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김혜진

검색결과 825건 처리시간 0.022초

지역사회 거주노인의 안구건조증 유병률과 관련요인 (Dry Eyes and its Associated Factors in the elderly living in the community)

  • 김수연;김민지;김유정;김진섭;김혜진;문승주;박서우;박연수;백승아;원종순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1호
    • /
    • pp.331-339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안구건조증, 수면장애, 우울의 유병률과 안구건조증 관련 요인을 파악하여 노인의 안구건조, 수면장애, 우울의 관련성을 규명하기 위함이다. 연구대상은 만 65세 이상 재가 노인으로, 일반적 특성과 우울, 수면의 질, 안구건조증 측정도구가 포함된 질문지를 이용하여 설문조사를 하였다. 149명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노인의 안구건조증 발생은 연령(χ2=4.50, p=.034), 직업유무(χ2=7.14, p=.008), 만성질환(χ2=6.59, p=.010), 약물(χ2=4.86, p=.027), 눈수술 여부(χ2=6.02, p=.014), 수면장애(χ2=7.29, p=.007)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다중로지스틱회귀분석에서는 수면장애가 안구건조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규명되었다(OR=2.45, 95% CI=1.17-5.13). 따라서, 노인의 안구건조증 관리 및 예방을 위해 수면장애를 유발하는 원인을 찾고 수면의 질을 증진 시킬 수 있는 간호중재 및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우리나라 수문학적 가뭄 위험도 평가 (Hydrological drought risk assessment for climate change adaptation in South Korea)

  • 서정호;지혜원;김혜진;김연주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5권6호
    • /
    • pp.421-435
    • /
    • 2022
  • 기후변화로 인해 자연재해의 빈도가 증가하고 있어 미래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가뭄 영향을 평가 및 전망하고 가뭄 위험도 감소를 위한 기후변화 적응 대책이 필요하다. 가뭄 위험도(risk)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기후 요소뿐만 아니라 가뭄 발생 지역의 사회·경제적인 요소들 또한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IPCC의 재난 위험도 분석 프레임워크에 따라 가뭄 위험도 평가 요소를 위해성(Hazard), 노출도(Exposure), 취약성(Vulnerability)으로 나누고 이에 맞는 각 지표를 선정하여 우리나라 중권역 단위의 가뭄 위험도를 정량화하였다. 미래 가뭄 위험도 평가를 위해 근 미래(2030-2050년)와 먼 미래(2080년-2099년)에 대해 기후변화 시나리오(RCP 2.6, RCP 8.5)와 사회경제 시나리오(SSP1, SSP2, SSP3)를 조합하여 가뭄 위험도를 살펴보고 이를 과거(1986-2005년)와 비교·분석하였다. 미래 시나리오에 따른 가뭄 위험도는 시간에 따라 전 유역에 걸쳐 먼 미래에 크게 상승하였다. 그리고 가뭄 위험도의 각 요소별 기여도와 순위 분석을 통해 미래 가뭄 위험도 상승에 대해 가뭄 위해성의 기여도가 전반적으로 크고, 유역별로 상승 요인이 다르다는 것을 확인했다. 이에 미래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유역별 해결 방안을 제시하여 향후 가뭄대책 수립을 위한 정책에 기반이 될 수 있도록 하였다.

주기성을 갖는 입출력 데이터의 연관성 분석을 통한 회귀 모델 학습 방법 (Learning Method for Regression Model by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Input and Output Data with Periodicity)

