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Lower-Limbs Muscle Activity during Cycle Exercise in Spine Position

누운 자세에서의 자전거 운동 시 하지 근활성도 분석

  • 신선혜 (전북대학교 헬스케어공학과) ;
  • 유미 (전북대학교 R&D전략센터) ;
  • 조광수 (전북대학교 산업디자인과) ;
  • 정호춘 ((주)싸이버메딕) ;
  • 홍정표 (전북대학교 산업디자인과) ;
  • 홍철운 (전북대학교 바이오메디컬공학부) ;
  • 권대규 (전북대학교 바이오메디컬공학부)
  • Received : 2015.10.12
  • Accepted : 2015.11.25
  • Published : 2015.11.30

Abstract

This research was to develop the cycling system of lower limbs for rehabilitation during cycle exercise in supine position. Also we analyzed the muscular activity of lower-limbs at various exercise conditions according to exercise mode, load, velocity. 42 healthy subjects(ages 20-60 years) were participated. We measured the muscular activities of right lower limb muscle in rectus femoris, biceps femoris, tibialis anterior, medial gastrocnemius, soleus. Results, medial gastrocnemius shows high value on load 10 stage than load 1 and 5 stage. And all muscular activity except medial gastrocnemius was decreased as increase of velocity. We have found that there is a difference of lower limbs activity depending on exercise mode and method. This study could be applied to reference data to develop cycle system of lower limbs for rehabilitation.

본 연구에서는 입원 또는 재활 초기단계에 환자가 이동하지 않고 침대에 누운 상태에서 자전거 운동이 가능한 하지 재활 훈련 시스템을 개발하였으며, 정상 성인을 대상으로 침대에 누운 자세에서 다양한 조건에서의 자전거 운동 시의 하지 근 활성도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피험자는 근 골격계나 신경근육계 병력이 없는 20대~60대 사이의 건강한 성인 남녀 42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운동 모드, 부하, 속도에 따른 자전거 운동 시 오른쪽 하지의 대퇴직근, 대퇴이두근, 전경골근, 내측 비복근, 가자미근의 근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부하를 1과 5단계로 제공하였을 때보다 10단계로 제공하였을 때 내측 비복근의 근활성이 높아짐을 보였다. 또한, 속도가 증가할수록 내측 비복근을 제외한 모든 근육에서 근활성도가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즉, 운동 조건에 따라 크게 활성화되는 근육들이 각기 달랐으며, 이러한 결과는 침상에 누워 재활훈련이 가능한 자전거 시스템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써 활용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통계청, "고령자 통계", 2014.
  2. 유미, 김재준, 박찬희, 박용군, 권대규, "싸이클형 보조기구가 장착된 하지 운동 시스템 개발", 한국정밀공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pp. 1429-1430, 2011.
  3. W. S. Jang, S. M. Kim, S. H. Kang and N. H. Kim, "A study of relationship between EMG activation of thigh muscle(Rectus Femoris, Vastus Iateralis Muscles) and knee angle during bicycle exercis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vol. 46, no. 4, pp. 77-83, 2009.
  4. 임경춘, 김증임, 채영란, "지역거주 노인의 근골격계 기능향상 신체활동에 관한 문헌 고찰연구", 여성건강간호학회지, vol. 20, no. 4, pp. 297-308, 2014. https://doi.org/10.4069/kjwhn.2014.20.4.297
  5. Thistle, H. G., Hislop, H. J., Moffroid, M. T. & Lowman, E. W., "Isokinetic contraction; a new concept of resistive exercise", Arch. Phys. Med. Rehabil., no. 48, pp. 279-282, 1967.
  6. 성락민, "자전거 운동이 폐경기 여성의 건강관련 요인과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한국발육발달학회지, vol. 17, no. 4, pp. 281-286, 2009.
  7. 박태용, 차용준, "고정식 상-하지 자전거에서의 유산소 운동이 성인 편마비 환자의 체성분에 미치는 영향", 재활복지, vol. 18, no. 3, pp. 323-334, 2014.
  8. Neiko Ozasa, Takeshi Morimoto, Bingyuan Bao, "Effects of Machine-Assisted Cycling on Exercise Capacity and Endothelial Function in Elderly Patients With Heart Failure", Journal of the Japanese Circulation Society, vol. 76, 2012.
  9. 김기진, 박상범, 안나영, 장덕찬, 이소정, "안장의 좌우 흔들림형 자전거 에르고미터 운동시 근 활성도, 생리적 변인 및 체표면 온도의 변화", 한국생활환경학회지, vol. 20, no. 7, pp. 868-877, 2013.
  10. 홍철운, 강형섭, 김기범, "헬스케어용 실내 자전거 운동에 의한 호흡가스 분석", 대한의용생체공학회, vol. 30, pp. 147-152, 2009.
  11. S. Y. Park, S. Y. Lee, H. C. Kang, and S. M. Kim, "EMG analysis of lower limb muscle activation pattern during pedaling: Experiments and computer simula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Precision Engineering and Manufacturing, vol. 13, no. 4, pp. 601-608, 2012. https://doi.org/10.1007/s12541-012-0077-4
  12. M. Yu, S. Y. Lee, Y. J. Piao, K. Kim, G. Y. Jeong, J. J. Kim and T. K. Kwon, "Characteristic analysis of lower limbs Muscles in young normal adults on a tilting bed using an unstable platfor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vol. 28, no. 2, pp. 1425-1433, 2011.
  13. 윤창진, 채원식, 강년주, "에르고미터 운동 시근활성도와 생리학적 피로도 비교 분석", Korean Journal of Sport Biomechanics, vol. 20, no. 3, pp. 303-310, 2010. https://doi.org/10.5103/KJSB.2010.20.3.303
  14. 전재완, 주기찬, "자전거 페달링 방식이 하지근 동원양상과 대사변인에 미치는 영향", 응용과학연구, vol. 5, no. 1, pp. 47-62, 1996.
  15. Ericson, M., "On the biomechanics of cycling. A study of joint and muscle load during exercise on the bicycle ergometer", Scand. J. Rehail. Med. Suppl., vol. 16, pp. 1-43, 1986.
  16. 서정우, 최진승, 강동원, 배재혁, 탁계래, "사이클 페달링 시 안장높이에 따른 하지관절 각도와 근육활성화의 상관관계", 한국운동역학회지, vol. 22, no. 3, pp 357-363, 2012. https://doi.org/10.5103/KJSB.2012.22.3.3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