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내면 적합도

검색결과 87건 처리시간 0.018초

Replica technique과 Triple-scan protocol을 이용한 지르코니아 전부도재관의 변연 및 내면 적합도에 관한 비교 연구 (Marginal and internal fit of all ceramic crown using the replica technique and the triple-scan protocol)

  • 신미선;이장훈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5권4호
    • /
    • pp.372-380
    • /
    • 2017
  • 목적: 본 연구는 보철물의 적합도를 계측하는 두 가지의 측정방법을 평가하기 위해 지르코니아로 전부도재관을 제작하고 replica technique과 triple-scan protocol을 이용하여 전부도재관의 변연 및 내면 적합도를 비교 연구하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타이타늄의 지대치 모형을 제작하여 20개의 지르코니아 전부도재관을 제작하였다. 제작된 지르코니아 전부도재관 10개는 replica technique을 이용해 복제하고 복제된 시편을 협설, 근원심으로 절단하여 변연 및 내면 적합도를 측정하였고, 다른 10개의 전부도재관은 triple-scan protocol을 이용하여 협설과 근원심으로 단면을 형성하고 변연 및 내면 적합도를 계측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alpha}=.05$). 결과: 변연과 내면 적합도는 replica technique $49.86{\pm}29.69{\mu}m$, triple-scan protocol $75.35{\pm}64.73{\mu}m$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P < .001), 내면 적합도만을 측정한 결과 각각 $58.38{\pm}31.77{\mu}m$, $64.00{\pm}46.43{\mu}m$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 > .343). 결론: Replica technique과 triple-scan protocol을 이용하여 전부도재관의 변연 및 내면 적합도를 비교 측정한 결과 triple-scan protocol에서의 변연 적합도가 크게 측정되었고, 내면 적합도만 비교해 본 결과 통계적인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사회복지사의 사회복지 가치적합성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감성노동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Social Worker's Person-Social Welfare Value Fit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Mediating Role of Emotional Labor)

  • 신중환;김정우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6권4호
    • /
    • pp.157-179
    • /
    • 2014
  •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가 인식하는 사회복지의 가치적합성이 그들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감성노동(표면행위, 내면행위)의 매개역할을 살펴보았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존에는 주로 조직수준에서 이루어진 가치적합성 연구를 직업수준에서 살펴보면서, 사회복지사가 사회복지의 가치적합성을 인식할수록 그들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수준이 증가하는지, 그들의 표면행위가 사회복지 가치적합성과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의 관계를 부정적으로 매개하고, 내면행위가 긍정적으로 매개하는지를 탐색적으로 살펴보았다. 실증분석의 결과에 의하면, 사회복지사가 사회복지 가치적합성을 인식할수록 표면행위는 감소하고 내면행위는 증가하였으며,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의 수준은 높아졌다. 표면행위는 사회복지 가치적합성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를 완전매개하였으며, 내면행위는 사회복지 가치적합성과 직무만족, 그리고 사회복지 가치적합성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를 각각 완전매개하였다. 사회복지 가치적합성에 대한 인식이 사회복지사의 감성노동을 표면행위에서 내면행위로 개선시킴으로써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절삭 및 적층 가공법으로 제작된 3본 고정성 국소의치의 변연 및 내면 적합도에 관한 연구 (Marginal and internal discrepancy of 3-unit fixed dental prostheses fabricated by subtractive and additive manufacturing)

