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남녀 차이

Search Result 1,600,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남녀(男女)의 차이(差異)에 근거(根據)한 남녀형상(男女形象)의 의학적(醫學的) 운용(運用)에 대한 연구(硏究)

  • Lee, In-Su;Yun, Chang-Ryeol
    •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
    • /
    • v.19 no.1 s.32
    • /
    • pp.47-109
    • /
    • 2006
  • 서양의학상인위남녀근근시재생식기부동적인(西洋醫學上認爲男女僅僅是在生殖器不同的人). 최근(最近), Legato, Marianne J.박사창립료(博士創立了)‘성인지의학(性認知醫學)’학(學), 개시인식도남녀적차이(開始認識到男女的差異), 주장남녀재치료방법상역부동법(主張男女在治療方法上亦不同法), 종이저일연구진입도료신적단계(從而這一硏究進入到了新的段階). 단시한의학종(但是韓醫學從)${\ulcorner}$황제내경(黃帝內經)${\lrcorner}$개시(開始), 취인위남녀재구조상유근본적차이(就認爲男女在構造上有根本的差異), 이차재생리(而且在生理), 병리(病理), 진단(診斷), 치료상야부동(治療上也不同). 기록한의학기본원리적주역적상관서적화(記錄韓醫學基本原理的周易的相關書籍和)${\ulcorner}$황제내경(黃帝內經)${\lrcorner}$, 이급역대적주요한의서적급종사임상적한의사적서적상(以及歷代的主要韓醫書籍及從事臨床的韓醫師的書籍上), 역도인위남녀유차이(亦都認爲男女有差異). 관어남녀적생성(關於男女的生成), 재(在)${\ulcorner}$보제방(普濟方) 방맥총론(方脈總論)${\lrcorner}$적변남녀형생신육론중제출료(的辨男女形生神毓論中提出了男女的形成有異). ${\ulcorner}$동의보감(東醫寶鑑)${\lrcorner}$여기타한의서부동(與其他韓醫書不同), 불시이질병위주(不是以疾病爲主), 이시이신위중심(而是以身爲中心), 즉목차안형상진행료배열(卽目次按形象進行了排列), 차상세지언급료남녀(且詳細地言及了男女). 나요남녀시고정불변적마 불시적(不是的). ${\ulcorner}$동의보감(東醫寶鑑) 신형장부론(身形臟腑論)${\lrcorner}$인위(認爲)‘인적형색유차이(人的形色有差異), 장부이유이(臟腑易有異), 고외증수동(故外症雖同), 치법인인이이(治法因人而異).’ 안형상선용부동적치법적관점(按形象選用不同的治法的觀点), 이통과주단계지언이표명(已通過朱丹溪之言而表明). 불변관점상여자체격소이동(不變觀点上女子體格小易動), 남자체격대이와(男子體格大易臥). 남자속양기이산(男子屬陽氣易散). 여남자정서초차(如男子情緖稍差), 즉음주해수(卽飮酒解愁), 불이득우울증(不易得憂鬱症). 응보기정기(應補其精氣). 여자속음기이울체(女子屬陰氣易鬱滯), 다유인기지성질(多有忍氣之性質), 이득우울증(易得憂鬱症), 고다용산기약(故多用散氣藥). 간단이언(簡單而言)‘남자위병허증(男子爲病虛證), 여자위병실증(女子爲病實證).’ 종변화적관점래용약(從變化的觀点來用藥), 예여남자수소가용여자약적사물탕(例如男子瘦小可用女子藥的四物湯). 여자비가용남자약적사군자탕(女子肥可用男子藥的四君子湯). 여자골장가용남자약적육미지황환(女子骨壯可用男子藥的六味地黃丸). 위료갱용역이해(爲了更容易理解)‘남녀불변화변화적관점재의학적운용(男女不變和變化的觀点在醫學的運用)’, 이임상병례진행설명(以臨床病例進行說明). 재임상상통과형색맥증적합일화변증론치결정처방(在臨床上通過形色脈證的合一和辨證論治決定處方). 즉불능단순적인위(卽不能單純的認爲), 인위시남자취용육미지황환(因爲是男子就用六味地黃丸), 여자취용사물탕(女子就用四物湯). 남자약소가용사군자탕(男子若小可用四君子湯) 사물탕(四物湯) 육미지황탕(六味地黃湯), 이여자약대가용사군자탕(而女子若大可用四君子湯) 이진탕(二陳湯) 평위산(平胃散) 육군자탕(六君子湯). 인차(因此) 남녀재구조(男女在構造) 생리(生理) 병리유근본성차이(病理有根本性差異), 불이형상래구분(不以形象來區分), 용약상시지불변적입장(用藥上是持不變的立場), 이이형상용약(而以形象用藥), 시종변화적입장래고려적(是從變化的立場來考慮的). 인위이남녀위기준종사임상(認爲以男女爲基準從事臨床), 시부합한의학기본원리지음양관(是符合韓醫學基本原理之陰陽觀).

