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단백질 발현

Search Result 2,667, Processing Time 0.226 seconds

월견초 및 월견자의 멜라닌 생성 억제효과 (Inhibitory Effects of Herb and Seeds of Oenothera odorata on the Melanogenesis)

  • 최미은;우원홍;문연자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49-157
    • /
    • 2010
  • 목적 : 월견초는 다량의 불포화 지방산인 리놀렌산과 감마 리놀렌산을 함유하고 있으며, 천식성 기침이나 아토피피부염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월견초의 전초와 종자 추출물의 피부 멜라닌 합성에 대한 억제 효과를 조사하였다. 방법 : B16F10 멜라닌세포주를 이용하여 멜라닌, tyrosinase 활성 및 세포생존율을 측정하였다. 또한 멜라닌 합성- 관련효소인 tyrosinase, TRP-1, TRP-2의 단백질발현과 $\alpha$-MSH를 처리하여 색소침착을 유도 한 뒤 단백질 발현을 조사하였다. 결과 : 월견자는 B16F10 세포의 멜라닌 합성을 $5\;{\mu}g/ml$$10\;{\mu}g/ml$ 농도에서 각각 대조군의 81.3%, 68.3%로 억제하였고 tyrosinase의 활성도 이와 유사하게 억제하였다. 멜라닌 합성-관련효소들의 단백질발현을 관찰한 결과 월견초와 월견자는 tyrosinase 발현을 억제하였으며 TRP-1과 TRP-2의 발현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다. 특히 $\alpha$-MSH에 의한 과색소 유도 시 tyrosinase 발현이 현저하게 감소되었으며, 월견자의 멜라닌 합성 억제 효과가 월견초 보다 높게 나타났다. 결론 : 이상의 연구 결과 월견자는 멜라닌세포의 tyrosinase 단백질 발현과 tyrosinase 활성을 억제하여 멜라닌 생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폐쇄성과 비폐쇄성 무 정자증 환자의 고환 내 세포 자연사 관련 인자들의 발현 변화와 SELDI-TOF Mass Spectrometry를 이용한 단백질 발현 분석 (Differential Expressions of Apoptosis Regulators and Protein Profiling by SELDI-TOF Mass Spectrometry in Human Testis with Obstructive and Non-obstructive Azoospermia)

  • 김슬기;김호승;이호준;박용석;서주태;윤용달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2권2호
    • /
    • pp.121-132
    • /
    • 2005
  •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비폐쇄성 무정자증 환자에서 나타나는 정자형성과정의 이상과 고환세포의 세포자연사와의 연관관계 여부를 확인하였다. 또한 SELDI-TOF MS 분석을 통하여 고환 내 단백질 발현 양상을 확인하고, 질환에 따른 효과적인 biomarker 개발 가능성 여부를 확인하였다. 재료 및 방법: RT-PCR 및 면역조직화학법을 사용하여 고환에서의 Fas, FasL, Bcl-2, Bax와 Caspase-3의 발현 양상을 확인하고, in situ DNA 3'-end-labelling 방법으로 고환세포의 세포자연사 양상을 확인하였다. SELDI-TOF MS 분석법에 의한 고환의 병리학적 소견에 따른 단백질 발현 변화는 소수성 칩 ($H_4$)을 사용하여 분자량 10~100 kDa 범위 내에서 분석하였다. 결 과: 정상적인 정자형성과정을 보이는 폐쇄성 무정자증 환자의 고환에 비해 지주세포 증후군 (Sertoli cell only syndrome)과 성숙정지 (maturation arrest)를 보이는 고환 내 생식세포와 지주세포에서 세포자연사가 현저하게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세포자연사 관련인자들의 발현 양상을 확인한 결과, 지주세포 증후군과 성숙정지 환자군에서 Fas와 FasL mRNA의 발현이 증가하였으나, bcl-2, bax와 caspase-3 mRNA 발현의 경우에는 두 질환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다. FasL 단백질 발현의 경우, 세포자연사의 증가가 관찰되었던 지주세포 증후군과 성숙정지를 보이는 환자의 간질세포와 지주세포에서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SELDI-TOF MS 분석 결과에서 폐쇄성 무정자증 환자군에 비해 전체적인 단백질 발현양이 지주세포 증후군과 성숙정지 환자의 고환에서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특히, 16.730 kDa 단백질의 현저한 감소를 확인할 수 있었다. 결 론: 본 연구결과를 통해 비폐쇄성 무정자증 환자에서 나타나는 정자형성과정의 장애는 생식세포의 비정상적인 세포자연사와 연관되어 있으며, 고환 내 Fas와 FasL의 비정상적인 발현이 주된 원인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SELDI-TOF MS 분석법을 통한 단백질 발현 양상의 연구는 무정자증 환자에서의 다양한 병리학적 소견을 쉽게 파악할 수 있는 biomarker 발굴뿐만 아니라 질환의 원인규명을 위한 연구에도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방선균이 생산하는 인산화타이로신 단백질 포스파타아제의 분자생물학적 연구 (The Molecular Study of Phosphotyrosine Protein Phosphatase (PtpA) from Streptomyces coelicolor A(3)2)