  • 최재원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8권1호
    • /
    • pp.7-13
    • /
    • 2020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절삭 가공법 및 적층 가공법에 의해 제작된 3본 고정성 국소의치의 변연 및 내면 적합도를 비교하는 것이다. 재료 및 방법: 상악 좌측 제2소구치가 상실된 3본 고정성 국소의치 지대치를 제작하고(주모형), 구강 스캐너를 이용해 주모형 스캔 데이터를 얻었다. 3본 고정성 보철물은 다음과 같은 3가지 방법으로 제작하였다: Milled 3-unit fixed dental prostheses (FDP) (MIL군), digital light processing (DLP) 3D printed 3-unit FDP (D3P군), stereolithography apparatus (SLA) 3D printed 3-unit FDP (S3P군). 보철물의 변연 및 내면 적합도와 내면 정밀도 평가하기 위해 각각 triple-scan protocol과 콤비네이션 수식을 사용하여 스캔 데이터를 중첩하였다. 3차원 분석 프로그램(Geomagic control X)을 사용하여 root mean square (RMS) 값과 color difference map 통해 정량 및 정성 분석 시행하였다. Kruskal-Wallis test (α = .05)와 Mann-Whitney U test 및 Bonferroni correction (α = .05/3 = .017)을 이용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결과: S3P군의 변연 적합도는 MIL군과 D3P군에 비해 우수하였으며, MIL군과 D3P군은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D3P군과 S3P군은 MIL군에 비해 상대적으로 우수한 내면 적합도를 보였으며, D3P군과 S3P군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한편, MIL군, S3P군, 그리고 D3P군 순으로 우수한 정밀도를 보였다. 결론: 본 연구의 한계 내에서 적층 가공법으로 제작된 3본 고정성 보철물은 절삭 가공법으로 제작된 3본 고정성 보철물에 비해 우수한 변연 및 내면 적합도를 보인 반면 정밀도는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종의 CAD/CAM 시스템으로 제작한 지르코니아 코어에서 Replica Technique을 이용한 변연 및 내면 적합도 평가 (Evaluation using Replica Technique on the marginal and internal fitness of zirconia cores by several CAD/CAM systems)

  • 허중보;박청길;김하영;박찬경;신상완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135-142
    • /
    • 2010
  • 연구목적: 최근CAD/CAM으로 제작한 지르코니아 코어의 변연적합도에 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었지만, 여러 종의CAD/CAM 시스템의 변연 뿐만 아니라 내면적합도까지 상호 비교한 연구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3종의CAD/CAM 시스템으로 제작한 전치부 단일 치아 지르코니아 코어의 변연 및 내면적합도를 Replica technique을 이용해 평가하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3종의CAD/CAM 시스템 (Cerasys $system^{(R)}$, KaVo $Everest^{(R)}$, $LAVA^{TM}$)을 이용하여, 시스템 별로 5개씩의 단일치아 지르코니아 코어를 제작하였다. 제작된 지르코니아 코어를 레플리카 테크닉 (Replica Technique)을 이용해 복제하고 복제된 시편을 협설, 근원심으로 정중앙을 절단하여 변연 및 내면의 간격을 측정하였다. Measuring microscope ($AXIO^{(R)}$)를 이용하여 50배 확대하여 촬영하고 $I-Solution^{(R)}$을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ANOVA를 이용하여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지르코니아코어의 평균 변연간격은 $Cerasys^{(R)}$$84.74{\pm}27.57{\mu}m$, KaVo $Everest^{(R)}$$80.23{\pm}21.07{\mu}m$, $Lava^{TM}$$96.37{\pm}11.45{\mu}m$이었고 평균내면간격은각각 $Cerasys^{(R)}$$94.99{\pm}18.74{\mu}m$, KaVo $Everest^{(R)}$$92.31{\pm}25.18{\mu}m$, $LAVA^{TM}$$94.99{\pm}18.74{\mu}m$이었으며, 세 시스템간의 변연 및 내면간격의 평균적인 적합도에서 통계적 유의차는 없었다. 변연 및 내면간격의 비교에서는 KaVo $Everest^{(R)}$$LAVA^{TM}$보다 전반적으로 내면간격이 작은 것으로 보였다 (P< .05). 내면간격 중 절단부위의 간격은 세 시스템에서 공통적으로 다른 부위보다 크게 나타났다. 결론:본 연구에서 $Cerasys^{(R)}$, KaVo $Everest^{(R)}$, $LAVA^{TM}$시스템의 변연적합도는 차이가 없었고, 내면적합도는 KaVo $Everest^{(R)}$$LAVA^{TM}$ 보다 적었으나 세 시스템에서 공통적으로 절단부위 간격이 크게 나타났다. 세 시스템 모두 변연적합도 및 내면적합도가 임상적으로 허용범위 내에 있었다.

