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대면 강의

검색결과 94건 처리시간 0.027초

STT(Speech-To-Text)와 ChatGPT 를 활용한 강의 요약 애플리케이션 (A Lecture Summarization Application Using STT (Speech-To-Text) and ChatGPT)

  • 김진웅;금보성 ;김태국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297-298
    • /
    • 2023
  • COVID-19 가 사실상 종식됨에 따라 대학 강의가 비대면 온라인 강의에서 대면 강의로 전환되었다. 온라인 강의에서는 다시 보기를 통한 복습이 가능했지만, 대면강의에서는 녹음을 통해서 이를 대체하고 있다. 하지만 다시 보기와 녹음본은 원하는 부분을 찾거나 내용을 요약하는데 있어서 시간이 오래 걸리고 불편하다. 본 논문에서는 강의 내용을 STT(Speech-to-Text) 기술을 활용하여 텍스트로 변환하고 ChatGPT(Chat-Generative Pre-trained Transformer)로 요약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제안한다.

수업 유형에 따른 학습자 만족도 비교 연구 -동일 교수자의 동일 강좌 강의평가 사례 분석 (A Comparative Study on Learner Satisfaction according to Instructional Mode -Case Analysis of Lecture Evaluation of the Same Course by the Same Instructor)

  • 최임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10호
    • /
    • pp.778-787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수업 유형에 따른 수업설계 및 교수전략 수립을 위한 기반 자료를 얻기 위하여 동일 교수자의 동일 강좌에 대한 서로 다른 수업 유형의 강의 평가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콘텐츠 수업, 온라인 실시간 수업, 온라인과 대면 혼합 수업, 대면 수업 등 4가지 수업 유형으로 나누어, 이에 따른 학습자 만족도를 비교 분석하고 각 유형에 대한 학습자의 요구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강의 진행 적절성에 대한 강의 평가 영역에서 수업 유형별 만족도 차이가 나타났다. 즉, 온라인 실시간 수업 유형에서의 강의 진행에 대한 만족도가 콘텐츠 수업, 혼합 수업, 대면 수업의 만족도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서술형 강의 평가 분석 결과, 학습자들은 콘텐츠 수업에서는 쉽게 이해 가능하고 재미있는 설명에 만족한다고 응답하였다. 온라인 실시간 수업의 경우, 학생들은 철저한 준비와 원활한 소통에 만족한다고 평가하였다. 혼합 수업에서는 체계적 수업과 열정적 강의에 만족한다고 하였으며, 대면수업에서는 상호작용의 즐거움과 교수자의 열정을 만족도의 주된 이유로 표현하였다. 네 가지 수업 형태에서 공통적으로 도출된 만족도 특성은 교수자의 열정이라고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는 각각의 수업 유형에 따른 수업 설계와 교수 전략 수립에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온라인 수업에서 선호수업유형에 따른 학습자 만족도 분석 (An Analysis of Learner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Preferred Class Type in the Online Class)

  • 김경아;김지심;안유정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0년도 제62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8권2호
    • /
    • pp.595-596
    • /
    • 2020
  • 2020학년도 1학기는 외부 환경 요인으로 인해 대학교육시스템에 큰 변화가 발생한 시기라고 할 수 있다. 컴퓨터공학 분야의 대표적인 실습기반 교과목인 프로그래밍 수업에서 학습자들에게 온라인 수업이지만 대면 수업의 실재감을 제공하는 방법을 모색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유형의 수업 방식을 온라인 수업에 활용하여 대면 수업 수준의 실재감을 학습자에게 제공하고 학습효과를 높이고자 하였다. 강의 동영상 수업과 상호작용을 포함한 실시간 수업을 혼합하여 수업한 후 설문 조사를 통해 실시간 수업을 선호하는 학습자들이 수업목표인 프로그램 개발 능력을 타 학습자들보다 잘 습득하여 수업 만족도가 높았고, 이를 통해 온라인 수업에서 실시간 수업이 능동적인 학습자들에게는 대면 수업과 동등한 수준의 학습 효과가 있었음을 조사·분석하였다.