  • 최학선;신용국;김춘성;김시욱
    • 생명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13-119
    • /
    • 2002
  • 방선균에 존재하는 단백질 타이로신 포스파타아제의 기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우선 이 유전자를 대장균에 클로닝하여 대량으로 발현시킨 결과, 발현된 단백질은 soluble형태로 존재하여 자신의 효소활성을 가지고 있었으나, 효소활성부위에 대한 변이주의 경우에는 기질과 결합은 하였으나 활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었다. 방선균에서 이 효소의 세포내 기작 및 결합 단백질을 파악하기 위해 대장균에 클로닝한 유전자를 방선균 발현벡터(pIJ6021)에 클로닝을 하였다. 이렇게 만든 유전자를 in-ducer인 thiostrepton을 이용하여 발현시킨 결과, 활성형의 단백질 타이로신 포스파타아제가 대량으로 생산되었다. 그리고 이들 유전자를 방선균에서 과잉 발현시킨 결과 항생제 생산 및 형태 변화 등의 표현형은 나타나지 않았다. 이효소와 반응하는 기질 및 결합 단백질을 찾기 위해서 이들과 결합은 하지만 반응하지 않는 돌연변이 단백질 타이로신 포스파타아제 (PtpA(C9S))를 유전자 조작하여 방선균에서 과잉 발현시켰다 그 결과 표현형은 없었지만 인산 타이로신 단백질의 패턴변화를 알 수 있었고, 단백질 타이로신 포스파타아제에 의하여 인산화 조절되는 단백질 3개 찾을 수 있었다. 이들 세 단백질(p65, p90 그리고 p200)은 ptpA(C9S)가 발현된 방선균에서 보다 더 많은 인산화 패턴을 나타내었으며, 이들은 가능한 단백질 타이로신 포스파타아제의 표적이라고 생각되었다. 만약 이들의 구조가 밝혀진다면, 방선균의 타이로신 포스파타아제의 기능 및 신호전달 과정의 역할을 파악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감미단백질 관련 브라제인, 타우마틴 및 미라쿨린 유전자를 이용한 형질전환 상추 육성 및 발현분석 (Stable expression and characterization of brazzein, thaumatin and miraculin genes related to sweet protein in transgenic lettuce)

  • 정여진;강권규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5권3호
    • /
    • pp.257-265
    • /
    • 2018
  • 감미료(sweetener)는 단맛을 느끼게 하는 첨가물 중 하나로 인공감미료와 설탕이 대표적이며, 단맛의 특성을 지닌 감미 단백질도 잘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천연 감미 단백질, brazzein, thaumatin 및 miraculin의 안정적인 생산을 위해 Agrobacterium방법으로 상추 세포를 형질 전환시켰다. 감미 단백질을 코딩하는 합성 유전자들은 상시적으로 발현하는 프로모터의 제어 하에 상추에 형질전환 하였다. 형질전환한 잎을 이용하여 RT-PCR 및 Western blot 분석을 실시한 결과 감미 단백질이 안정적으로 발현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형질전환 상추에서 발현한 단백질은 단맛을 유발하는 단백질 활성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유전자 재조합 감미 단백질들은 형질전환한 상추에 잘 발현된 것을 보여 주며, 이들 생산 시스템은 식물로부터 감미단백질 생산을 위한 좋은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C형 간염바이러스 코어 단백질에 의한 p53 활성화와 프로모터 과메틸화를 통한 E6AP 발현 억제 (Hepatitis C Virus Core Protein Activates p53 to Inhibit E6-associated Protein Expression via Promoter Hypermethylation)

