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남녀공학

검색결과 159건 처리시간 0.024초

전신진동운동이 20대 성인남녀의 슬관절 근기능과 근반응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uscle Function and Muscular Reaction of Knee Joint in the Twenties on the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 강승록;정구영;배종진;민진영;유창호;김정자;권대규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30권7호
    • /
    • pp.762-768
    • /
    • 2013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whole-body vibration on muscle function and muscular reaction in the knee joint. We recruited thirty healthy subjects and divided them into a training group, who experienced whole-body vibration, and a control group, who did not. The training group performed whole-body vibration exercises for 30 min per day, 3 days a week, for 8 weeks. We measured knee joint torque to estimate muscle strength and reaction, using BIODEX System 3. Knee joint peak torque and total work performed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training group, and muscle acceleration time decreas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stimulation by whole-body vibration can improve muscle strength and reaction by improving muscle tone and increasing blood temperature and flow speed in muscular fiber. Our results also indicate that 4 weeks of exercise with whole-body vibration is required to improve the reaction response, and six weeks to improve strength.

누운 자세에서의 자전거 운동 시 하지 근활성도 분석 (Analysis of Lower-Limbs Muscle Activity during Cycle Exercise in Spine Position)

  • 신선혜;유미;조광수;정호춘;홍정표;홍철운;권대규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331-337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입원 또는 재활 초기단계에 환자가 이동하지 않고 침대에 누운 상태에서 자전거 운동이 가능한 하지 재활 훈련 시스템을 개발하였으며, 정상 성인을 대상으로 침대에 누운 자세에서 다양한 조건에서의 자전거 운동 시의 하지 근 활성도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피험자는 근 골격계나 신경근육계 병력이 없는 20대~60대 사이의 건강한 성인 남녀 42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운동 모드, 부하, 속도에 따른 자전거 운동 시 오른쪽 하지의 대퇴직근, 대퇴이두근, 전경골근, 내측 비복근, 가자미근의 근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부하를 1과 5단계로 제공하였을 때보다 10단계로 제공하였을 때 내측 비복근의 근활성이 높아짐을 보였다. 또한, 속도가 증가할수록 내측 비복근을 제외한 모든 근육에서 근활성도가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즉, 운동 조건에 따라 크게 활성화되는 근육들이 각기 달랐으며, 이러한 결과는 침상에 누워 재활훈련이 가능한 자전거 시스템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써 활용될 것이다.

  • PDF

후각정보의 감성측정을 이용한 영상실감향상 (Video Reality Improvement Using Measurement of Emotion for Olfactory Information)

  • 이국희;김신우
    • 감성과학
    • /
    • 제18권3호
    • /
    • pp.3-16
    • /
    • 2015
  • 오렌지 과즙이 생생하게 표현된 영상과 함께 제시된 오렌지 향은 영상실감을 향상시킬까? 혹은 남녀 간의 데이트 장면에 로맨틱한 향을 제시한다면 영상실감이 향상될까? 전자는 영상에 구체적인 대상 혹은 장소가 존재할 때 향을 활용하여 영상실감을 향상시키는 경우라면, 후자는 그렇지 않은 경우 향을 활용하여 실감향상을 시도하는 경우이다. 본 논문에서는 위의 두 가지 질문에 답하기 위해 다양한 영상과 향에 대한 수용도와 감성에 대한 심리적 측정을 진행해 온 선행 연구들을 종합하고, 이 연구들이 주는 시사점과 한계, 연구 전망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특히 후각정보 수용도, 향 유사성 지각, 영상의 후각적 생생함과 영상실감, 향 감성에 부합하는 색상, 색온도, 그리고 감성 형용사를 측정한 방법과 결과에 초점을 맞춰 논의할 것이다. 본 연구가 영상실감을 위해 향을 사용하고자 하는 연구자 혹은 공학자들에게 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학습자의 성취 수준에 따른 협동학습과 개별학습의 효과 (The Effects of Cooperative and Individualistic Learning Strategies by the Level of Achievement)

