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Factors Affecting Self-Rated Health among Korean Elderly: Focusing on Gender Differences

노인의 주관적 건강평가 관련요인에 관한 연구: 남녀 차이를 중심으로

  • Received : 2012.08.31
  • Accepted : 2012.11.26
  • Published : 2012.11.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ich factors determine self-rated health(SRH) among Korean elderly focusing on gender differences. To achieve this purpose, it uses the Hallym Longitudinal Study of Aging, wave 4 in 2009. Participants aged 65 and over from wave 4 were selected(N=986, male 407, female 579). From wave 4, all variables were selected except for respondents' education which was from wave1. In analyses, $x^2$ or t-test were conducted to examine whether independent variables significantly differ by SRH. Then, since a dependent variable consisted of two categories-being healthy or not being healthy, logistic regressions were run. What makes gender differences in the link of independent variables to SRH were 75-84 age group, education, and IADLs. For females, 75-84 age group rated their health as worse compared to 65-74 age group, but this age group did not have significant effect on SRH for males. Females graduating from junior high school were more likely to higher rate their health compared to their counterparts. However, education was not significant for males.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IADLs) is one of variables affecting SRH by making gender differences. Female having problems with IADLs were more likely to be significantly negatively rate their health compared to males. Through focusing on age, education, IADLs making gender difference in evaluating health, governments needs to support males and females differently.

본 연구는 노인의 주관적 건강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사회학적변수, 신체건강상태, 건강행태와 관련된 요인들 중 성별 차이가 존재하는지 고찰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한림대학교 고령사회연구소에서 수행한 한국 노인의 삶의 질 조사 중 가장 최근 조사인 2009년 제 4차 조사 자료를 횡단면으로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는 2009년 제 4차 조사시점에서 만 65세 이상의 응답자(N=986, 남성 407명, 여성 579명)만을 선택했으며 교육수준에 대한 변수를 제외하고 모두 제 4차 조사 자료에서 변수들을 추출했다. 분석방법으로는 $x^2$ 혹은 t-test를 실시하였으며 독립변수들이 주관적 건강평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때 성별차이가 존재하는지 고찰하기 위하여 남녀 집단으로 나누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회귀계수 남녀차이의 통계적 유의도를 검증하기 위해 Wald $x^2$ 으로 분석했다. 연구결과로는 회귀계수의 남녀차이 검증에서 두 집단 간의 차이를 야기한 변인들은 연령(75-84세), 교육수준, 도구적 일상생활수행능력이었으며 특히 교육수준은 여성에게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주관적 경제상태는 남성과 여성 각각의 집단에서는 주관적 건강평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지만 그 유의미한 영향이 남녀 간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건강상태에서는 도구적 일상생활수행능력에서 도움이 필요한 여성이 남성에 비해 더 자신의 건강을 부정적으로 인식했다. 인구사회학적 변인들, 신체건강상태, 건강행태 변인들 중 주관적 건강평가 시 남녀의 차이를 야기하는 변인들을 중심으로 정책지원이 이루어져 건강을 유지하고 관리하는데 남녀 간의 간극을 좁힐 수 있도록 하고 더 나아가 자신의 건강을 긍정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변화시켜 나갈 필요가 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학술진흥재단, 한림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