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다문화 태도

검색결과 149건 처리시간 0.035초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다문화교육 목표에 대한 관점, 다문화교육에 대한 태도와 다문화 교수효능감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s between Preschool Teachers' Beliefs about the Purpose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heir Attitudes and Teaching Efficacy with Respect to Multicultural Education)

  • 김나림;권이정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0권5호
    • /
    • pp.83-100
    • /
    • 2014
  •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다문화교육 목표에 대한 관점과 다문화교육 태도 및 다문화 교수효능감과의 관계를 분석한 연구이다. J시의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 총 296명을 대상으로 Pang(2005)의 다문화교육의 목표에 대한 교사의 관점, Ponterotto와 동료들(1998)이 개발한 교사 다문화 태도 척도 (Teacher Multicultural Attitude Survey: TMAS)를 옥장흠(2009)이 수정 보완한 다문화 교육에 대한 태도 척도, 최충옥과 모경환(2007)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교수효능감을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spsspc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일원변량분석,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기관 교사들은 다문화교육의 목표에 대한 관점에 대해 많은 교사들이 다문화교육은 '인간관계 강조'나 '배려중심'교육이 목표라고 인식하였다. 두 번째로,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다문화교육 목표에 대한 관점에 따라 다문화교육 태도와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다문화교육에 대한 태도나 다문화 교수효능감은 다문화교육 목표에 대한 관점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지는 않았다. 다만 '교육과정에 대한 태도'에서 교사의 관점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다문화교육 태도와 다문화 교수효능감은 정적 상관을 보여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다문화교육에 대한 일반적 태도, 교사역할에 대한 태도, 교사교육에 대한 태도 모두 교수효능감과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은 유아교육기관 교사들을 위한 다문화 현직교육과정의 필요성과 결부하여 논의되었다.

다문화 청소년의 부모 양육태도와 이중문화수용태도에 대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와 조절효과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s of Self-este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ttitude and Bicultural acceptance attitude among Multicultural adolescents)

  • 박일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2호
    • /
    • pp.539-548
    • /
    • 2021
  • 본 연구는 다문화 청소년을 대상으로 부모 양육태도와 이중문화수용태도와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와 조절효과를 규명하고자 시도되었다.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수행한 다문화청소년 패널조사 중 2017년 자료인 고등학교 1학년 1,260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AMOS 20.0과 SPS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부모 양육태도와 자아존중감, 부모 양육태도와 이중문화수용태도, 자아존중감과 이중문화수용태도는 순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자아존중감은 부모 양육태도와 이중문화수용태도 사이에서 부분 매개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두 변수 사이에 조절효과는 없었다. 향후, 다문화 청소년의 이중문화수용태도 향상을 위해 부모의 양육태도와 다문화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이 포함되어야 할 것이며, 이중문화수용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인들을 고려한 추가 연구를 제언하고자 한다.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종사자의 다문화수용성이 다문화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of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Workers on Multicultural Attitude)

  • 김영교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9권9호
    • /
    • pp.117-124
    • /
    • 2014
  • 이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종사자들의 다문화의 수용성의 인식수준에 대한 분석과 다문화 태도와의 관계에 대한 분석을 이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목적을 위하여,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종사자들의 사회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다문화 수용성과 다문화 태도의 차이가 어떠한지를 분석한 결과 변수들 간의 차이가 나타났다. 그리고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종사자들의 다문화 수용성의 다문화관계 형성능력, 다문화적 인식, 다문화적 공감의 요인들이 다문화 태도의 개방성과 수용성, 그리고 융통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변수들 간에 유의한 관계가 나타났다. 이를 통하여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종사자들의 다문화 태도의 수준을 제고시킬 수 있는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였다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는 것이다.

