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대학강의

검색결과 854건 처리시간 0.026초

강의별학술정보페이지 구축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lementation of Library Course Pages)

  • 이미화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37-163
    • /
    • 2010
  • 강의별학술정보페이지는 하나의 게이트웨이에서 강의정보와 도서관자원을 통합하여 제공하는 서비스로 대학도서관의 정보서비스를 더욱 강화시킬 수 있다. 이는 여러 검색게이트를 갖는 기존의 도서관 자료 제공방식과 달리 강의별 맞춤 정보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강의관리시스템과 연계하여 강의와 도서관자원을 더욱 밀접하게 연계시킬 수 있다. 국외 대학도서관의 경우 강의별학술정보페이지를 대학의 특성에 맞게 다양한 내용으로 구축하며, 대학에 개설된 전체 강의에 대한 페이지를 구축하기 위해 수작업이 아닌 자동화처리 프로그램을 도입하거나 개발하고 있다. 따라서 강의별학술정보페이지 구축 프로그램도 자체 개발혹은 상업 벤더시스템 등으로 다양하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강의별학술정보페이지 개발이 활성화되고 있지 않으며, 시스템 개발에 대한 구축방안도 모색되지 않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문헌연구와 사례조사 방법을 이용해 국내 대학도서관의 적극적인 서비스 방안의 하나인 강의별학술정보페이지 구축 방안을 제안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강의별학술정보페이지 구축 방안을 통해 도서관의 적극적 서비스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대학 비대면 강의 플랫폼 이용성이 강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University Online Learning Platform Usability on Course Satisfaction)

  • 채현수;이지연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8권1호
    • /
    • pp.225-254
    • /
    • 2024
  • 본 연구는 비대면 강의 수강 경험이 있는 학부생 및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비대면 강의 플랫폼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를 파악하고, 비대면 강의 플랫폼 설계 및 개발 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이용성 요인이 강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검증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문헌조사를 통해 비대면 강의 플랫폼 개발 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주요 요인을 정리하고 연구모형을 수립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대학구성원을 대상으로 대학 비대면 강의 플랫폼 이용자 인터페이스 설계 원칙 충족도, 플랫폼 이용성, 플랫폼 만족도, 비대면 강의 만족도 등에 대한 인식을 묻는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설문조사 응답 분석을 통하여 변수 간의 인과관계를 검증하고 모형화하였다. 학습자 유형 및 비대면 강의 방식 유형별로도 동일한 모형 적용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학습자의 평가 결과를 토대로 플랫폼의 이용자 인터페이스 설계 원칙 충족도가 플랫폼 활용 비대면 강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연구모형이 향후 비대면 강의 환경 개선과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MOOC 강의목차 구성에 관한 연구 (Contents composition of MOOC contents lecture)

  • 정우용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7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27-128
    • /
    • 2017
  • MOOC 강좌개설을 위한 강의콘텐츠를 교내에서 자체적으로 제작한 과정을 통해 나타난 강의편수와 수업시간의 배분을 살펴보았다. 순천대학교의 MOOC 강의목차와 일본 J-MOOC를 실행중인 대학들의 강의목차를 비교함으로써 MOOC 강좌목차 구성을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의 필요성을 논의한다.

  • PDF

데이터에 근거한 강의실 자동 배정 알고리즘 설계와 학사관리 시스템 적용사례 (Big Data based Classroom Assignment Algorithm and its Application to the Academics System)

  • 진상규;김승환;이순교;정태수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6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348-351
    • /
    • 2016
  • 대학에서는 매학기 개설된 수업에 대해 강의실 배정작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대학에서는 년4회(1 2학기, 여름, 겨울 계절학기) 수작업으로 반복적인 강의실 배정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강의실 배정작업은 교수가 선호하는 강의실 또는 교과목특성(실험과목 및 대형 강의)이 반영된 강의실 등 다양한 조건에 의해 강의실을 배정하고 있으며 수작업으로 일일이 강의실을 배정 하는 데에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고 있다. 몇몇 대학에서는 강의실 배정작업을 개선하기 위해 교수 및 강의실의 특성을 고려한 강의실 자동 배정 시스템을 구축을 시도 하였으나, 많은 변수로 인해 여전히 수작업으로 강의실을 배정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강의실 자동 배정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방법으로 최근 3년간 기 배정된 강의실 빅 데이터 자료를 기반으로 작성된 강의실 자동 배정 알고리즘을 제시하고 실적용한 고려대학교 시스템 구축 사례를 살펴보고자 한다.