  • 임희준;최경숙;노태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37-145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학업 성취도, 과학 수업에 대한 태도, 과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협동학습과 개별학습의 효과를 학습자의 성취 수준에 따라 비교하였다. 협동학습과 개별학습에서는 학습의 책임을 학습자에게 보다 많이 부여하고, 고급 사고 수준의 활동이 포함된 과제를 학습자 중심으로 해결하도록 하였다. 협동학습 집단은 소집단 토론을 통하여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였고, 개별학습 집단은 동일한 활동지를 개별적으로 해결하였다. 전통적인 수업은 교사 설명 위주로 진행하였다. 연구 대상은 남녀 공학 중학교 1학년 학생이었으며, '혼합물의 분리' 단원에 대하여 총 10차시 동안 수업을 실시하였다. 이원 공변량 분석 결과, 협동학습 집단의 학업 성취도 검사 점수가 개별학습 집단이나 전통적 수업 집단에 비하여 유의미하게 높았다. 또한, 과학 수업에 대한 태도 및 과학에 대한 태도도 협동학습 집단이 보다 긍정적이었다. 모든 변인에서 수업 처치와 학습자 성취 수준 사이의 상호작용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즉, 협동학습은 학습자의 성취 수준과 무관하게 효과적이었다.

  • PDF

과학 수업에서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개념 적응적 개별화 학습의 효과 (The Effects of Individualized Learning Adapted to Students' Conceptions Using Smart Devices in Science Instruction)

  • 윤정현;안인영;노태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325-331
    • /
    • 2015
  • 이 연구에서는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개념 적응적 개별화 학습의 효과를 개념 이해도, 개념 파지, 학업 성취도, 학습 동기, 과학 수업에 대한 즐거움,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수업에 대한 인식 측면에서 조사하였다. 서울시의 한 남녀 공학 중학교 1학년 4개 학급을 통제 집단과 처치 집단으로 배치하고, 7차시 동안 '분자의 운동'에 대하여 수업을 실시하였다. 이원 공변량 분석 결과, 처치 집단의 개념 검사, 개념 파지검사, 학습 동기 검사, 과학 수업에 대한 즐거움 검사의 점수가 통제집단에 비하여 유의미하게 높았다. 학업 성취도 검사에서는 처치 집단의 점수가 통제 집단보다 높았으나, 그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도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보상 제공 방법에 따른 협동학습의 효과 (The Effects of Reward Methods in Cooperative Learning)

  • 노태희;윤선애;한재영;이지영
    • 대한화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625-632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협동학습에서 보상 제공 방법의 효과를 학생들의 성취도, 학습 동기, 수업 환경에 대한 인식, 그리고 보상 제공 방법에 대한 인식의 측면에서 조사하였다. 서울시 남녀 공학 중학교에서 1학년 61명을 선정하고 ''물질의 세 가지 상태'', ''분자 운동'', ''상태 변화와 열에너지'' 단원에 대하여 14차시 동안 수업을 실시하였다. 보상 제공 방법은 과제 지향 보상과 수행 지향 보상으로 구분하였다. 연구 결과, 상위 학생들은 과제 지향 보상 집단에서, 허위 학생들은 수행 지향 보상 집단에서 성취도 중 적용 영역의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과제 지향 보상 집단이 학습 동기 중 주의집중과 관련성, 수업 환경에 대한 인식 중 과제 지향성, 참여도, 질서와 조직성에서 유의미하게 높았다.

운전자 정보전달을 위한 차량용 햅틱시트 연구 (Study on Vehicle Haptic-Seat for the Information Transfer to Driver)

  • 오승용;김경태;유창호;한갑수;권대규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1-7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시/청각 방식의 운전정보 전달체계의 한계를 극복하고 더불어 교통약자들의 운전 수행에 도움이 되는 자동차용 햅틱시트 기술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동전형 모터 30개를 사용한 진동자극용 시트커버형 시제품과 모터드라이버모듈을 제작하였고 촉각이상이 없는 젊은 남녀 10명을 대상으로 6자유도 모션베이스 상에 구축된 가상운전 시뮬레이터를 사용하여 가상운전상황에서의 시트진동자극에 대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모터의 동작전압(1.5V, 2.5V, 3.5V)에 따라 세기가 가변되는 30개소의 진동자극의 위치별 인지율을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피험자들은 2.5V,3.5V로 동작하는 30개소의 모터 진동자극을 모두 인지하였고 최저작동전압인 1.5V에서도 일정수준 이상의 인지율을 보여주는 결과를 얻었으며 이 결과는 차량 내에서의 시트를 통한 진동자극의 운전정보 유용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개념 학습에서 학생들의 개념 이해 수준에 적응적인 CAI의 효과 (The effects of CAI adapting to the level of students' conceptual understanding in concept learning)

