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대인관계

검색결과 1,371건 처리시간 0.023초

성인대학생과 일반대학생의 물질주의 가치관 및 대인관계와의 비교 (A Comparison of Materialistic Value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between Adult University Students and General University Students)

  • 김수빈;김진숙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2호
    • /
    • pp.185-190
    • /
    • 2021
  • 본 연구는 성인대학생과 일반대학생의 물질주의 가치관 및 대인관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두 집단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에 재학 중인 성인대학생 228명, 일반대학생 216명을 대상으로 SPSS Statistic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성인대학생과 일반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물질주의 가치관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성별, 종교, 학교형태, 학년, 한 달 월급(용돈), 한 달 지출금액, 지출항목, 취미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성인대학생과 일반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대인관계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성별, 학년, 한 달 월급(용돈), 한 달 지출금액, 지출항목, 취미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셋째, 성인대학생과 일반대학생의 물질주의 가치관과 대인관계의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넷째, 성인대학생과 일반대학생의 물질주의 가치관은 대인관계의 하위요인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성인대학생과 일반대학생 구분 없이 물질주의 가치관이 대인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시사한다.

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모의 심리적 통제, 가족 건강성이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ommunicative Competence, Mother's Psychological Control, Family Strengths on Interpersonal Competence of University Student)

  • 구현주;문혁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8호
    • /
    • pp.224-239
    • /
    • 2019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모의 심리적 통제, 가족건강성이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소재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285명을 설문조사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통제변수들의 영향력을 고려한 후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주요결과로서, 대학생의 성별, 학년, 출생 순위와 형제 수를 통제한 상태에서, 의사소통능력은 대인관계 유능성 전체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의 심리적 통제와 가족건강성은 대인관계 유능성 전체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다음으로 대인관계 유능성의 하위요인 별로 살펴본 결과, 의사소통능력은 대인관계 유능성의 하위변인 모두, 즉 관계형성 및 개시, 권리나 불쾌감에 대한 주장, 타인에 대한 배려, 갈등관리, 적절한 자기개방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모의 심리적 통제는 갈등관리에만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족건강성은 관계형성 및 개시와 적절한 자기개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 자아존중감과 체중걱정이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sychological Well-being, Self-esteem and Weight Concern on Interpersonal competence of University students)

  • 서가원;김태희
    • 산업융합연구
    • /
    • 제18권6호
    • /
    • pp.41-49
    • /
    • 2020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 자아존중감과 체중걱정이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은 D시와 C도의 대학교에 재학중인 대학생 167명을 대상으로 2019년 11월부터 12월까지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JAMOVI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서술적 통계, t-검정, 일원 분산분석, 상관관계 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대상자의 대인관계 유능성은 성별, 성격, 생활만족도와 체중만족도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심리적 안녕감과 자아존중감과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대인관계 유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성격 중 긍정적인 그룹(β=.31, p=.027), 심리적 안녕감(β=.21, p=.022)과 자아존중감(β=.24, p=.007)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수는 대인관계 유능성을 25.2% 설명하였다. 따라서 대학생의 대인관계 유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이들의 심리적 안녕감과 자아존중감을 고려한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장애인의 대인관계가 일상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중심 (The Effect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f the Disabled on Daily Life Satisfaction: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 김은영;이미애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8호
    • /
    • pp.145-154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의 대인관계가 일상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었다. 연구대상은 장애인고용패널 5차 자료(2019)의 등록장애인 3,907명이며, 자료분석은 SPS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인관계가 일상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정적(+)으로 유의한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대인관계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은 정적(+) 유의수준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효능감이 일상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정적(+) 유의수준을 파악하였다. 넷째, 대인관계가 일상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정적(+) 부분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장애인의 일상생활만족도 향상을 위해서는 대인관계와 자기효능감을 증진시켜야 하는 것을 규명하였다. 이를 통해 장애인의 일상생활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가족형태가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Internet Addiction of the Youth according to the Types of Family)

  • 권미란;윤치웅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129-135
    • /
    • 2010
  • 본 연구는 가족의 형태에 따른 인터넷 중독, 자아존중감, 대인관계 그리고 부적응 행동 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으며, 특히 가족의 형태와 인터넷 중독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 대인관계와 부적응 행동이 매개효과를 가지는지에 대하여도 실증적 분석을 하였다. 회귀분석 결과 가족의 형태에 따른 인터넷 중독은 부(-)의 관계로 유의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자아존중감은 가족의 형태에 따라 정(+)의 관계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인관계에서는 가족의 형태가 정(+)의 관계로 유의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반면에 부적응 행동은 인터넷 중독과 같이 가족의 형태와 부(-)의 관계가 있음이 나타났다. 또한, 자아존중감, 대인관계와 부적응행동을 통해서 인터넷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효과에 대해서도 검증되었다. 그 결과 자아존중감, 대인관계와 부적응 행동요인이 가족형태와 인터넷 중독 사이의 매개변수의 역할을 수행한다는 결론을 얻었다.