단일 도재 수복물의 가공 정밀도가 변연 및 내면 적합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achining precision of single ceramic restorations on the marginal and internal fit)

  • 손큰바다;유범영;이규복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8권4호
    • /
    • pp.313-320
    • /
    • 2020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3 종류의 치과용 도재 블록으로 제작된 단일 수복물의 가공 정밀도와 변연 및 내면 적합도를 평가하고,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재료 및 방법: 3 종류의 치과용 도재 블록(Rosetta; HASS, IPS e.max CAD; Ivoclar vivadent, VITA Suprinity; VITA)으로 제작된 단일 수복물의 가공 정밀도와 변연 및 내면 적합도를 평가하였다. 캐드 소프트웨어에서 단일 수복물을 디자인하였고, 수복물 디자인 모델(crown designed model) 파일의 제작을 위해 디자인 후 캐드 소프트웨어에서 추출하였다. 그리고 수복물 디자인 모델 파일은 밀링 장비를 사용하여 도재 블록(lithium disilicate ceramic block)을 가공하였다. 수복물 스캔 모델(crown scanned model) 파일의 제작을 위해서 접촉식 스캐너를 이용하여 제작된 수복물의 내면을 디지털화 하였다. 그리고 삼차원 검사 소프트웨어(Geomagic control X; 3D Systems)를 이용하여, 수복물 디자인 모델과 스캔 모델의 중첩과 가공 정밀도의 삼차원 분석의 단계로 진행되었다. 그리고 제작된 수복물의 변연 및 내면 적합도는 실리콘 복제 방법으로 평가되었다. 3 종류의 단일 도재 수복물의 차이는 Kruskal-Wallis H test를 통해 분석되었고, 가공 정밀도와 변연 및 내면 적합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해서 Spearman correlation analysis을 하였다 (α = .05). 결과: 도재 블록의 종류에 따라서 가공 정밀도와 변연 및 내면 적합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P < .001). 그리고 가공 정밀도와 변연 및 내면 적합도는 서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P < .001). 결론: 도재 블록의 종류에 따라서 제작된 단일 수복물의 변연 적합도는 임상적 허용 범위에 있었기 때문에(< 120 ㎛), 적합도 측면에서 모두 임상에 적용할 수 있는 적절한 가공 정밀도로 간주할 수 있다.

단일구조 지르코니아 크라운의 소결 후 추가 소성 과정이 변연 및 내면 적합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dditional firing process after sintering of monolithic zirconia crown on marginal and internal fitness)

  • 신미선;이현종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7권4호
    • /
    • pp.321-327
    • /
    • 2019
  • 목적: 본 연구는 단일구조 지르코니아 크라운의 소결 후 소성 과정이 변연 및 내면 적합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3차원으로 평가해 보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타이타늄 지대치 모형을 제작하여 10개의 단일구조 지르코니아 크라운을 제작하였다. 제작된 단일구조 지르코니아 크라운을 소결 한 상태를 대조군으로, 소결 후 광택을 위해 추가적인 소성단계를 거친 후를 실험군으로 설정하였다. 각 군에서 triple-scan protocol을 이용하여 협설과 근원심으로 단면을 형성하고 변연 및 내면 적합도를 계측하여 통계 분석하였으며, 삼차원 표면 비교를 시행하였다 (${\alpha}=.05$). 결과: 변연과 내면 적합도를 분석한 결과 근심 축벽에서 대조군($32.0{\pm}24.3{\mu}m$)과 실험군 간($17.0{\pm}10.8{\mu}m$)의 통계적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P < .020), 원심 축벽에서 대조군($60.2{\pm}24.3{\mu}m$)과 실험군($71.8{\pm}21.5{\mu}m$)간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 < .01). 나머지 측점지점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단일구조 지르코니아 크라운에서의 소결 후 추가적인 소성은 내면의 변형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임상적으로 허용 가능한 범위에 있었다.