다문화 청소년에 대한 부모 지지가 진로 태도 결정성에 미치는 영향: 이중문화 수용 태도의 매개효과 (Effect of Parental Support for Multicultural Youth on Career Attitude Determinism: Mediating Effect of Bicultural Acceptance Attitude)

  • 정인숙
    • 산업진흥연구
    • /
    • 제8권4호
    • /
    • pp.91-99
    • /
    • 2023
  • 본 연구는 급변하는 다양한 환경 속에서 미래 한국 사회의 성장 동력이 될 다문화 청소년의 진로 태도 결정성을 확인하고, 다문화 청소년에 대한 부모 지지가 진로 태도 결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다문화 청소년의 경우에는 출생하면서 노출되는 이중문화에 대한 혼란으로 일반 청소년과 비교하면 부모 지지와 진로 태도 결정성에서 더 많은 어려움을 경험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문화 청소년의 부모 지지가 진로 태도 결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중문화 수용 태도가 매개하는지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한국청소년정책연 구원에서 실시한 다문화 청소년 패널(MAPS) 8차 연도의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연구 대상은 고등학교 2학년 다문화 청소년 총 1,229명이 참여하였다. 자료의 분석을 위하여 SPSS 18과 AMOS 17.0을 활용하였으며 빈도분석, 기술 통계분석, 상관관계 분석, 경로 모형 적합도 검증, 경로 모형 계수, 매개효과 검증을 시행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 청소년의 부모 지지와 진로 태도 결정성을 향상하는 통합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다문화청소년의 자아탄력성, 이중문화수용태도, 집단따돌림 및 부모양육태도가 학업중단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Ego-Resilience, Biculture-Acceptance, bullying and Parenting attitude on Their Intention of School Dropout)

  • 정두수;백진아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10호
    • /
    • pp.161-173
    • /
    • 2020
  • 본 연구는 다문화 청소년의 자아탄력성, 이중문화수용태도, 집단따돌림 및 부모양육태도가 학업중단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다문화청소년패널 5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다문화 청소년 1,347명을 표본으로 추출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체적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 청소년의 높은 자아탄력성 및 이중문화수용태도와 긍정적 부모양육태도는 학업중단의도를 감소시키는 영향을 미쳤다. 둘째, 다문화 청소년의 집단따돌림 피해경험은 학업중단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는 다문화 청소년의 학업중단의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독립변수 중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문화 청소년이 학업중단의도를 가지는 것을 예방하고 실천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들을 제시하였다.

부모의 긍정적·부정적 양육태도가 다문화 청소년의 학업중단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중문화수용태도의 매개효과 (The Effects of Positive and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on Intention of School Dropout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Mediating Effect of Biculture Acceptance)

  • 우안순;백진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호
    • /
    • pp.379-388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양육태도가 다문화 청소년의 학업중단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그 관계에서 이중문화수용태도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다문화청소년패널(MCAPS) 6차년도 자료 중 다문화청소년 1,323명을 분석대상자로 선정하였다. 분석방법은 주요변수의 기술통계, 상관분석, 구조방정식 등을 활용해 경로분석 모형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와 이중문화수용태도가 학업중단의도를 감소시키는데 반해, 부정적 양육태도는 학업중단의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중문화수용태도는 긍정적 양육태도와 학업중단의도 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 효과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부정적 양육태도와 학업중단의도 간의 관계에서도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청소년의 이중문화수용태도를 높이고 학업중단의도를 예방할 수 있는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부모의 양육태도가 공동체의식에 따라 대학생의 다문화 수용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arenting Attitude on the Multicultural expropriation of University student According to Community Spirit)

  • 우안순;박봉선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8호
    • /
    • pp.189-197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이 인식하는 부모의 긍정적 부정적 양육태도가 다문화 수용에 미치는 영향과 그 과정에서 공동체 의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7차 년도 자료를 기준으로 대학교에 입학한 1학년 학생 1,336명을 표본으로 추출하여 회귀분석을 실행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대학생이 인식하는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는 다문화 수용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부정적 양육태도는 다문화 수용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공동체 의식은 대학생의 다문화 수용에 정(+)적인 영향을 주고, 긍정적 부정적 양육태도와 다문화 수용 사이에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와 다문화 수용을 높이고, 긍정적 양육 태도와 공동체 의식을 고취시키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을 제시하였다.

