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내적 동기

검색결과 231건 처리시간 0.022초

과학경연에서 학생의 내적 참여도 인과요인 분석 (A Causal Analysis on Internal Engagement in Science Fair)

  • 심재규;박승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22-231
    • /
    • 2006
  • 과학경연에서 나타나는 학생들의 내적 참여도와 내적 참여도에 영향을 주는 참여 동기와의 인과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내적 참여도를 구성하는 요인으로 흥미와 몰두를 참여 동기를 구성하는 요인으로 사회적 동기, 보상 동기, 선호 동기를 설정하였다. 내적 참여도에 대한 학생들의 응답을 성, 학교유형, 학년에 따른 차이를 변량분석으로 비교한 결과 남학생이 흥미와 몰두에 있어서 여학생보다 유의미하게 높게 인식하였으며 초등학생들이 중학생들에 비해 모든 요인에 대해 높게 인식하였다(p<0.01). 초등학생의 경우 흥미에 있어서는 학년별 차이가 없었으나 몰두에 있어서는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이 유의미하게 낮았다(p<0.01). 중학생의 경우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이 흥미와 몰두에 있어서 중학교 1,2 학년 학생들에 비해 유의미하게 낮았다(p<0.01). 과학경연에 대한 내적 참여도와 내적 참여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간의 인과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경로분석을 실시한 결과, 사회적 동기, 보상동기, 선호 동기가 모두 상관을 가지고 있으며 보상 동기는 몰두에 직접영향을 주며 선호 동기는 흥미에 직접영향올 주고 몰두에는 흥미를 통해서 간접영향을 주며, 흥미는 몰두에 직접영향을 주는 모형이 채택되었다. 내적 참여도의 흥미를 선호 동기만이 변량의 56%을 설명하였으며 몰두는 보상동기와 선호 동기가 변량의 58%를 설명할 수 있었다. 보상 동기는 몰두에 0.17의 직접효과를 주었으며 선호 동기는 흥미에 0.75의 높은 직접효과와 0.27의 몰두에 대한 간접효과를 주었다. 사회적 동기는 내적 참여도에 직접 및 간접효과를 주지 않았으며 흥미는 몰두에 0.49의 직접효과를 주었다.

서번트 리더십(Servant Leadership)과 내적 동기간의 관계 및 그 효과성에 관한 연구 -서비스업체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and Relationship Between Servant Leadership and Intrinsic Motivation -The Focus of Service Enterprises-)

  • 장준호
    • 벤처창업연구
    • /
    • 제6권3호
    • /
    • pp.61-84
    • /
    • 2011
  • 본 연구는 서번트 리더십과 성과 간의 다양한 연구에도 불구하고, 양자 간의 관계를 체계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메커니즘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점에 착안하여 설계되었다. 따라서 서번트 리더십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효과가 부하의 내적 동기에 의해 설명되어질 수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이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이다. 이를 위해 이론연구에 기초한 가설설정과 함께 경험 자료를 통한 실증분석이 이루어졌다. 서비스 기업에 종사하는 근로자 214명의 설문자료를 통해 실증 분석한 결과, 상사의 경청행동이 부하의 내적 동기에 정(+)의 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하의 내적 동기는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하지만, 상사의 공감행동과 봉사행동은 부하의 내적 동기에 유의한 영향력이 없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마지막으로 부하의 내적 동기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서번트 리더십과 조직유효성 간의 관계에서 부하의 내적 동기가 부분 및 완전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심리적 과정 및 메카니즘이 리더십연구에 중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연구결과에 대한 실무적 시사점과 한계점,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 PDF

조직구성원의 긍정피드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내적 동기부여의 매개효과와 LMX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Impact of Organizational Member's Positive Feedback on their Job Satisfaction: The Mediating Role of Intrinsic Motivation and the Moderating Role of LMX)