  • 곽주리;장경립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9호
    • /
    • pp.1007-1015
    • /
    • 2018
  • E6AP (E6-associated protein)는 C형 간염바이러스(hepatitis C virus, HCV)의 코어 단백질 유비퀴틴화와 프로테오좀 분해를 유도하여 캡시드 조립을 저해함으로써 HCV 복제를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반면에 HCV 코어 단백질은 숙주의 항바이러스 방어계에 대항하고 자신의 유비퀴틴-의존적 프로테아좀 분해를 막기 위하여 DNA 메틸화를 통하여 E6AP 발현을 저해하는 전략을 진화과정에서 획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HCV 코어 단백질이 E6AP 발현을 저해하는 기전을 밝혀내고자 하였다. HCV 코어 단백질은 HepG2 세포에서 DNA 메틸화 효소들인 DNMT1, 3a 및 3b의 단백질 수준과 효소 활성을 증가시켜 프로모터 과메틸화를 통하여 E6AP 발현을 저해하였지만 p53를 발현하지 않는 Hep3B 세포에서는 이러한 효과들이 관찰되지 않았다. 흥미롭게도 Hep3B 세포에 p53만 과발현시키면 HCV 코어 단백질이 없더라도 DNMT가 활성화되고 프로모터 과메틸화를 통하여 E6AP 발현이 저해되었다. 또한 p53 녹다운 및 과발현 실험을 통하여 p53 활성화가 HCV 코어 단백질의 효과에 필수적임을 알 수 있었다. 이로 인하여 Hep3B 보다 HepG2 세포에서 낮은 수준의 유비퀴틴화된 HCV 코어 단백질이 검출되었다. 따라서 HCV 코어 단백질은 p53-의존적으로 자신의 유비퀴틴-매개성 프로테아좀 분해를 저해한다.

Proteomics를 이용한 등숙기 차이에 따른 콩 종실 저장단백질 발현양상 비교 분석 (Analysis of Protein Function and Comparison on Expression of Protein in Taekwang During Maturation using Proteomic Techniques)

  • 조성우;김태선;권수정;;이철원;김홍식;우선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0권1호
    • /
    • pp.41-46
    • /
    • 2015
  • 본 연구는 국내 육성 품종인 태광콩의 등숙기에 따른 단백질 발현 양상을 비교함으로써 등숙기 단백질 발현의 차이에 대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수행하였다. 동한 개화 후 종실의 등숙이 진행됨에 따라서 단백질 발현 양상이 세가지 경향으로 나뉘어 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첫 번째는 등숙이 진행됨에 따라서 단백질 발현 정도가 증가하다가 감소되며, 두 번째는 증가와 감소의 시기가 성숙기에 이루어지며, 세번째는 등숙기부터 성숙기까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단백질의 기능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사료된다. 등숙 초기에는 등숙에 필요한 단백질의 발현이 증가할 것이며 등숙 후기에는 저장단백질의 발현이 증가할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향후 좀 더 많은 수의 단백질 spot 들을 동정하여 어떤 기능을 가진 단백질이 등숙기에 따라 단백질의 발현 양상이 달라지는지는 좀 더 면밀히 관찰할 필요성이 있다고 사료된다.

Dehydroascorbate reductase 과발현 형질전환 감자 식물체의 단백질체 분석 (Proteomic analysis of dehydroascorbate reductase transgenic potato plants)

  • 한은희;구영민;김윤희;이신우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3권2호
    • /
    • pp.223-230
    • /
    • 2016
  • 아스코르빈산(ascorbic acid, AsA)는 강력한 항산화 물질 및 환원제로서 식물에서 산화형 AsA인 dehydroascorbate(DHA)를 활성형인 환원형 AsA로 변환시키는 효소인 dehydroascorbate reductase (DHAR)에 의해 생성된다. 선행연구의 결과로서, 본 연구팀은 참깨의 모상근에서 분리한 DHAR 유전자를 이용하여 항시 발현하는 CaMV 35S 프로모터와 괴경 특이적으로 발현하는 patatin 프로모터의 조절하에 과발현 시킨 형질전환 감자를 개발하였다. 형질전환 감자 식물체들은 비형질전환체 보다 증가된 DHAR 활성과 AsA 함량을 보인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단백질체 분석을 통해서 형질전환 감자 식물체에서 DHAR 과발현에 의해 조절되는 단백질들을 조사하였다. 단백질체 분석의 결과로서, 형질전환 감자에서 도입된 DHAR 단백질과 다양한 항산화 관련 단백질들이 식물 생장시기 동안 증가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서, 도입된 유전자인 DHAR이 항산화 단백질들의 발현 증가를 통해 형질전환 식물체의 스트레스 내성 기작을 향상 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HepG2세포에서 향버섯 추출물이 세포주기 조절단백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arcodon aspratus Extract on Expression of Cell Cycle-Associated Proteins in HepG2 Cells)

