, 소비자의 인식을 비교함으로써 항공사 브랜드 자산의 효율적 관리에 전략적 방향을 제시하고, 후속 연구를 위한 가설을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우리나라 대형항공사와 저가항공사의 지각위험에 대한 비교분석 (The Comparative Analysis of Perceived Risks in South Korean Low Cost Carriers and Full Service Carriers)

  • 최휴종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49-57
    • /
    • 2011
  • 본 연구는 한국항공시장의 지각위험에 대한 실증적 연구이다. 김포국제공항 및 인천국제공항에서 수집한 316부의 설문지를 다중회귀분석, 분산분석, 상관분석, 및 T-test 기법을 동원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형항공사와 저비용항공사 승객간의 지각위험에는 차이가 있었으며 대형항공사 승객은 재무적 위험에 민감한 반면, 저비용항공사의 승객은 기종 및 물리적 위험에 민감하였다. 따라서 대형항공사에서는 섬세한 서비스 제공이 더욱 요구되며, 저비용항공사가 신항공기를 사용하는 것이 저비용항공사의 안전성 인식 제고에 효과적이라 사료된다.

대형항공사와 저비용항공사에 대한 연령대별 선택 속성 및 중요도 차이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difference of Selection Attributes and importance of FSC and LCC by age group)

  • 김영록;임재환;최연철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91-100
    • /
    • 2017
  • Movements using aircraft are continuously increasing. This is because options for airlines, including eight national airlines, are becoming more diverse. In particular, FSC and LCC provide different services and prices, so it is not easy to choose, but it is analyzed that safety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when selecting airlines in 2013 and 2017(all age groups are the same).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2013 and 2017 for each age group. In particular, the importance of price factors is high in 2017 compared to 2013, and other items in the 40s and 50s are also significantly changed.

항공사 브랜드 자산의 중요도-만족도 연구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of Airline Brand Equity)

  • 서은주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5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247-248
    • /
    • 2015
  • 본 연구는 항공사 브랜드 자산의 중요도와 만족도 차이를 중심으로 실증 분석하여 항공사 브랜드 자산 경영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항공사 브랜드 자산의 IPA 분석과 대형 항공사와 저비용 항공사의 브랜드 자산 구성요소의 GAP 차이 분석을 통해 항공사 브랜드 자산에 대한 전략을 제안한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항공사 이용객들은 가격과 직원의 친절성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으며 직원의 친절성에는 만족하고 있으나 가격에서는 만족하고 있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 향후 항공사는 환경 변화에 적응하여 가격 전략의 변화를 시도하고 그에 따른 다양한 노력과 투자를 하여야 할 것이다.

  • PDF

저비용항공사의 적정 서비스수준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ropriate Level of Service for LCC)

  • 안정환;한길우
    • 한국항공운항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공운항학회 2016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76-280
    • /
    • 2016
  • 실제로 저비용항공사의 경우 서비스 수준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고려하여야 할 부분이 많다. 가장 중요한 부분이 고객이 가지고 있는 기대수준일 것이며 그 다음이 내부 고객인 종업원의 생각과 태도이다. 저비용항공사 직원들의 경우 같은 항공업계에 종사하면서 대형항공사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보수와 부가적 혜택, 불리한 스케줄과 취항지 제한, 사회적 평가 등에서의 불리함을 안고 있으면서도 그 이상의 서비스를 제공하여야 하는 상황이어서 이들에 대한 배려가 중요하다고 하겠다. 그것은 서비스제공을 주요 업무로 삼고 있는 항공사에서 직원의 자발성과 사명감은 양질의 서비스에 결정적 역할을 할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동종 경쟁업체의 움직임에 대하여 예의 주시하며 이에 대해 대처할 자세를 견지하여야 한다. 그것은 저비용항공사의 주요 고객인 젊은 층의 대부분은 정보에 빠르고 자신에게 유리한 점을 감안한 신속한 의사결정을 하는 경향이 크므로 개별항공사가 내세우는 영업전략이 빠른 성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는 곧 다른 항공사들의 시장점유율 상실 등으로 이어질 것이기 때문이다.

  • PDF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소진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대형항공사와 저비용항공사 간 비교를 중심으로 - (The Effects of Job Stress on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of Flight Attendants -Focusing on Comparison between Full Service Carrier and Low Cost Carrier-)

  • 한수연;이희찬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33-49
    • /
    • 2014
  •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s of job stress on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of flight attendants and to confirm the difference in the effect on the consciousness of full service carrier and low cost carriers' flight attendants. In order to confirm, the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of airline cabin attendant. A survey was done for 55days from January 5th 2014 on flight attendants and total 200 valid samples were analysed. The results of the study demonstrated significant relationship and difference in job stress,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of flight attendants between full service carrier and low cost carrier. As a result, the study is significant as it satisfaction between divergent airline work environment.

국내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마음챙김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Mindfulness on Their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Flight Attendants: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 이주양;임재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11호
    • /
    • pp.331-342
    • /
    • 2017
  • 본 연구는 국내 항공사 객실승무원들을 대상으로 마음챙김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후 마음챙김과 조직몰입 간 관계에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자료수집을 위해 국내 대형항공사와 저비용항공사 소속 객실승무원들 중 국제선 항공기 담당 객실승무원을 대상으로 인천국제공항과 제주국제공항 및 항공기 내에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마음챙김의 하위요인 중 주의집중 요인은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모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마음챙김과 조직몰입 간 관계에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검증 결과, 직무만족은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객실승무원들이 유사한 업무의 반복으로 인해 발생되는 자동적 행동 습관을 방지하고 주의집중을 높이기 위해서는 업무수행 시 다음단계에 진행될 서비스 절차를 상기시키고, 매 서비스 종료 시점에 수행 완료 여부 및 특이사항 유 무를 상호 확인하는 절차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