  • 서순금;오상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0호
    • /
    • pp.593-614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긍정피드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그 과정에서 내적 동기부여의 매개효과와 LMX의 조절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기업의 다양한 업종의 구성원 중 총396명에게 설문하여 345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고, SPSS 25.0 AMOS 25.0를 사용하여 설문의 타당도를 Process Macro 3.0을 사용하여 변인들 간의 인과관계와 매개효과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조직구성원들의 긍정피드백은 내적 동기부여와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구성원의 내적 동기부여는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긍정피드백과 직무만족간에 정(+)의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보였다. LMX는 긍정피드백과 내적 동기부여에 정(+)의 조절효과를 보였으며, 조직 구성원의 내적 동기부여는 긍정피드백과 직무만족간에 LMX에 의한 정(+)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의 시사점은 첫째, 조직에서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리더의 긍정피드백은 조직구성원의 내적 동기부여를 만들어내고 그들의 직무만족을 향상시킨다는 것이다. 또한 리더와 조직구성원의 관계가 좋을수록 리더의 긍정피드백이 그들의 내적동기부여를 촉진시킨다는 것이다. 둘째, 조직의 성과와 인재육성을 위해서는 조직 구성원의 직무만족이 중요한 바, 이를 위해 조직구성원의 직무만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방안으로 리더의 적절한 긍정피드백을 제공해야 하는 바 다양한 교육방법을 통해 리더의 역량을 배양해야 한다는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중학생의 각성추구성향이 체육수업내적동기 및 체육교과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rousal Seeking Tendency on Physical Education Intrinsic Motivation and Physical Education Attitude of Middle School Students)

  • 남인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544-553
    • /
    • 2016
  • 본 연구는 중학생의 각성추구성향이 체육수업내적동기 및 체육교과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 참여한 연구대상은 중학생을 대상으로 표집하였다. 표집된 설문자료 중에서 335명의 자료를 토대로 분석하였다. 연구도구는 각성추구검사지, 체육수업내적동기 검사지, 체육교과태도 검사지를 이용하였다. 자료처리는 빈도분석, 상관분석, 신뢰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각성추구성향 중 신기함 추구만이 체육수업내적동기의 재미-노력과 유능감에 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각성추구성향 중 신기함 추구는 체육교과태도에 정적 영향을 주는 반면에, 스릴 추구는 건강과 체력에만 부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체육수업내적동기의 재미-노력은 체육교과태도에 정적 영향을 주는 반면에, 유능감과 긴장은 부분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체육교과태도와 내적동기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각성추구성향 중 신기함 추구를 높여 줄 수 있는 교수학습방안이 요구된다.

작업선호도, 자아효능감이 간호대학생의 창의적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Work Preference and Self-efficacy on Creative Leadership of Nursing Students)

  • 최미정;허명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219-229
    • /
    • 2019
  • 이 연구의 목적은 개인적, 사회적, 문제해결적 리더십의 총체인 창의적 리더십 발현에 작업선호도 즉, 내적·외적동기와 자아효능감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연구를 위해 G시의 간호대학 학생들 195명을 대상으로 Amabile의 작업 선호도 검사, 자아효능감 검사, 창의적 리더십 검사가 진행되었으며 SPSS 24.0 프로그램을 통해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의 방법이 실시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창의적 리더십은 내적동기와 자아효능감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둘째, 상관관계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 요인들을 중심으로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한 결과, 창의적 리더십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자아효능감과 내적동기로 나타났으며, 60.0%의 설명력을 나타내었다. 창의적 리더십 향상을 위해 자아효능감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으며, 내적 동기를 강화시키는 것이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게임 이용자의 동기부여와 몰입이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Game Players' Motivation and Flow on Loyalty)