다양한 CAD/CAM 시스템으로 제작된 3 본 고정성 가공의치 지르코니아 코어의 변연 및 내면 적합도 평가 (Marginal and internal fitness of three-unit zirconia cores fabricated using several CAD/CAM systems)

  • 허중보;김우식;김하영;김종은;이정렬;김영수;전영찬;신상완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236-244
    • /
    • 2011
  • 연구 목적: 본 연구는 다양한 CAD/CAM 시스템에 의해 제작된 지르코니아를 이용한 3-unit 브릿지 코어의 적합도를 "Replica Technique"으로 측정하여 기존 제품들의 내면 및 변연 적합도를 평가해 각 시스템의 적합 특성을 알아보고 임상 적용에 참고 자료로 활용하고자 시행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상악 좌측 제1소구치를 결손치로 하고 상악 좌측 견치, 상악 좌측 제2소구치를 지대치로 하는 3-unit 고정성 가공의치를 구현한 티타늄 모형을 제작하고, 40개의 실험 모형을 제작하였다. 각 모형을 10개씩 분류하고 Cerasys$^{(R)}$ (C군), Dentaim$^{(R)}$ (D군), KaVo Everest$^{(R)}$ (K군), $Lava^{TM}$ (L군)시스템으로 각각 지르코니아 코어를 제작하였다. 제작된 코어는 각 지대치마다 내면에 16개의 점을 선택하고 "Replica Technique"을 이용하여 각 포인트의 간극을 측정하였고 부위별 측정치를 비교, 평가하였다. Two-way ANOVA와 Dunnett T3 analysis를 이용하여 통계 분석하였다(${\alpha}$=.05). 결과: 모든 시스템에서 변연의 외부보다 내부에서 조금 더 큰 간극을 보이는 특징을 보였다. K군의 경우 전반적인 적합도는 우수하였으나 절단부위의 간극이 아주 크게 나타나는 특징을 보였고, C군의 경우 변연부위의 간극은 K군와 비교하여 크지만(P<.05) 전반적인 내면 간극이 다른 시스템에 비해 균일한 특징을 보였다. 축벽의 간극에서는 모든 시스템, 모든 절단부위에서 $100\;{\mu}m$ 미만의 우수한 적합도를 보였다. L군와 C군의 경우 변연의 외측부와 내측부의 간극차이가 적었으나 KaVo Everest$^{(R)}$와 Dentaim$^{(R)}$의 경우 마진 내측이 외측보다 간극이 큰 특징을 보였다(P<.05). 변연과 내면적합도로 나누어 분석하였을 때 K군과 C군이 D군과 L군보다 상대적으로 더 좋은 변연 및 내면 적합도를 보였고(P<.05) 두 지대치 중 견치가 제2소구치보다 더 좋은 적합도를 보였다(P<.05). 결론: 대부분의 시스템에서 변연 부위의 적합도는 임상적으로 허용 가능한 범위에 있었다. 변연 간극과 내면 간극 모두에서 지대치 중에 견치에서보다 제2소구치에서 더 큰 간극을 나타내었다. 또한 대부분의 시스템에서 축벽보다는 교합면 쪽 간극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었다.