  • PDF

Survey on Korean Food Preference of College Students in Seoul - Focused on Side Dishes - (서울지역 남녀 대학생의 한식 선호도 조사 (II) - 부식을 중심으로 -)

  • Hong, Hee-Ok;Kim, Jung-Yoon;Lee, Jung-Sug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v.39 no.7
    • /
    • pp.707-713
    • /
    • 200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side dishes preference of Korean food with 403 college students (197 males and 206 females) in Seoul using questionnaires. Regarding preference of soups, it was shown that male students liked $s{\breve{o}}ll{\breve{o}}ngt'$ang and beef soup and female students liked soybean paste soup. Male students had higher preferences for $s{\breve{o}}ll{\breve{o}}ngt'$ang, beef soup, dried pollack soup, and kimchi soup than female students (p<0.05).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had the highest preferences for kimchi pot stew and soft-tofu pot stew, but the lowest preferences for fermented soybeans pot stew and frozen pollack pot stew (p<0.05). Stewed beef with soy sauce was preferred the most by both of them but female students had lower preferences for stewed bean with soy sauce and stewed pepper with soy sauce than male students (p<0.05). For the preference of panbroiled foods, stir-fried with marinated anchovy was disliked by both of them but stir-fried with marinated pork was shown to have high preference in male students and stir-fried with marinated kimchi was high in female students (p<0.05). Besides, roasted ribs, cucumber salad, and korean cabbage kimchi were preferred the most by both of them. But male students had higher preferences for roasted eel, grilled todok, roots of broad bellflower salad, mustard leaf kimchi, and white cabbage kimchi than female students (p<0.05).

Gender Differences in Fashion Awareness and Clothing Expenditures (유행 인지도와 의복비 지출에 대한 남녀 차이 연구)

  • 박광희;윤성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18 no.5
    • /
    • pp.682-691
    • /
    • 1994
  • 본 연구는 미국 CBS 뉴스에서 수십한 자료를 사용하여 라이프스타일이 남녀 의복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의복과 관련된 4가지 라이프스타일이 (레크레이션, 경제적, 편의적, 외모에 신경을 쓰는) 자료에 입각하여 고안되었다. 인구통계학적 변인과 라이프스타일과의 관계분석에 따르면, 여성이 남성보다 레크레이션, 편의적, 외모에 신경을 쓰는 라이프스타일을 갖는 경향이 높았다. 또한, 젊은층은 레크레이션, 경제적, 외모에 신경을 쓰는 라이프스타일을, 반면 저소득층은 경제적 라이프스타일을 갖는 경향이 있었다. 유행 인지도와 의복비 지출의 남녀 차이 분석층과, 유행인지도에서 여성이 남성보다 높았으나, 의복비 지출에 있어서는 남녀 차이가 없었다. 레크레이션 라이프스타일을 가진 남녀 모두 유행을 더 많이 인지하고 있었으며, 경제적 라이프스타일을 가진 여성이 의복비 지출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 Study of Factors Affecting Self-Rated Health among Korean Elderly: Focusing on Gender Differences (노인의 주관적 건강평가 관련요인에 관한 연구: 남녀 차이를 중심으로)

  • Yeom, Jihye;Park, Jun-Sik;Kim, Dong-Hyun
    • 한국노년학
    • /
    • v.32 no.4
    • /
    • pp.1101-1118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ich factors determine self-rated health(SRH) among Korean elderly focusing on gender differences. To achieve this purpose, it uses the Hallym Longitudinal Study of Aging, wave 4 in 2009. Participants aged 65 and over from wave 4 were selected(N=986, male 407, female 579). From wave 4, all variables were selected except for respondents' education which was from wave1. In analyses, $x^2$ or t-test were conducted to examine whether independent variables significantly differ by SRH. Then, since a dependent variable consisted of two categories-being healthy or not being healthy, logistic regressions were run. What makes gender differences in the link of independent variables to SRH were 75-84 age group, education, and IADLs. For females, 75-84 age group rated their health as worse compared to 65-74 age group, but this age group did not have significant effect on SRH for males. Females graduating from junior high school were more likely to higher rate their health compared to their counterparts. However, education was not significant for males.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IADLs) is one of variables affecting SRH by making gender differences. Female having problems with IADLs were more likely to be significantly negatively rate their health compared to males. Through focusing on age, education, IADLs making gender difference in evaluating health, governments needs to support males and females differently.