  • 이상종;변현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5호
    • /
    • pp.207-215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비디오게임 이용자가 인식하는 내적 및 외적 동기부여와 몰입이 게임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또한 이러한 관계에서 몰입이 실제로 매개역할을 수행하는지도 확인해 보도록 하였다. 기존 연구를 토대로 설문지를 작성하여 분석에 필요한 설문결과를 취합하여 이를 기반으로 연구결과를 확인해 보았다. 실증분석 결과 게임 이용자의 내적 동기부여 및 외적 동기부여는 게임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에 몰입이라는 매개변수가 매개효과를 발휘하고 있음도 확인하였다. 다만 외적 동기부여는 내적 동기부여보다 영향력이 높지 않음을 아울러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가상현실 게임이나 기능성 게임 등의 발전에 본 연구에서 제시한 사용자의 내재적 가치변화에 관한 부분을 적용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성인여성 대상 전자교육에서의 학습자 중도탈락 요인 분석 (Analysis of Factors for Adult Female Learners' Dropout in e-Learning)

  • 박순신;김성완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1년도 제43차 동계학술발표논문집 19권1호
    • /
    • pp.149-153
    • /
    • 2011
  • 이 연구는 전자교육에서 성인여성 학습자를 중도탈락에 이르게 하는 요인을 도출하고, 이 중에서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을 찾음으로써, 궁극적으로는 수료율을 제고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도출된 9가지 요인 중 어떤 요인이 중도탈락에 영향을 미치고, 그 영향력은 얼마인지 알아보기 위해 16개의 설문문항을 구성하여 K 기관의 교육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전자교육에서 성인여성 학습자의 중도탈락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결혼 여부, 내적 동기, 교육기관의 지원, 가사와 육아, 학습가능 시간 등 5가지로, 내적 동기, 학습가능 시간, 결혼 여부, 교육기관의 지원, 가사와 육아 순으로 중도탈락에 대한 영향을 미쳤다. 즉, 학습진행 시 내적 동기의 만족도가 높을수록, 학습 시간의 부담이 적을수록, 미혼이며, 교육기관의 지원에 만족도가 높을수록, 또 가사와 육아에 부담이 적을수록 수료를 할 가능성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전자교육에서 성인여성 학습자의 수료율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성인여성을 대상으로 한 전자교육 과정 운영 시 결혼 여부, 내적 동기, 교육기관의 지원, 가사와 육아, 학습가능 시간의 요인을 고려해야하며, 그 중 결혼 여부, 가사와 육아부담 등의 여성학습자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중도탈락을 줄이기 위해서는 교육기관의 역할이 중요하다. 또한, 성인여성 학습자의 중도탈락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내적 동기 향상을 위해 과정설계 시 여성학습자 위주의 맞춤형 교수설계전략을 세우는 것이 중요하다. 성인여성 대상 전자교육에서의 학습자 중도탈락 요인들의 인과관계 및 그에 따른 영향력을 분석하는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성인여성 학습자의 중도탈락을 줄일 수 있는 실증적인 방법론에 대한 연구를 통해 중도탈락률을 줄이는 것은 물론, 학업성취도 및 만족도를 높이고 나아가서는 여성의 사회진출을 도울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 PDF

운동몰입의 경험과 내적동기 저하에 관한 고찰 (Integrative Literature Review of Flow Experience and Intrinsic Motivation Decrease)

  • 손정민;하민성;이민철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1001-1009
    • /
    • 2023
  • 몰입은 내적동기와 관련성이 큰 개념으로 스포츠심리학에서 스포츠 수행에 있어 긍정적인 요소로 여겨진다. 몰입과 중독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들이 선행되었지만, Flow와 Commitment의 개념이 혼동돼 사용되었다. 또한 몰입이 장기적으로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충분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선행연구들을 통해 몰입의 중독성을 확인하였으며, 기존의 연구들과 다르게 장기적으로 몰입이 내적동기를 저하시킬 수 있다는 새로운 가설을 제시하고자 한다. 적응수준 이론과 한계효용체감의 법칙의 관점에서는 몰입을 통해 얻는 만족감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게 된다. 어느 시점에서 이러한 개인의 발전은 한계를 느끼게 되며, 몰입을 경험하지 못하는 시점에 도달하게 된다. 하지만 개인은 몰입을 다시 경험하고자 하는 욕구가 존재하므로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이다. 그러나 몰입 경험의 실패로 이어질 때 반복적인 실패는 슬픔으로 작용하여 내적동기를 약화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서 몰입의 부정적인 요소와 장기적인 관점에서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들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가족건강성과 부모의 학업기대유형에 따른 청소년 학습동기의 차이 (Difference in Adolescent's Academic Motivation by Family Strengths and Parent's Expectation Styles)