  • 김혜진;박예슬;이정원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11권7호
    • /
    • pp.299-306
    • /
    • 2022
  • 최근 로봇이나 설비, 회로 등에 센서 내장이 보편화 되고, 측정된 센서 데이터를 학습하여 기기의 고장을 진단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수행되고 있다. 이러한 고장 진단 연구는 고장 상황이나 종류를 예측하기 위한 분류(Classification) 모델 개발과 정량적으로 고장 상황을 예측하기 위한 회귀(Regression) 모델 개발로 구분된다. 분류 모델의 경우, 단순히 고장이나 결함의 유무(Class)를 확인하는 반면, 회귀 모델은 무수히 많은 수치 중에 하나의 값(Value)을 예측해야 하므로 학습 난이도가 더 높다. 즉, 입력과 출력을 대응시켜 고장을 예측을 할 때, 유사한 입력값이 동일한 출력을 낸다고 결정하기 어려운 불규칙한 상황이 다수 존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주기성을 지닌 입출력 데이터에 초점을 맞추어, 입출력 관계를 분석하고, 슬라이딩 윈도우 기반으로 입력 데이터를 패턴화 하여 입출력 데이터 간의 규칙성을 확보하도록 한다. 제안하는 방법을 적용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MMC(Modular Multilevel Converter) 회로 시스템으로부터 주기성을 지닌 전류, 온도 데이터를 수집하여 ANN을 이용하여 학습을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 한 주기의 2% 이상의 윈도우를 적용하였을 때, 적합도 97% 이상의 성능이 확보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토종닭(우리맛닭 1, 2호 및 한협 3호) 냉장육의 이화학적 특성 및 지방산 조성 (Comparative Analysis of Physicochemical Traits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Chicken Meat from New Strain of Korean Native Chickens)

  • 신동진;김혜진;권지선;김동욱;김희진;추효준;정종현;장애라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217-225
    • /
    • 2021
  • 국내 시중에서 유통되는 상용 육계 및 토종닭인 한협 3호, 우리맛닭 1, 2호 간의 품질특성 및 지방산 조성을 비교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된 본 연구에서, 육계와 각 토종닭은 서로 다른 품질특성을 나타냈다. 특히, 우리맛닭 1호 닭가슴살의 경우 토종닭 중 불포화지방산을 가장 많이 함유한 것이 특징이었으며, 우리맛닭 2호 닭가슴살은 육계 및 기존 토종닭에 비해 전단력이 낮고, 우리맛닭 1호 다리살은 육계보다 감칠맛에 영향을 미치는 arachidonic acid, docosahexaenoic acid의 함량이 유의적으로 높은 특성을 나타냈다. 따라서, 신품종 우리맛닭 1, 2호는 기존의 육계와 토종닭과 구별되는 품질 특성을 보이고 있어, 본 연구결과는 토종닭에 대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지속가능한 MICE행사 개최에 관한 탐색적 연구: 고양시를 중심으로 주최자 관점에서 (An Exploratory Study on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MICE Industry: Perspective of the Organizer, Focusing on Goyang City)

  • 윤영혜;이상열;김혜진;엄문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5호
    • /
    • pp.227-232
    • /
    • 2022
  • 본 연구는 지속가능한 MICE행사 운영에 관한 탐색적 연구이며, FGI 방법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MICE분야 업계, 학계 등 전문성을 가진 12명을 선정하였는데 본 연구의 경우 무엇보다 연구내용에 대한 전문성과 특수성이 연구의 신뢰도를 높이고 타당성을 확보하는 원천이기 때문이다. 연구기간은 2021년 6월~8월까지 3개월간 진행되었다. 연구의 결과, MICE산업에서 지속가능한 발전 전략을 마련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며, 특히 주최자관점에서 행사 운영 시 실천해야할 가이드라인의 필요성이 도출되었다. 또한 이론적 근거를 바탕으로 실무에서 활용 가능한 항목 도출이 중요하며,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지속가능한 발전목표(UNSDGs) 및 관광 및 MICE분야에서 개발되었던 지속가능한 MICE 연구를 활용한 연구 결과 도출이 요구되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MICE분야 전문가들의 검증을 통해 MICE 개최 시 활용가능한 주최자관점에서의 이론적, 실무적 가이드라인이 개발되었다. 연구의 결과는 향후 지속가능한 MICE행사 개최에 있어 보다 효과적인 전략 수립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GPS 정보를 활용한 돌발상황 검지 알고리즘 개발 (Development of Incident Detection Algorithm using GPS Data)

