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단열 시트

검색결과 43건 처리시간 0.025초

단열 보완형 복합방수공법의 단열성능에 관한 연구 (Thermal Insulation Performance of Composite Waterproofing Method of Thermal Supplement Type)

  • 최성민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8권4호
    • /
    • pp.59-66
    • /
    • 2014
  • 건설구조물 상부의 단열은 에너지 절약 건설구조물에 있어서 중요한 요건 중 하나이다. 건설구조물 최상부는 단열성뿐만 아니라 방수성능도 중요하다. 이와 같은 이유로 단열성을 확보한 방수공법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일정 단열성능을 확보한 단열 보완형의 복합방수공법이 개발되어 해당 공법에 대한 단열성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수성 시험결과, 모든 시험체는 KS 표준 이상의 성능을 보여주었다. 단열성 시험결과, 스티로폼 박스가 가장 높은 온도인 $25.91^{\circ}C$, 버블시트 박스가 $17.28^{\circ}C$, 단열시트 박스가 $15.47^{\circ}C$, 단열보완형 방수시트가 $24.11^{\circ}C$로 확인되었다. 시트 접합부의 열교현상을 관찰한 결과 열교현상은 발생하지 않았다. 단열보완형 복합방수공법은 단열성능을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발열시트 및 단열재를 사용한 거푸집 내부 콘크리트의 저온환경하 온도이력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Properties of Temperature History Using Heating Sheet and Insulation Form at Low Temperature)

  • 최시현;이한승;최현국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1권4호
    • /
    • pp.132-139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저온환경에서 콘크리트 동해를 방지하기 위해 생석회의 화학반응을 활용한 발열시트 및 단열재를 사용하여 제작한 거푸집 특성을 실험을 통해 평가하였다. $-10^{\circ}C$ 정온조건에서 거푸집 실험 결과, 발열시트가 부착된 거푸집의 경우 발열시트 내부 생석회의 발열로 인해 타설 초기에 일반거푸집에 비해 $10^{\circ}C$이상 높은 온도이력을 보여주었고 단열재를 부착한 거푸집의 경우 콘크리트 수화열을 보존하여 지속적으로 높은 온도를 유지하는 특징을 나타냈다. 아이소핑크와 발열시트를 부착한 거푸집과 진공단열재를 붙인 거푸집이 압축강도나 적산온도에서 가장 높은 값을 가졌다. 압축강도 측정시 진공단열재 및 아이소핑크와 발열시트를 부착한 거푸집이 재령 3일에서 약 5 MPa로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 몽골 현지 외기온도에서도 실험을 하였는데 앞선 결과와 마찬가지로 발열시트, 단열재를 함께 붙인 거푸집이 48시간 동안 $25^{\circ}C$ 이상으로 가장 높은 온도이력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거푸집에 발열시트 및 단열재 부착을 함으로써 발열 및 단열효과로 인해 저온환경에서 콘크리트 강도발현에 도움을 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저온환경에서의 양생시트 변화에 따른 콘크리트의 온도이력 특성 (Temperature History of the Concrete Corresponding to Various Curing Sheets in the Low Temperature)

  • 백대현;홍석민;한민철;한천구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8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제20권2호
    • /
    • pp.781-784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저온 환경에서 단열양생시트 변화에 따른 콘크리트의 온도이력 및 강도특성을 검토하였다. 실험결과 -5$^{\circ}$C에서 노출과 air cap포장지의 경우 초기 24시간 이내로 콘크리트의 온도가 영하의 온도로 저하되어 초기동해가 발생되었다. 반면, 비닐+부직포의 경우 초기 24시간이내의 최저온도가 약 3$^{\circ}$C로 영상의 온도를 유지하였고 이중버블시트의 경우 약 7$^{\circ}$C로 나타나 양호한 단열 보온성능을 나타내었다. 코어압축강도를 측정한 결과 비닐+부직포와 이중버블시트로 양생한 시험체의 압축강도가 양생초기의 우수한 단열효과로 인해 다른 시험체의 압축강도보다 높게 나타났다.

  • PDF

이중버블시트의 함수상태가 단열보온 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특성분석 (Effect of Water Presence in Double Layer Bubble Sheet on Heat Insulation Capability in Cold Weather)

  • 백대현;홍석민;손호정;한민철;한천구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10년도 춘계 학술대회 제22권1호
    • /
    • pp.445-446
    • /
    • 2010
  • 본 연구는 최근 보편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한중콘크리트 시공에서 이중버블시트를 이용한 한중콘크리트 단열보온양생공법의 효용성 검증의 일환으로 이중버블시트에 물이 침투하였을 경우에 콘크리트의 온도이력과 강도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시트내의 함수율 증가에 따른 영향은 거의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이중 버블시트를 이용한 단열양생공법의 한중시공 적용 사례 (Application of Insulation Curing Method with Double Bubble Sheets Subjected to Cold Weather)

  • 홍석민;이충섭;김종;전충근;한민철;한천구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8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제20권1호
    • /
    • pp.1001-1004
    • /
    • 2008
  • 본 연구는 한중환경에서 이중 버블시트를 이용한 단열보온 양생 공법을 슬래브 및 매스 콘크리트에 활용한 결과를 검토한 것이다. 먼저, 이중 버블시트를 적용한 경우 타설 후 2일까지 외기온이 영하$9^{\circ}C$까지 강하하는 경우에도 슬래브콘크리트는 영상 $6^{\circ}C$에서 $10^{\circ}C$이상을 유지하여 초기동해가 방지됨을 알 수 있었고, 매스콘크리트의 경우에는 중심부 최고온도와 표층부 최고온도차이가 $6^{\circ}C$이하로 나타나 내부구속에 의한 수화열 균열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본 현장에 적용된 이중버블시트를 이용한 단열보온양생 공법은 동절기 영하에서도 안정된 양생온도 관리로 초기동해를 방지할 수 있었고, 소요강도를 확보할 수 있었다. 또한, 가시설의 설치 해체 공정을 줄여 공기단축 효과와 인건비절감등 양생비용의 감소로써 한중콘크리트의 품질확보에 우수한 효과가 있음과 동시에 단열 양생공법의 경제성이 입증되었다.