  • PDF

우레아 및 항산화제를 이용한 면도를 위한 수염 강도 약화 연구 (The Study of Facial Hair Weakening Ability Using Urea or Anti-oxidants for Shaving)

  • 김일구;한나경;김선영;한종섭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79-284
    • /
    • 2016
  • 연구에서는 수염에 대한 면도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화장료 제형 개발을 위하여 대면용 화장료에서 사용가능한 우레아 및 여러 항산화제의 수염 강도 약화 효과를 연구하였다. 실제 모발 강도 약화 효과는 우레아 농도에 의존적인 성향을 보였으며, 모발 면적 증가율 역시 농도에 의존적인 것으로 나타나 우레아 농도에 따라 모발의 수화 정도가 달라지며 이것이 강도 약화에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항산화제는 종류에 따라 소량으로도 뛰어난 강도 감소 효과를 보이며, 이는 모발에 다량 존재하는 시스틴 결합을 환원시키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마지막으로 대면용으로서의 적합성 판단을 위해 우레아 및 항산화제의 in vitro 안전성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안전성 테스트 결과 우레아는 대면용으로 사용하기 적합한 정도로 나타났으며, 항산화제 중에서는 글루타치온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위 결과들을 통해 피부 자극이 적고 모발 강도 약화 효과가 뛰어나 면도용 제품에 적용하기 적합한 원료는 우레아 및 글루타치온임을 알 수 있었다.

COVID-19에 따른 대학생들의 수업방식 및 대학생활 (College students' classes type and campus life due to the COVID-19 pandemic)

  • 박부연;이재홍
    • 보건의료생명과학 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245-252
    • /
    • 2021
  • 본 연구는 COVID-19 팬데믹 상황에서 대학생들이 선호하는 강의방법 및 대학생활을 알아보고자 설문조사를 하였다. 설문에는 광주, 전남, 전북에 소재한 전문대학 학생들이 참여하였다. 연구의 주된 결과는 모든 학년에서 비대면 강의 방법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대면강의와 비대면 강의 혼합방법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923). 강의 방법별 교육만족도에서는 대면강의의 만족도 점수가 2.82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00). 그러나 학업성적 향상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가 아니었다(p=0.325). 연구결과 학생들은 감염병의 감염위험으로 인해 비대면 강의에 대한 요구도가 높았지만, 비대면 강의 방법에 대해서는 녹화된 강의내용보다는 실시간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강의 방법을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학생들의 요구사항을 반영하여 교수자는 비대면 강의 교안을 개발할 것으로 생각된다.

수학교과교육학 및 교과내용학 강좌의 대면 및 비대면 운영 결과 비교 분석 (Analysis of the Results between On-Line and Face-to-Face Classes in 'Calculus' & 'Mathematical Education Theory')

  • 서보억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5권2호
    • /
    • pp.257-273
    • /
    • 2021
  • 본 연구는 예비수학교사 대상의 수학교육론과 미적분학 강좌를 비대면수업으로 진행한 결과와 대면수업으로 진행한 결과 사이의 차가 무엇인지를 살펴보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인 '수학교육론' 및 '미적분학' 강좌의 비대면수업은 '비대면수업 수업설계 모형'에 근거하여 계획, 개발, 실행되고 평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수학교과교육학 및 수학교과내용학 강좌운영에서 '비대면수업/혼합수업'과 '대면수업'의 차이가 무엇인지 살펴보았고, 수학교과교육학 과목과 수학교과내용학 과목에 대한 비대면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였으며, '수학교육론' 강좌와 '미적분학' 강좌에서 비대면수업과 대면수업에서 평가결과의 차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향후 예비수학교사교육에서 비대면수업 및 혼합수업 역량이 향상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지속적인 연구가 수행되길 기대한다.

