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능력요소

검색결과 2,415건 처리시간 0.033초

기술적 의사소통능력의 하위요소 추출과 체제모형 구축 (Study on Extraction of Sub-element and Construction of System Model for the Technological Communication Skills)

  • 김주현;이용진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105-120
    • /
    • 2015
  • 이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의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도구로서 사용될 기술적 의사소통능력의 하위요소 추출과 체제모형 구축에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기술적 의사소통능력 하위요소 추출 및 정의, 기술적 의사소통능력 체제 모형구축의 두 가지 단계로 진행하였다. 기술적 의사소통능력 하위요소 추출 및 정의 단계에서는, 기술적 의사소통능력과 관련된 요소를 포함하고 있는 기존의 설계과정 모형을 분석, 비교하고, 기술적 의사소통능력 하위요소를 추출하여 전문가 검증하였다. 다음으로 '기술적 의사소통능력'과 그 하위요소에 대한 정의를 하였다. 기술적 의사소통능력 체제 모형 구축 단계에서는, 기술적 의사소통능력 하위요소와 관련 문헌에 대한 연구를 통해 기술적 의사소통능력 체제 모형을 구축하여 전문가 검증하였다. 이러한 연구과정을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적 의사소통능력의 하위요소는 이미지, 스케치, 순서도, 설계도, 원형제작, 기호 표 그래프, 프레젠테이션이 추출되었다. 둘째, 기술적 의사소통능력을 '온라인 오프라인을 아우르는 협업 활동'을 기반으로, '기술적 의사소통 도구'를 사용하여, '교류를 통한 구상, 교류를 통한 구현, 교류를 통한 마무리'의 과정을 통해 길러지는 의사소통능력으로 정의하였다. 셋째, 기술적 의사소통능력은 교류를 통한 구상(이미지, 스케치, 순서도), 교류를 통한 구현(설계도, 원형제작), 교류를 통한 마무리(기호 표 그래프, 프레젠테이션)의 모든 과정이 협업을 기반으로 체제를 구성하고 있다. 넷째, 기존 의사소통능력 검사도구와 기술적 의사소통능력 체제모형을 기반으로 기술적 의사소통능력 검사 도구를 개발하고, 전문가 타당도 조사를 통해 개선하였다.

정보 교육에서 요구되는 창의적 문제해결능력의 인지적 요소 정의 (Cognitive Components Definition of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in Informatics Education)

  • 김종혜;정회강;김한성;김현철;이원규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1-12
    • /
    • 2008
  • 학교의 교과 교육을 통한 창의적 문제해결능력 향상 교육은 중요하다. 특히 정보 교육은 일반적인 문제해결능력 뿐 아니라, 컴퓨터를 이용한 문제해결능력도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정보교육에서 요구되는 창의적 문제해결능력의 인지적 요소를 정의하고자 하였다. 정보교육에서 요구되는 창의적 문제해결능력의 인지적 요소는 문제해결능력과 창의력의 구성요소를 교차한 결과를 이용하고, 전문가 집단의 타당도를 이용해 조사하였다. '문제 이해 및 분석' 단계에 적합한 창의력 요소는 정교성, 민감성, 재구성력이 선정되었고, '문제 해결 방안 탐색' 단계에 적합한 창의력 요소는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이 선정되었다. '문제 해결 방안 설계' 단계와 '구현' 단계에 적합한 창의력 요소는 정교성이 선정되었다. 마지막으로 '평가' 단계에 적합한 창의력 요소는 융통성, 정교성이 선정되었다.

  • PDF

독서토론의 수행평가 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erformance Assessment Tool in Reading Debate)

  • 정종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353-373
    • /
    • 2006
  • 본 연구는 독서능력과 토론능력에 대한 개념 및 구성요소를 명확히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평가도구와 평가기준을 개발하여 학교도서관의 독서토론수업에서 학습자에 대한 객관적인 수행평가를 실행할 수 있는 평가 방법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먼저 학교도서관 독서토론수업의 관점에서 독서토론과 평가의 필요성을 살펴보고, 기존의 독서능력과 토론능력에 대한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독서능력과 토론능력의 개념과 그 구성요소들을 고찰하였다. 독서능력과 토론능력의 구성요소를 추출하고 학교도서관의 독서토론수업 수행평가에 포함되어야 할 구성요소를 기초로 하여 사서교사와 교과교사 즉, 교육평가자 관점의 평가도구와 평가기준을 개발하였다.

  • PDF

NCW 체계하의 전투능력 평가 방안 연구

  • 정종문;고동철
    • 정보와 통신
    • /
    • 제26권3호
    • /
    • pp.3-8
    • /
    • 2009
  • 본 연구는 네트워크 중심전(NCW)에서 전투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과 전투능력 평가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투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기초변수로 상황인식, 환경적응, 물자보급, 정보유통 및 지휘통제를 설정하고 이러한 기초변수가 전투능력에 미치게 될 영향을 추론하였다. 설정된 기초변수를 전제하여 대응소요 시간을 기반으로 전투능력을 평가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대응 신뢰성 및 대응 효율을 평가함으로써 전투능력을 정량화하는 것이 가능하며 정량화된 자료를 축적함으로써 통계적으로 전투능력과 기초변수와의 상관관계를 파악할 수 있으며 이러한 관계를 이해하는 것은 NCW 체계구축에 중요한 요소가 될 것이다.