Sex Differences in Preference Style for Navigation Design (네비게이션 디자인에 있어 성별에 따른 선호 스타일 연구)

  • Kim Soon-Deok;Seo Jong-Hwan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8 no.3
    • /
    • pp.221-229
    • /
    • 2005
  •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sex differences in cognitive behaviors in website design and demonstrate a practical basis for utilizing these differences into more user-centered design concept. Especially, we focused on the sex-different preference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architecture of website navigation. First, We investigated general differences between men and women in cognitive behaviors through various literature studies. According to our investigation, men's cognitive works generally tend to follow a regular sequence and proceed step by step. On the other hand, women's cognitive style is generally characterized by random generation and simultaneous progress. To examine that these differences can be found in use of website navigation, we made an experiment in website design. We designed several test websites that have same contents but different style of navigation structure. A similar number of men and women were chosen for this test and they implemented given tasks. During the test, participants reported their preference on each websites and their implementing time and number of errors were collected. Based on the analysis of test data, it was possible to conclude that male participants' preference for the navigation with a narrow and deep information structure is relatively higher than female participants' preference for the same navigation, On the other hand, female participants have a preference of the navigation with a broad and swallow information structure. The result of study showed that there is a close correlation between the sex differences in preference of navigation types and the general sex differences in cognitive behavior. This finding can be used as a basis for designing the website navigation in which sex differences are reflected.

  • PDF

An Analysis on Korean Mortality Structure (한국인의 사망력 구조분석)

  • 이상식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13 no.1
    • /
    • pp.51-80
    • /
    • 1990
  • 한국의 사망력은 높은 수준의 성별 사망력 차이와 중년 남성의 급격한 사망력 상승을 그 구조적 특성으로 하고 있는데, 이러한 한국인 사망력 구조의 특이성은 직접적으로는 사망원인의 성별, 년령별 차별적 역활에 기인하며 간접적으로는 이들 원인의 차별성을 초래하는것으로 추정되는 경제개발기간동안의 사회, 경제 및 공공정책상의 변화 및 생활습관의 차이에서 기인된다고 보아진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차이를 결과짓는 여러 요인들을 중심으로 한국인의 사망력 구조상에서 나타난 년령별 및 성별특성을 분석하는데 그 주요점을 두었다. 1985년 경제기획원 조사통계과에 의해 집계된 사망원인통계자료는를 활용하여 한국인의 사망력 구조의 특성을 사망원인과 관련시켜 연구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종합될수 있다. 첫째, 40대 이후 남성의 높은 사망력에 의거한 요인들은 뇌혈관질환, 고혈압성질환, 암질환 및 기지 심질환 및 간의 악성신생물 순으로 중요하게 나타났다. 둘째, 0세에서의 남녀간의 기득개념의 차이는 차이는 초년 또는 청년층에서의 남녀간의 사망력 차이에서 보다는 40대 이상의 중장년층에서의 남녀간의 사망력 차이에서 비롯되었으며, 뇌혈관 질환, 악성간질환 및 고혈압성 질환, 간의 악성 신생물,및 기타 심질환 및 간의 악성 신생물 질환들이 중장년층에서의 남녀간의 사망력 차이를 결정하는데 주역활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째, 위의 년령간의 및 남녀간의 사망력 수준의 차이를 결정짓는 주요한 사회적 간접요인들로는 첫째, 사회.경제개발과 함께 이어 병행되어온 보건정책들이 즈로 어린이 또는 여성에 편향된 결과 였으며, 둘째,환경적 요소로서 중년 남성들의 Social stress, 운동부족과 관련된 질병들과 공해, 먼지, 유해화학물 가스 등 산업재회와 관련된 질병들에 의한 사망률이 높으며, 세째, 행위적 요소로서 음주와 흡연과 관련된 질병들에 의한 중년 남성의 사망률이 높은것들로 요약될수 있다. 중년 남성의 높은 사망률은 기술적,사회적 경험이 축적된 노동력의 상실로서 국가적 손실이 크며, 고 년령층 인구의 구조적 측면에서도 성의 불균등을 초래하여 미혼 여성의 증가등 사회적인 기반문제의 주요한 요인이 되므로서 그 중요성은 지대하다고 할수 있겠다. 그러므로 이 문제는 국가적 사회적 차원에서 해결이 시급하며 그 해결책으로는 지금 까지 도외시 되어 왔던 중년 남성의 건강을 위한 프로젝트의 실지와 함께 이들에게 노출되어 왔던 운동 부족, 사회적 스트레스 및 산업재회의 해소 내지 제거에 대한 방안들이 연구 되어야 하겠다. 한편 음주 및 흡연등의 개인행위적 습관의 개선을 위한 사회 계몽활동의 추진 및 건전한 스트레스 해결책의 개발이 중요하다고 하겠다.