방사선사면허 시험 대비 모의고사 중심으로 대면 교육과 비대면 교육비교 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Education Based on the Mock Test for a Radiologist)

  • 김용완;안병주;이준행;김주미;여화연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923-930
    • /
    • 2020
  • 2020년도는 COVID-19 위기 상황으로 인하여 불가피하게 전면 비대면 교육을 시행하게 되었다. 연구자는 방사선사면허대비 전국 보건 계열 방사선과 3학년, 방사선학과 4학년 학생들이 면허시험을 앞두고 실시한 대면 교육과 비대면 모의시험(2019년 1.2회, 2020년 1.2회)의 성적을 알아보기 위하여 전국 방사선학과 및 방사선과 48개 대학 중 5개의 대학을 선정하여 대면 교육과 비대면 교육(2019년 1,2회, 2020년 1,2회)의 성적을 1회 모의고사 시험에 대면 교육과 비대면 교육(2019년 1회, 2020년 1회)의 성적을 비교하여, 비모수 검정으로 통계를 분석한 결과, 이론(Z=-2.023, p<0.05), 응용(Z=-2.023, p<0.05), 실기(Z=-2.023, p<0.05) 모두 성적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회 모의고사 시험에 대면 교육과 비대면 교육 (2019년 2회, 2020년 2회)의 성적을 비교하여, 비모수 검정으로 통계를 분석한 결과, 이론(Z=-2.023, p<0.05), 응용(Z=-2.023, p<0.05), 실기(Z=-1.753, p<0.05) 성적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의고사 시험의 결과 비대면 교육이 대면교육에 비교해 성적이 저조함에 따라 강의 방법을 달리하거나, 학생들과 소통할 수 있는 다양한 교육 방법을 병행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간호대학생의 혼합 수업 경험 (The Experience of Mixed Lectures of Nursing Students)

  • 서명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129-137
    • /
    • 2021
  • 본 연구는 코로나 19 상황에서 간호학과 학생들이 경험하고 있는 대면-비대면 혼합방식 수업의 경험을 이해하기 위해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이용하여 수행된 질적 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J시 V대학교 간호학과에 재학중인 7명이며,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위하여 연구에 대한 충분한 설명과 서면 동의를 받고 실시하였다. 연구는 다수의 질적연구 경험이 있는 연구자가 실시하였으며, 인터뷰의 모든 내용은 녹음하였고, 인터뷰 후에 가능한 빠른 시간 내에 인터뷰 내용을 연구자가 직접 전사하였다. 연구결과는 내용분석으로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대면-비대면 혼합강의에 대한 간호대학생의 경험으로, 5개의 영역, 10개의 범주, 24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1영역 '혼합강의'는 '긍정적인 면', '부정적인 면'의 범주가 도출되었고, 2영역 '과제'에서는 '불안과 불만이 쌓임', '언택트 조원과 온택트하기'라는 범주가, 3영역 '시험'에서는 '잃어버린 공부패턴', '도움의 끈' 범주가 도출되었다. 4영역 '동기'는 '외적 동기', '내적 동기' 범주가 도출되었고, 5영역 '개선점'에서는 '운영의 묘', '스스로 체질개선' 범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결과로 도출된 각 영역의 내용들은 추후 대면-비대면 혼합강의 설계 시에 기본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비대면 수업에서 학습참여수준에 따른 학습효과 분석 (An Analysis of Learning Effects According to Learning Participation Level in Non-Face-To-Face Classes)

  • 김경아;김지심;안유정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1년도 제64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9권2호
    • /
    • pp.265-266
    • /
    • 2021
  • COVID-19로 인한 외부환경요인의 변화는 2020학년도 1학기부터 대학교육시스템에 큰 변화를 일으켰다. 초기에는 비대면으로 변화된 수업 환경에서 필요한 수업 방법으로 전환하는 데 급급하였다면 비대면 상황이 지속되면서 대면 학습의 실재감을 제공하고 학습효과를 높이는 구체적인 요인 파악과 수업 적용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비대면으로 이루어지는 컴퓨터공학 분야의 대표적인 실습기반 교과목인 프로그래밍 수업에서 대면 수업의 실재감을 제공하기 위해 강의동영상 수업과 실시간 수업을 활용하여 수업주제 맞춤형 비대면 혼합형 수업 방법을 적용한 후 설문 조사를 통해 혼합형 수업에서 학습자의 참여수준(태도)가 대면수업 수준의 실재감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비대면 수업에서는 비대면 환경에서 학습자의 상호작용을 위한 수업 참여 수준(태도)가 대면 수준으로 학습효과를 높이는데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조사·분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