  • PDF

광발열 단열시트를 적용한콘크리트의 특성 (Performance of Heat Insulation Capability of the Concrete Applying Light Heat Generating Sheet)

  • 이현직;백성진;이승민;임군수;김종;한민철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3년도 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69-170
    • /
    • 2023
  • In this study, light-heat generating materials were produced in two ways, and the performance of two light-generating insulation sheets was reviewed.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improved heating performance of the light heating insulation sheet compared to the existing bubble sheet. The light heat insulation sheet (b) showed improved thermal properties compared to the existing bubble sheet, and it is believed that the temperature has increased due to the combined effect of initial hydration heat and heat generation after installation. In future studies additional experiments are needed to compensate for the insufficient insulation performance due to the single bubble sheet through the double bubble sheet and to adjust the amount of light-generating materials added as a consideration of the optimal heat-generating effect of the light-generating insulation sheet (b).

  • PDF

한중시공에서 2중 버블시트 포설에 따른 단열 효과분석 및 무선센서 네트워크에 의한 초기 품질관리 (Insulation Effect of Double Layered Bubble Sheet Application in Cold Weather Concrete and Initial Quality Control by Wireless Sensor Network)

  • 한민철;서항구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21-29
    • /
    • 2021
  • 본 연구는 한중 환경에서 가열 보온양생을 실시한 벽식구조 아파트의 슬래브 상부 및 벽체를 대상으로 2중 버블시트 포설에 따른 온도이력 및 강도발현 특성을 저자 등에 의해 이전 연구에서 개발된 무선센서 네트워크인 Concrete IoT Management System(CIMS)를 이용하여 실시간 모니터링 및 추정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버블시트의 단열성능에 기인하여 구조체 콘크리트의 온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CIMS의 경우는 콘크리트 내부온도를 30 m까지 양호하게 무선센서 네트워크로 스마트폰에 전송되어 적산온도 및 실시간 압축강도 측정으로 효율적인 초기 품질관리가 가능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초기 품질관리 결과로서 압축강도는 7일 이내에서 약 2 MPa 이내의 오차로 추정될 수 있음에 따라 버블시트의 단열효과까지 포함하여 실무에서는 거푸집 존치기간을 1사이클 당 1일 정도 단축하는 공정관리 측면에서 효과도 얻을 수 있었다.

이중버블시트의 포설 시공조건 변화에 따른 한중 콘크리트의 단열보온 성능 분석 (Analysis on the Heat Insulation Performance of Cold Weather Concrete according to Change of Laid Construction Conditions of Double Bubble Sheets)

  • 한천구;한민철;백대현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0권5호
    • /
    • pp.121-128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한중 콘크리트의 단열보온양생 공법재료로 사용되고 있는 이중버블시트의 다양한 포설 시공조건 변화에 따른 단열보온성능을 검토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시공요인에 따른 콘크리트의 온도이력의 경우 4시간 이내의 버블시트 포설시기 변화 및 버블시트내 함수율 변화는 전체적으로 큰 차이없이 유사한 온도이력 및 적산온도를 나타냈으나, 구조체가 얇거나 여러 장의 버블시트를 포설할 경우 시트간 간격이 크게 발생하면 콘크리트 초기양생에 불리한 요건이 발생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콘크리트의 코어공시체 압축강도는 버블시트의 포설시기를 지연시키거나, 시트간 간격을 크게 유발시키거나, 버블시트내 함수율을 증가시키거나, 타설 콘크리트 구조체 두께가 얇게 되는 등 콘크리트 양생에 불리한 조건을 적용시킬수록 초기 압축강도는 저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재령이 경과할수록 그 차이는 작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열 전단 밴드의 유한요소 해석 (Finite Element Anmllysis of Adiabatic Shear Band)

  • 유요한;전기영;정동택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6권8호
    • /
    • pp.1519-1529
    • /
    • 1992
  • 본 연구에서는 단열 전단 밴드의 특성 규명을 위하여 특별히 고안된 계단 형 상 시편(stepped specimen)의 수치해석을 통하여 단열 전단 밴드의 형성과 성장(init- iation and growth of adiabatic shear band)에 관한 체계적 해석을 시도해 보았다. 금번 논문에서는 우선 격자 크기(mesh size)와 충격 속도(impact velocity)가 단열 전 단 밴드의 형성 및 성장에 미치는 영향과 제반 특성을 규명할 계획이며 차후 재료의 기하학적 형상 등이 단열 전단 밴드의 형성 및 성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단계적 연구를 시도할 계획이다. 해석을 위하여 가공경화효과, 변형률 속도 경화효과(stra- in rate hardening effect), 열적연화효과 등을 고려할 수 있는 구성 방정식(constit- utive equation)을 갖춘 엑스플리시트 시간적분 유한요소 코드(explicit time integr- ation finite element code)를 사용하였으며 기존의 연구 결과와는 달리 어떠한 인위 적 결함도 해석에 사용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