  • 오명희;장윤옥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57-74
    • /
    • 2007
  • 본 연구는 가족건강성과 부모의 학업기대유형에 따른 청소년 학습동기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대구광역시에 소재하는 중학교의 2, 3학년 508명이고, 조사방법은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MANOVA, 그리고 사후검증법으로 Scheffe 검증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연구결과와 논의를 통해서 얻은 요약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건강성에 따른 청소년의 내적학습동기와 외적학습동기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가족건강성이 높다고 지각한 청소년들이 중간 정도로 지각한 청소년들보다, 가족건강성을 중간 정도로 지각한 청소년들이 가족건강성을 낮게 지각한 청소년들보다 내적학습동기가 더 높게 나타났다. 또 가족건강성을 높게 지각하는 청소년들이 낮거나 중간 정도로 지각하는 청소년들보다 외적학습동기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의 학업기대유형에 따른 청소년의 내적학습동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모의 학업기대유형을 부 지지 - 모 지지, 부 압박 - 모 지지, 부 지지 - 모 압박기대유형으로 지각하는 청소년들이 부 압박 - 모 압박기대유형으로 지각하는 청소년들에 비해 내적학습동기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외적학습동기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가족건강성과 부모의 학업기대유형에 따라 내적학습동기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가족건강성을 높게, 그리고 중간정도로 지각한 청소년 집단에 있어서는 부모의 학업기대유형에 따라 청소년의 내적학습동기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가족건강성을 낮게 지각하는 청소년 집단에 있어서는 부모의 학업기대유형을 부 지지 - 모 지지, 부 압박 - 모 지지, 부 지지 - 모 압박기대유형으로 지각하는 청소년들이 부 압박 - 모 압박기대유형으로 지각하는 청소년들보다 내적학습동기가 더 높게 나타났다.

  • PDF

활동적 노인의 성격, 직무동기 및 직무만족 사이의 관계 (The relatioships of personality, job motivation, and job satisfaction among older empoyees)

  • 박인조;이주일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1권3호
    • /
    • pp.395-417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노동 현장에서 일하는 활동적 노인의 직무만족과 직무동기를 예측하는 성격변인을 탐색하는 것이었다. 둘째, 활동적 노인의 직무동기와 직무만족을 설명하는 가장 적절한 경로모형을 구축하는 것이었다. 셋째, 활동적 노인의 성격과 직무만족 사이를 매개하는 직무동기의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이었다. 연구의 참가자들은 춘천에 거주하는 만65세 이상의 활동적 노인 280명이었다. 280명 중에서 남성은 122명(43.6%), 여성은 158명(56.4%)였으며 연령 범위는 65세에서 88세 사이였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우호성, 성실성, 내적 통제감이 유의하게 직무동기를 정적으로 예측하고 개방성과 신경증성이 부적으로 예측했다. 우호성, 성실성, 자존감, 내적 통제감이 각각 직무만족을 정적으로 예측했다. 회귀모형결과의 유의하게 나온 변인들과 선행 연구에 기초해서 3개의 경로모형을 탐색했으며 모형2(성격변인인 개방성, 신경성, 내적통제, 우호성, 성실성, 자존감과 직무만족 사이를 직무동기가 매개하는 모형)와 모형 3(내적통제, 우호성, 성실성, 자존감과 직무만족 사이를 직무동기가 매개하는 모형)이 적합했고 이 중에 모형 3을 최종 모형으로 선택했다. 마지막으로, 우호성, 성실성, 내적 통제와 직무만족 사이를 직무동기가 매개한다는 결과를 얻었다. 논의에서 본 연구의 활동적 노인의 성격, 직무동기, 직무만족 관계를 밝힌 의의와 생산적 노년개념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과제에서 노동현장에서의 활동적 노인 연구에 대해 제안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