공학설계능력의 평가 요소 구명 (Investigation of the Components for Assessing the Ability of Engineering Design)

  • 김태훈;이소이;노태천
    • 공학교육연구
    • /
    • 제8권3호
    • /
    • pp.49-56
    • /
    • 2005
  • 이 연구는 공학설계능력의 평가를 위한 공학설계능력의 평가 요소를 추출하고 추출된 공학설계능력 평가 요소에 대한 타당도. $\cdot$ 사회적 능력 : 의사소통, 팀웍 $\cdot$ 절차적 능력 : 문제확인 및 정의 검증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일차적으로 문헌분석과 연구진 자체 검토를 통하여 공학설계능력의 평가 요소를 추출하고 전문가 집단을 통하여 내용타당도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로 제시된 평가 영역과 평가 요소는 다음과 같다하기, 계획 및 관리하기, 정보 수집하기, 아이디어 도출하기, 아이디어 평가하기 $\cdot$ 경험 : 공학적 경험, 과학적 경험 $\cdot$ 지식 : 공학적 지식, 과학적 지식, 수학적 지식 $\cdot$ 시각화 능력 : 스케치, 제도 $\cdot$ 사고력 : 수렴적 사고, 귀납적 사고, 직관적 사고

고등학교 기술·가정과 '기술 혁신과 발명' 단원에서 의사결정능력 향상을 위한 수업 모형 개발 (An Instructional Model for the Improvement of Decision Making Skills in the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Invention' Unit of Technology·Home Economics Curriculum)

  • 서정완;이용진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108-127
    • /
    • 2016
  • 이 연구의 목적은 기술교과에서 의사결정능력 향상을 위해 적용할 수 있는 의사결정능력 수업 모형을 개발하는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기술교과에서의 의사결정능력 하위요소 추출, 환경 요소 분석, 의사결정 검사도구 개발, 의사결정능력 향상을 위한 수업 모형 개발, 수업 도구 선정, 의사결정능력 향상을 위한 수업 과제 개발의 6단계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로 첫째, 기술교과에서의 의사결정능력 하위요소로 문제인식, 문제규정, 대안생성, 대안평가, 최적안 선택, 최적안 평가를 도출하였다. 둘째, 의사결정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도출된 기술교과에서의 의사결정능력 하위요소를 기준으로 검사지를 개발하였다. 셋째, 기술교과에서의 의사결정능력 향상을 위해 의사결정능력 하위요소를 준거로 여러 의사결정 수업 모형을 비교 분석하여 수업 모형을 개발하였다. 넷째, 개발된 의사결정능력 향상 수업 모형을 기준으로 디자인 사고를 적용하여 의사결정능력의 하위요소를 체험할 수 있도록 의사결정 능력 향상을 위한 수업 과제를 개발하였다. 다섯째, 개발된 수업 과제를 본 수업과 이후 수정 보완을 거친 수업에 투입하였고, 사전, 사후 검사를 통하여 의사결정능력 향상을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개발된 모형은 기술교과에서 의사결정능력이 향상될 수 있는 수업에 도움이 될 것이라 기대한다.

엔터프라이즈 자원의 정렬, 통합 및 상호운용성을 위한 능력기반 EA2I프레임워크의 수학적 모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athematical Model of Capability based EA Framework for Align, Integration and Interoperability of Enterprise Resource)

  • 박상건;이태공;손현식
    • 정보화연구
    • /
    • 제9권1호
    • /
    • pp.111-120
    • /
    • 2012
  • 최근 각국은 복잡하고 변화가 많은 안보 환경 하에서 국방 예산의 효율성과 작전의 효과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능력기반 전력 건설 및 운용에 집중하고 있다. EA는 엔터프라이즈 범위의 구성요소를 정의하고 그들 간의 관계를 제시함으로서, 엔터프라이즈 범위의 관점을 통합하고, 변화와 복잡도등을 관리한다. 따라서 전장의 변화와 복잡도 관리를 위해서 EA를 구축하고, 국방 예산의 효율성과 작전 효과성을 증대를 위해서 능력중심의 우선순위 결정 및 자원의 대안수립이 중요하다. EA 사상아래 조직, 업무(작전), 기능, 통합능력, 체계, 자원, 전략 등 주요 엔터프라이즈 구성요소들을 통합능력을 중심으로 프레임워크내에 정의하여 복잡한 그들간의 연관관계를 함께 산출물로 제시하므로서 구성요소간의 정렬, 통합 및 상호운용성이 가능하게 하고, 현재의 전력운용 관점과 미래의 전력개발 관점을 동시에 포함하여 전환계획이 가능한 RTM기반 EA2I프레임워크를 이미 개념적 수준으로 제안한바 있다. 그러나 통합능력을 중심으로 보다 정량적이고 적용 가능하도록 EA2I프레임워크의 구성요소와 구성요소간의 관계, 특히 능력 및 능력우선순위 방법론을 구체적인 수학적 모델로 제시하여 보다 정량적이고 적용 가능하게 하였다.