  • 김경순;강이영;권혁순;왕혜남;노태희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79-88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개념 학습에서 학생들의 개념 이해 수준에 적응적인 CAI의 효과를 개념 이해도, 개념 파지, 학습 동기, 컴퓨터 보조 수업에 대한 인식 측면에서 조사하였다. 서울시의 한 남녀 공학중학교 1학년 94명의 학생들을 통제 집단, CAI 집단 적응적 CAI 집단에 임의로 배치하고, 7차시 동안 '분자의 운동'에 대하여 수업을 실시하였다. 이원 공변량 분석 결과 적응적 CAI 집단의 개념검사 점수 및 학습 동기 검사 점수가 통제 집단의 점수들에 비하여 유의미하게 높았다. 개념 파지검사에서는 적응적 CAI 집단의 점수가 다른 두 집단의 점수에 비하여 유의미하게 높았다. 개념 이해도, 개념 파지, 학습 동기 검사에서 수업 처치와 사전 성취 수준 사이의 상호작용 효과는 없었다. 컴퓨터 보조 수업에 대한 인식에서는 적응적 CAI 집단의 학생들이 CAI 집단의 학생들보다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성별에 따른 SNS사용유형이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연구: 집단소속감, 지각된 사회지지, 부정적 사회비교의 매개효과 (The Relation between Social Networking Sites and Depression by Gender: Mediating effects of Collective Identity,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Negative Comparison)

  • 이승욱;최윤영;이현우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8호
    • /
    • pp.205-215
    • /
    • 2019
  • 본 연구는 Social Networking Sites(SNS)의 사용유형과 우울감의 관계에서 지각된 사회지지와 부정적 사회비교의 매개효과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483명의 성인들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를 이용하여 다집단 구조방정식 분석을 실시하였고, 부트스트랩 분석으로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로는 남녀 모두 SNS를 통해 집단소속감을 느끼며 높은 집단소속감은 높은 사회지지와 낮은 우울감으로 연결되었고, 높은 부정적 사회비교는 높은 우울감으로 연결되었다. 그러나 남성의 경우 집단소속감과 부정적 사회비교 간의 유의미한 관계는 나타나지 않은 반면 여성의 경우 집단소속감이 높을수록 부정적 사회비교 역시 높았고 이는 우울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SNS의 사용은 온라인 환경에서의 집단소속감을 가질 수 있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으나, 성별에 따른 집단 내에서의 소속감은 부정적 사회비교에 서로 다른 영향을 주었고 이에 따라 우울감이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재난에 대한 인식이 정부신뢰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Disaster Awareness on Government Trust)

  • 이영진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13권4호
    • /
    • pp.47-63
    • /
    • 2020
  • 본 연구는 한국인의 사회재난에 대한 위험인식 수준이 정부에 대한 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사회재난 유형에 따른 재난위험 인식 수준 차이와 사회재난 위험인식 수준이 정부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예비조사에서 위험성 정도가 높은 3개 사회재난 유형(조류독감, 미세먼지, 핵발전소)을 추출하였으며, 본 조사는 20세 이상 한국인 성인 남녀 1,109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사회재난 인식 수준은 사회재난 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재난에 대한 자발성, 개인적 지식, 친숙도, 심각성, 두려움, 회복가능성 위험은 정부신뢰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재난에 대한 지연성 위험 인식은 정부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재난에 대한 과학적 지식, 통제가능성, 치명성, 발현시기 위험 인식은 정부신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에서는 본 연구의 시사점 및 한계점을 서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