  • 배준태;장종선;이갑랑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329-332
    • /
    • 2002
  • 본 연구는 사람의 간암세포인 HepG2 세포를 대상으로 강력한 암 예방 효과물질을 함유하고 있을 것으로 추측되는 향버섯 메탄올 추출물의 암세포 성장 저해 효과를 검토하고 또한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의 분자생물학적 기전을 파악하기 위하여 암세포주의 세포주기 조절인자들의 발현을 조사하였다. 향버섯 메탄을 추출물의 HePG2세포에 대한 성장 저해 효과를 MTT assay로 검토한 결과 높은 암세포 성장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사람의 정상 간세포인 Chang cell에서는 세포독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향버섯 추출물의 작용으로 HepG2 세포에서 cyclin A와 Dl 단백질의 발현이 억제 되었으며 cyclin Bl 단백질의 발현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암 억제 단백질인 p53의 발현은 전반적으로 증가되었으며, 이와 대조적으로 PCNA 단백질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세포분열 억제 단백질 p27의 발현은 증가 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향버섯 메탄올 추출물은 간암세포의 세포주기 중 Gl기 에서 S기로의 진행을 조절하는 인자인 cyclin A와 cyclin Dl 발현을 억제시키고 p53, p27 단백질을 활성화 시킴과 동시에 PCNA 작용을 억제 함으로써 세포주기 중 Gl/S기 차단을 유도하여 암세포 증식을 억제한 것으로 추정된다.

유기용매 내성균주의 단백질 발현조사를 통한 heat shock와 oxidative stress의 유기용매내성과의 연관성

  • 최승태;이지아;배기정;문자영;정영기;주우홍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253-256
    • /
    • 2001
  • Toluene으로 $30{\sim}60$분 스트레스를 주어 5회 이상 단백질의 pattern을 조사한 결과, toluene과 heat에 의해서 $3{\sim}5$개정도의 단백질이 중복되게 발현됨을 알 수 있었다. 일반적으로 10kDa 이하의 단백질들은 transcription factor로서 작용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데, 본 실험에서는 약 7kDa인 단백질이 유기용매에 의해서 유도됨이 확인되었으며, $30{\sim}45$분에서 단백질 발현율이 2 배 이상 증가하였다.

  • PDF

송사리 모델계에서 다이아지논 노출에 대한 생물 지표로서 알파 튜블린의 동정 (The Identification of Alpha-Tubulin as a Biomarker for Diazinon Exposure in Medaka Fish)

  • 김우근;이성규;전대수;고성철;김정상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22권4호
    • /
    • pp.305-312
    • /
    • 2007
  • 환경오염을 신속하게 모니터링하기 위한 생물지표의 개발은 증가하고 있는 오염의 심각성에 비추어 매우 중요한 과제로 여겨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독성물질처리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발현이 조절되는 단백질의 동정을 통하여 독성물질에 대한 단백질 생물지표를 발굴하고자 시도하였다. 즉, 송사리(Oryzias latipes)를 유기인계 살충제인 다이아지논(diazinon)에 0, 0.1, 1, 5 mg/L 농도로 24시간 노출시킨 후, 머리와 몸통부분으로 나누어 단백질 발현패턴을 분석하였다. 본 시스템에서 다이아지논 처리에 의하여 유의적으로 발현이 증가된 단백질로서 alpha-tubulin, ribonuclease pancreatic precursor, protein hfq 등을 동정하였으며, 이 가운데 alpha-tubulin과 $hsp90{\beta}$의 발현이 다이아지논 농도에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semi-quantitative RT-PCR방법으로 확인하였다. 이와 같이 다이아지논 처리에 특이적으로 발현이 증가된 송사리 단백질들은 노출평가를 위한 생물지표로서 개발에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