한국과 미국 예비 유아교사의 다문화 관련 경험에 따른 다문화 이해 및 다문화교육 관련 특성에 대한 연구 (The Research on Multicultural Experiences Influence the Multicultural Understanding and Characteristics toward Multicultural Education of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 서현아;천희영;위수정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69-94
    • /
    • 2011
  • 본 연구는 한국과 미국의 예비 유아교사의 다문화 관련 경험에 따라 다문화교육의 이해, 다문화교육 인식과 태도 및 다문화교육 효능감에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과 미국 대학에서 유아교육을 전공하고 있는 예비 유아교사 512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사용하여 다문화 관련 경험, 다문화 이해,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과 태도 및 다문화교육 효능감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국의 예비 유아교사들이 한국의 예비유아교사들보다 다문화 관련 교과목 이수 경험, 다문화 가정 유아 경험, 해외 문화 경험, 다문화 가정학생 동분 수업 경험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국과 미국 양국 모두 다문화 경험의 유무에 따라 예비 유아교사들의 다문화에 대한 이해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예비 유아교사의 다문화 관련 경험에 따른 다문화교육 관련특성은 다양하게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미국 예비교사의 경우 다문화 경험의 유무에 따라 다문화 교육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 있어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한국예비교사의 경우, 다문화가정 학생과 동반 수업의 경험이 있을수록 다문화 교육에 대한 인식과 태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 교육 효능감에 있어서는 미국 예비 교사들은 다문화 관련 경험에 따라 다문화 효능감에 있어서 차이가 없었으며 한국 예비 교사들은 다문화 관련 교과목을 이수한 예비 교사일수록 다문화교육에 대한 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생의 편견과 다문화적태도가 다문화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Bias and Multicultural Attitude on Multicultural Efficacy in Elementary Students)

  • 김영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5639-5647
    • /
    • 2011
  •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편견, 다문화적태도가 다문화효능감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초등학교 다문화교육의 방향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라북도 초등학교 학생 416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사용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성별, 학년별 모두 편견, 다문화적태도, 다문화효능감에서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다. 둘째, 초등학생들은 편견, 다문화적태도, 다문화효능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생의 편견이 다문화적태도 및 다문화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초등학생의 다문화적태도가 다문화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로 볼때, 초등학생들의 눈높이에 맞는 다양한 다문화프로그램을 개발·활용하여 지속적인 다문화교육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학생들이 다양한 문화를 바라보는 긍정적인 이해와 수용이 뒷받침 될 수 있는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사회복지전공 대학생의 다문화 역량에 관한 영성지능과 인권태도의 구조분석 (A Study on the Structural Analysis on Multicultural Competence Relating to Spiritual Intelligence and Human Rights Attitudes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Social Welfare)

  • 박선희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9권1호
    • /
    • pp.79-101
    • /
    • 2017
  • 본 연구는 사회복지전공 대학생의 다문화 역량을 파악하고, 다문화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영성지능, 인권태도 요인의 영향력을 구조방정식 모델을 활용하여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독립변수로 영성지능을, 종속변수로 다문화 역량을 설정하였으며, 인권태도를 매개변수로 구성하였다. 연구대상은 대구 경북 지역 5개 대학의 사회복지전공 대학생으로 259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다문화 역량에 영성지능과 인권태도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침으로써 영성지능과 인권태도의 수준이 높을수록 다문화 역량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영성지능이 인권태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영성지능이 높을수록 인권태도의 수준이 높았다. 그리고 다문화 역량에 대한 영성지능의 경로에서 인권태도가 유의미한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복지전공 대학생이 초월성, 삶의 의미와 목적과 연결성을 내포한 영성지능의 수준을 높게 가질 때 사회복지실천에서 중요시되는 인권적인 관점이 강화되고 다양한 정체성을 가진 이주자들을 원조하는데 요구되는 다문화 역량이 높아질 수 있음을 말해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 전공대학생이 '다문화 역량 민감성', '영성지능 민감성', '인권태도 민감성' 등의 3가지 '다(多)민감성'을 갖출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