NCS 능력단위 요소와 기존 교육과정 간 갭 분석을 위한 평가모델 (Evaluation Model for Gab Analysis Between NCS Competence Unit Element and Traditional Curriculum)

  • 김대경;김창복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338-344
    • /
    • 2015
  • 국가 직무능력 표준 (NC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은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능력에 대한 체계화 및 표준화이다. NCS는 특정 직무능력인 능력단위 요소로 구체화하고 표준화하여 학습모듈을 개발한다. 기존 교육과정은 NCS 능력단위 요소를 교육 훈련에 활용하기 위해서 갭 분석 (gab analysis)이 필수적이다. 기존에 갭 분석은 전문가가 주관적으로 평가하였다. 전문가에 의한 갭 분석은 심리적 요소에 의해 주관적 결정, 정확성 결여, 시간 및 공간적 비효율성 문제가 제기되었다. 본 논문은 주관적 평가의 문제 해결을 위해 자동화 평가모델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은 기존 교육과정과 능력단위 요소 간 갭 분석을 위해, 색인어 추출, 단어빈도수-역 빈도수 기반 특징 값 추출, 코사인 유사도 알고리즘을 이용하였다. 또한, 기존 교육과정과 NCS 능력단위요소 사이 유사도 매핑 테이블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의 평가모델은 구조적 특징이나 속도 면에서 개선된 알고리즘을 통해 보완해야 한다.

반도체 산업의 국가직무능력표준에 기반한 훈련수요 분석 (Training Demand Analysis based on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of the Semiconductor Industry)

  • 이재원;윤석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1호
    • /
    • pp.5178-5187
    • /
    • 2011
  • 반도체 산업에 대한 국가직무능력표준에 관련한 개발연구는 부분적으로 수행되었으나 국가직무능력표준을 활용한 산업현장의 훈련수요에 대한 조사와 분석은 이뤄지지 못한 실정이다. 또한 기존의 직업훈련 수요연구는 과부족인원 중심으로 수행되어 직무능력요소에 대한 질적 불일치의 문제가 존재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반도체 산업을 대상으로 훈련수요 조사를 실시하고 직종별 직무기술요소의 상대적 중요도와 격차를 이용한 시급성 분석을 통해서 해당직종이 갖는 직무능력요소에 대한 정성적 분석결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수행방법으로는 문헌연구와 더불어 반도체 산업에 특화된 직무능력요소의 수요조사를 수행하고, 직종과 직무, 그리고 각 직무능력요소의 정성적 수요를 분석하여 6개의 직종과 28개 직무별 직무능력요소에 대해서 인력수준별로 분석하였다. 또한 기업의 직무기술의 확보 방법과 인력의 충원방법을 분석하고 지역의 대표적 교육과정과 연계를 예시함으로써 직업훈련 프로그램의 적정한 공급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NCS '문헌정보관리' 직무 구성요소의 중요도 및 활용도 평가를 통한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of NCS Duty Components in 'Library and Information Management' by Evaluation of the Importance and Utilization)

  • 차성종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215-247
    • /
    • 2016
  • 본 연구는 NCS '문헌정보관리' 직무 구성요소인 능력단위 및 능력단위요소의 중요도 및 활용도를 평가하고 분석함으로써, NCS '문헌정보관리' 직무를 도서관 실무에 적용했을 때 현장 사서들이 실질적으로 중요하게 생각하고 우선적으로 요구하는 구성요소들을 도출하고자 수행되었다. 첫째, NCS '문헌정보관리' 직무의 구성요소(능력단위)에 대한 중요도 및 활용도를 평가한 결과, '이용자 정보서비스', '독서문화 프로그램 운영' 능력단위는 중요도와 활용도가 동시에 높게 나타났고, '문헌정보 실무 연구수행', '문헌정보 큐레이션', '문헌정보시스템 운영' 능력단위는 중요도와 활용도가 낮게 나타났다. 둘째, 직무 구성요소(능력단위)에 대한 Borich 요구도 분석 결과, '독서문화 프로그램 운영', '이용자 정보서비스', '문헌정보수집'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문헌정보 큐레이션', '문헌정보시스템 운영', '문헌정보 실무 연구수행' 구성요소는 바람직한 수준과 현재 수준이 공통적으로 낮게 나타나고 있어 요구도가 낮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셋째,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활용한 직무 구성요소(능력단위)의 우선순위 분석결과, '독서문화 프로그램 운영', '이용자 정보서비스', '문헌정보수집', '문헌정보 서비스 마케팅', '문헌정보 보존', '문헌정보 이용분석'의 6개 능력단위가 최우선순위 구성요소로 도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