고정성 보철물의 내면 및 변연적합도를 평가하는 방법에 대한 고찰 (Study on methodology for the assessment of internal and marginal adaptation on fixed dental prosthesis)

  • 표세욱;이준재;한중석;임영준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2권3호
    • /
    • pp.158-168
    • /
    • 2016
  • 본 논문은 기존에 선행되었던 연구들을 바탕으로 고정성 보철물의 내면 및 변연적합도를 평가하는 여러 가지 방법에 관하여 정리하였으며, 각 방법에 대한 장, 단점에 대해 언급하였다. 보철물의 적합도를 평가하는 방법은 크게 임상적 평가법과 실험실 평가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임상적 평가법에는 탐침 검사법, 방사선 사진 검사법, 인상채득법이 있으며, 실험실 평가법에는 현미경을 이용하는 변연부 측정법, 절단면 측정법, 실리콘 복제 측정법, 그리고 마이크로 CT나 조면계를 사용하여 측정하는 방법 등이 있다. 최근 스캐닝 기법이 발전하면서 내면 및 변연적합도를 3차원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가능해졌으며, 앞으로 측정법 및 분석법의 개발에 따라 보철물의 적합도 평가가 더욱 간편해지고 효과적으로 변화할 것이라 생각된다.

서로 다른 두 가지 스캔법을 이용하여 제작된 지르코니아 보철물의 적합도에 대한 비교 (Assessment of the fit of zirconia-based prostheses fabricated with two different scan methods)

  • 최현석;조진현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5권2호
    • /
    • pp.135-143
    • /
    • 2017
  • 목적: 연구의 목적은 동일한 지대치에서 각각 모델스캔 방법과 구강 내 스캔 방법으로 제작된 지르코니아 보철물의 변연 및 내면적합도를 비교하는 것이다. 재료 및 방법: 발거된 사람의 하악 제1대구치 20개에 대해 지르코니아 보철물을 위한 지대치 형성이 이루어졌다. 첫 번째 그룹에서는 모델 스캔법으로 10개의 지대치를 스캔하였고, 두 번째 그룹에서는 나머지 10개에 대해 구강 내 스캔법을 사용하였다. 각각의 데이터들은 소프트웨어 시스템으로 전송되었고 Ceramill CAD/CAM system을 이용하여 20개의 지르코니아 보철물을 제작하였다. 먼저 weight technique을 사용하여 내면 적합도를 평가하였다. 다음으로 replica technique에서는 광학현미경을 통해 변연 적합도를 평가하였다. 통계처리는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이용하였다. 결과: 먼저 weight technique에서 모델 스캔법으로 제작한 그룹에서 구강 내 스캔법으로 제작한 그룹에 비해 평균적인 무게 값이 낮게 나타났고, 이는 유의성이 있었다(P < .05). 또한, replica technique에서도 측정된 5개의 영역 모두에서 구강 내 스캔법으로 제작한 그룹에 비해 모델 스캔법으로 제작한 그룹에서 변연 및 내면의 gap에 대한 거리 값이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P < .05). 결론: 두 그룹의 방법으로 제작한 지르코니아 보철물은 모두 임상적으로 받아들여질 만한 변연 및 내면 적합성을 보였다. 하지만 모델 스캔법으로 제작한 그룹에서 구강 내 스캔법으로 제작한 그룹에 비해 높은 변연 및 내면 적합성을 보였다.

고정성 보철물의 적합도에 대한 실험적 평가방법 (In vitro evaluation methods on adaptation of fixed dental prosthesis)

  • 이현호;이두형;이규복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3권2호
    • /
    • pp.63-70
    • /
    • 2017
  • 임상적으로 고정성보철물의 적합도는 성공적인 수복을 위해 필수적인 요소이다. 보철물의 적합도는 크게 변연적합도와 내면적합도로 분류되며, 이를 평가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현미경 변연 측정법, 절단면 측정법, 실리콘 복제법, 3차원 스캔데이터 중첩법, 무게 측정법, 마이크로 CT 측정법 등 다양한 방법들이 소개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문헌들을 바탕으로 각 방법들의 장, 단점을 비교분석함으로써 디지털환경에서 보다 편리하고 정확한 측정법을 제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