  • PDF

Gender Difference on Trust in Internet-Only Banks Using the Multi-Group Path Analysis (다집단 경로 분석을 통한 남녀 간 인터넷전문은행의 신뢰 차이)

  • Nam, Sang-Wook;Hong, Eun-Joo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 /
    • v.8 no.3
    • /
    • pp.99-105
    • /
    • 2018
  • The purpose to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 of trust toward Internet-only bank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gender. We specially examined whether there is any gap in the determinant of trust. For this, we attempted to analyze the significance of the difference in the path coefficients between the gender through latent mean and path analysis. As a results, the difference of the determinant of trust between the male and the female group occurred in the factor of benefit and security. Moreover, it reconfirmed that trust are later strongly extended to relationship commitment.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t's very important to establish a trust with customers.

The Relationship of Clothing Behavior to Body Image and Self-Esteem of Older Men and Women (노년층 남녀의 의복행동에 대한 신체이미지와 자아존중의 관계)

  • 황진숙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24 no.8
    • /
    • pp.1187-1196
    • /
    • 2000
  • 본 연구는 노년층 남성과 여성의 의복행동에 대한 신체이미지와 자아존중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첫째, 노년층 남성과 여성의 신체이미지와 의복행동과의 관계를 알아보고, 둘째, 자아존중과 의복행동과의 관계를 알아보며, 끝으로 의복행동에 대한 신체이미지와 자아존중과의 관계에 있어서 남녀간의 차이점과 유사점을 규명하는 것이다. 조사대상은 나이 55세 이상의 미국 남부와 거주하는 남성과 여성으로 302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108부를 자료분석에 이용하였다. 신체이미지는 신체 18부분에 대한 만족도로 측정하였고, 자아존중은 Rosenberg의 자아존중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의복행동은 의복태도, 유행의견선도력, 쇼핑에 대한 만족, 상점충성도, 의복비 지출을 포함하였다. 결과로 남녀 노년층에게 있어 신체만족도는 대부분의 의복행동과 상관 관계가 있었으며 유행선도력과 상표충성도에 대한 상관관계가 있어서만 남녀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자아존중은 남녀 모두에게 있어 대부분의 의복행동과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유행선도력과의 관계에서만 남녀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The Type of Marital Problem Solving Behaviors Among Korean Married Men and Women (기혼남녀의 부부간 문제해결 행동유형)

  • 노치영
    • Journal of Families and Better Life
    • /
    • v.12 no.2
    • /
    • pp.262-274
    • /
    • 1994
  • 본 연구에서는 기혼남녀의 부부간 문제해결행동을 유형별로 분류해보고 이 유형들 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보았다 기혼남녀 506명(남자 275명, 여자 231명)을 대상을 한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1) 우리나라 기혼남녀의부부간 문제해결행 동 유형은 긍정적-부정적 적극적-소극적 차원에서 다양하게 분류된다 2) 기혼남녀를 비교해 볼 때 수동적 문제해결행동 유형을 제외하고는 문제해결행동유형에 성차이가 있다 3) 기혼 남녀 모두 부부간 문제해결행동 유형별로 사회경제적 지위에 유의한 차이가 없다 4) 기혼남 녀 모두 문제를 경험하는 빈도가 높을수록 적극적-부정적 차원에 속하는 문제해결행동 유 형들을 보인다.

  • PDF

Gender differences of anaerobic capabilities in untrained adults (비훈련 성인남여의 무산소성 운동능력 차이)

  • Jeong, Jinwo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6 no.5
    • /
    • pp.463-468
    • /
    • 2018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gender differences of anaerobic capabilities between anaerobic capacity(AC) from Wingate test and anaerobic work capacity(AWC) from critical power test in untrained male and female adults. Both tests were carried out to 12 male and 13 female subjects on a Monark cycle ergometer.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men were higher than women in AC for the Wingate test, but no gender difference(J/kg) in AWC for the Critical Power test.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AC(J/kg) and AWC(J/kg) in women(r=0.61, p<0.05), but no significant relationship in men(r=-0.32, p>0.05). ANCOVA analyses using $VO_{2max}$ and body weight as covariates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AWC gender difference. The study provides preliminary data on gender differences of anaerobic capabil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