대학생 SNS 사용시간에 따른 대인관계, 신체상, 학업성취도 (Interpersonal relationship, body image, academic achievement according to SNS use time of college students)

  • 신민정;편하형;김현정;문지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1호
    • /
    • pp.257-264
    • /
    • 2019
  • 본 연구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활용한 서술적 조사연구로, 대학생 144명에게 SNS 사용시간, 대인관계, 신체상, 학업성취도를 확인하고자 t-test와 ANOVA로 파악하였고, 사후 검정은 Duncan's multiple test로 확인하였다. SNS 사용시간에 따른 대인관계, 신체상, 학업성취도 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로 파악하였다. 대상자 144명 중 남자는 55명(38.2%), 여자는 89명(61.8%), SNS 사용 시간 여자 2.2시간, 남자1.9시간이었다. SNS 사용 시간과 대인관계 유의한 상관관계 양적 상관을 보였는데(p<.014) 특히 하위요인 중 친밀감과 높은 수준의 양적인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신체상 및 학업성취도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대인관계와 신체상 간의 관계는 강한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p<.003).

대학신입생의 대학생활 적응과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 : 대인관계 지지의 매개효과 (The College Adaptation and Smartphone Addiction in University Enterents: The Mediating effect of Interpersonal Support Relationship)

  • 이송흔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149-159
    • /
    • 2019
  • 본 연구는 대학신입생의 대학생활 적응과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에서 대인관계 지지의 매개효과를 파악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2017년 4월 1일에서 5월 2일까지 G도 소재의 대학에서 전공과 무관하게 연구 참여에 동의한 대학생 28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최종적으로 263부를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사항과 대학생활 적응, 스마트폰 중독 및 대인관계 지지의 정도를 알아보고 세 변수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SPSS 26.0 통계 프로그램의 평균과 표준편차,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를 이용하였으며, 매개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Baron & Kenny의 Regression방법과 Amos 16.0프로그램의 Sobel test를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 상관관계 분석에서 대학생활 적응은 스마트폰 중독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r=.328, p<.001), 대인관계 지지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r=.490, p<.001) 보였으며, 대인관계 지지는 스마트폰 중독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r= -.034 p=.04) 보였다. 매개효과 분석에서 회귀분석의 Baron & Kenny의 3단계 검증결과, 대학생활 적응(${\beta}=-.37$, p<.000)과 대인관계 지지는(${\beta}=.30$, p= .15) 스마트폰 중독에 유의한 예측변수로 조사되었고 설명력은 32.5%였으며, 대인관계 지지가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Sobel test를 시행한 결과, 대학생활 적응과 스마트폰 중독간의 관계에서 대인관계지지는 유의한 부분매개 변인으로 확인되었다(Z=2.16, p=.03). 이에, 본 연구의 결과를 근거로 대학 차원의 다양한 대인관계지지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대학 신입생의 성공적인 대학생활 적응을 돕고 적절하고 유익한 스마트폰 사용을 도모해야 할 것이다.

보건계열 대학생의 인성과 대인관계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융합 연구 (The Convergence Study effected of Adjustment to College life in Character, interpersonal relationship of health-related college)

  • 전미진;노은경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433-442
    • /
    • 2018
  • 본 연구는 G시에 소재한 보건계열 대학생 220명을 대상으로 인성, 대인관계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조사하였다. 조사는 2017년 8월 1일부터 12월 30일까지 설문조사가 시행되었으며, 연구결과 대학생의 인성수준은 평균 3.49점(1-5점), 대인관계는 평균 3.40점(1-5점), 대학생활 적응은 평균 3.33점(1-5점)으로 중간수준이었다. 인성, 대인관계, 대학생활 적응간의 관계는 대학생활 적응과 인성(r=.62, p<.001), 대학생활 적응과 대인관계(r=.80, p<.001), 전공만족과 대학생활 적응(r=-r=-.32, p<.001)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중정도수준을 보였다. 보건계열 대학생의 대인관계가 좋을수록, 인성의 행동영역 수준이 높을수록, 대학생활 적응을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65%(F=102.97). 보건계열 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대학 교육과정 내의 인성교육을 향상시킬 수 있는 표본화된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간호대학생의 신체이미지, 자아존중감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Body Image and Self Esteem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in Nursing Students)

  • 박소영;구상미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158-168
    • /
    • 2020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신체이미지, 자아존중감 및 대인관계 정도와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대인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2019년 6월 한달간 A시와 Y군에 소재한 대학교의 간호학과 대학생 252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 상관분석,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의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신체이미지의 외모평가, 건강지향, 건강평가로 설명력은 12%이었다. 대인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요인은 건강평가이었으며, 건강지향, 외모평가 순이었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 향상을 위해 자신의 건강과 외모에 대한 긍정적 평가와 건강을 지향하는 삶이 되도록 다각적인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다.

간호사의 대인관계 능력이 재직 의도와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on Nurses' Retention Intention and Turnover Intention in a General Hospital )

  • 김재희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89-198
    • /
    • 2023
  • 본 연구는 간호사의 대인관계 능력이 재직 의도와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경력집단별로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편의표집에 의한 일개 종합병원의 일반 간호사 192명이었다(경력 36개월 이하 95명, 37개월 이상 97명). 자료수집 기간은 2022년 2월 15일-22이었다. 자료 분석은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regression analysis 등을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결과를 보면, 이직 의도가 여자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경력 37개월 이상 집단에서 대인관계 능력이 재직 의도와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대인관계 능력의 재직 의도에 대한 영향의 분석에서는 37개월 이상 집단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대인관계 능력의 이직 의도에 대한 영향은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간호사들의 재직 의도 증진을 위해 대인관계 능력 강화를 위한 전략을 구축할 필요가 있으며, 이때 경력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