대학 강의계획서 개발의 융합적 연구 (A Convergence Study on Developing a Syllabus for Tertiary Education)

  • 문원희;박옥희;최임숙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0호
    • /
    • pp.541-547
    • /
    • 2018
  • 본 연구는 D광역시 소재 P사립대학에서 대학수업의 질 개선의 일환으로 강의계획서 개발을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절차는 문헌연구를 통해 강의계획서의 정의와 구성요소를 추출하였고, 전국의 4년제 대학교 중 참여를 승낙한 27개 대학의 강의계획서를 수집하여 구성요소와 내용을 분석하였고, P대학 소속 교수 15명을 대상으로 강의계획서에 대한 인터뷰를 실시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전문가집단으로 구성된 연구팀에 의해 수집된 자료들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강의계획서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강의계획서는 국내 저명 교육학 전문가 2명의 평가를 통해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강의계획서는 핵심 기본 요소와 교과목의 특수성을 반영한 교수자의 선택 요소로 구성하여 사용자의 자율성과 편리성을 확보하였다. 이를 통해 확장된 방식에 따라 다양하고 독창적 강의계획서가 만들어질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대학 강의 질 개선을 위한 강의 평가 문항 분석 - 서울대학교 이공계열 교양과목을 중심으로 - (Analysis on Evaluation Inquiry of Lectures for the Improvement on University Lecture Quality - Focused on Liberal Art Courses of Engineering and Science Schools at SNU -)

  • 이희원;강호선;정연순;허은녕
    • 공학교육연구
    • /
    • 제8권4호
    • /
    • pp.52-63
    • /
    • 2005
  • 대학의 교육경쟁력 강화가 곧 국가경쟁력 강화와 연계된다. 서울대학교는 그간 대학교육의 경쟁력 향상을 위하여 여러 방안을 시행하여 왔으며 그 중 대표적인 한 방법이 강의 질의 개선을 위한 강의평가라고 할 수 있다. 현재 대학에서 시행되고 있는 강의평가는 학생과 교수가 평가의 주체가 되지 못할 뿐 아니라 대학의 본부나 평가 위원회에서 개설된 강좌나 담당교수에 대한 평가로 사용하고 있다. 이때 잘못된 강의평가 방식을 사용할 경우 강의평가가 원 목적인 교수와 학생과의 대화증진으로 인한 강의 개선의 역할보다는 강의 평가 점수를 이용한 강좌의 서열화 및 교수의 업적 평가의 용도만 사용될 우려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강의의 서열화나 교수의 업적 평가를 위한 강의 평가가 아닌, 교육의 효과를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는 강의 평가 방식을 연구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서울대학교 교수들을 대상으로 현재 시행중인 강의평가방식에 대 한 의견을 조사하고, 국내 대학에서 활용하고 있는 강의평가 방식과 평가 문항을 분석하였다. 특히 서울대학교 이공계열 교양과목을 평가하기 위하여 활용하는 수강소감서 문항을 분석하고 현재 시행하고 있는 서울대학교 강의평가 방법에 대한 고찰과 함께 개선 방안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강의 평가를 위한 평가 방식의 문제점을 고찰함과 동시에 평가가 강의의 질 개선에 효과적으로 활용되기 위한 개선점을 모색하였다.

강제적인 대학 강의평가의 문제점 (Problems in Mandatory Course Evaluations)

  • 한경수;최숙희;박재철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18권1호
    • /
    • pp.35-45
    • /
    • 2011
  • 우리나라 대부분의 대학들이 강의평가를 하는 첫째 목적은 수업개선이고, 둘째 목적은 교수업적평가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기 위한 것이다. 많은 대학들이 참여율을 높이기 위해서 온라인을 이용한 강제적인 강의평가를 실시하고 있다. 그 결과 90% 이상인 높은 참여율은 얻었으나, 강의평가결과 중 51.4%는 10개 문항에 대하여 모두 같은 번호로 무성의하게 응답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었다. 이런 무성의한 자료를 제거하거나 보정하지도 않은 채, 모든 문항의 점수를 합한 절대 점수를 가지고 강좌를 서열화하고, 교수업적을 평가하고, 시간강사 재임용 여부 등에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있다. 강의평가 자료를 통계분석하기 전에 학생들이 얼마나 성실하게 응답한 자료인지 먼저 확인해 보아야 한다. 대학 행정 당국은 양질의 강의평가 자료를 얻기 위하여 강제적인 현행 강의평가를 즉시 중지하고 전면적인 강의평가 제도 개선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대학 강의평가 수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ccomplishment of Lecture Evaluation in University)

  • 정진식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93-115
    • /
    • 1999
  • 본 연구는 1990년 초부터 현재까지 대학에서 개설되고 있는 모든 교과목을 대상으로 강의 평가를 수행하여 오고있는 H대학을 중심으로 이 대학에서 수행된바 있는 강의평가 분석 내용가운데 1998학년도 평가 결과만을 발췌하여 요약한 것이다. 강의평가 결과는 전체적으로 어떠한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개별강의 평가결과는 어떠한가? 또 영역별 평가에서는 어떠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가? 등을 구명하기 위하여 7개 영역 10개 항목으로 구성된 설문 내용을 OMR용 카드를 통하여 작성하게 하였다. 강의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분석하고 측정도구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T-test와 Anova변량분석, 회귀분석 등의 통계분석 기법을 적용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