  • 공용혁;김혜진;이용주;강신준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771-782
    • /
    • 2021
  • 고속화도로 및 자동차전용도로와 같은 고속도로에서는 중대형 교통사고, 도로시설물 파손 및 유지/보수작업, 차량 고장 및 정지 등 규칙/불규칙한 상황이 빈번히 발생한다. 이러한 규칙/불규칙적 상황을 즉각적으로 인식하여 운전자들에게 교통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요구되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신속히 데이터를 수집하고 비정상적인 교통상황을 검지하는 것에 대한 다양한 기법들이 개발되었다. 하지만 인프라에 대한 유지/보수와 검지율, 위치에 대한 정확성 등 개선점이 요구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고속도로내 돌발상황 검지를 위해 기존 연구에 대한 고찰과 자동차 위치정보(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기술, 교통공학 이론적 관점의 연구를 통해 고속도로 돌발상황 정의와 알고리즘 개발로 시스템을 구축하고 테스트베드를 운영하여 돌발상황 알고리즘 검증과 실증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돌발상황 발생 시 예측 가능한 사고를 줄일 수 있는 2차 사고에 대한 효과와 예측 불가능한 사고의 검지 시간을 줄여 부상자에 대한 골든타임 확보할 것으로 기대된다.

고 주파수 기반 선박중심 직접통신(MX-S2X) 물리계층 구현 및 성능분석 (Implementation and Performance Analysis for MX-S2X, Ship Centric Direct Communication based on High-frequency)

  • 김혜진;류형직;장진영;김원용;김부영;심우성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570-575
    • /
    • 2022
  • 고 주파수 기반의 광대역 통신기술을 활용하는 선박중심 직접통신(MX-S2X)은 디지털 통신 연계기술 개발 및 실증을 통한 육상·선박·시설의 유기적 연결을 제공함으로써, 향후 도래할 자율운항선박 및 유·무인선 혼재 운항 상황에서 해상 통신 인프라로서의 효과적 활용이 가능하다. 본 논문은 해상 다중경로 페이딩 극복 가능한 선박중심 직접통신(MX-S2X) 시스템의 물리계층 설계 및 M&S(modelling &Simulation) 기반 성능 분석의 후속으로 설계 내역의 최적화 및 상세설계를 확정하고, 이를 하드웨어로 구현하여 성능을 검증 하였다. 구현한 하드웨어 성능 분석을 위해 시험환경을 구성하여 PER 성능을 측정한 결과, M&S 대비 AWGN 환경에서는 0.2dB, 해상 다중 경로 페이딩 환경에서는 1.2dB의 성능 열화를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수준의 성능 열화는 케이블 손실, 시험 오차 등에 의한 것으로 구현한 물리계층 하드웨어가 적정한 성능 수준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이용한 한국 사회의 혐오 양상 분석 (Analyzing the Phenomena of Hate in Korea by Text Mining Techniques)

  • 김혜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6권4호
    • /
    • pp.431-453
    • /
    • 2022
  • 혐오는 타인에 대한 배타성이 집단적으로 표출된 것으로, 잘못된 대중적 인식을 통하여 양산되고 재생산된다. 이 연구는 우리사회에서 언급되고 있는 '혐오' 양상을 거시적으로 탐색하고자 1990년부터 2020년까지 발행된 뉴스데이터 17,867건을 대상으로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키워드 네트워크와 군집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단어를 추출하기 전에 먼저 기사를 문장으로 분리하는 전처리 과정을 거쳐 '혐오', '편견', '차별'이라는 단어를 포함하고 있는 문장 총 52,520개를 추출하여 분석에 활용함으로써 '혐오'라는 단어와 인접한 단어들로 구성된 키워드 네트워크를 구축하였다. 수집한 뉴스데이터의 단어 동시출현빈도 분석 결과, 우리 사회에서 혐오와 관련되어 가장 빈번하게 등장하는 대상은 여성, 인종, 성소수자 등이며, 관련된 이슈는 이들 집단과 관련된 법과 범죄 등이었다. 키워드 네트워크 군집 분석 결과, 성별(41.4%), 소수자(28.7%), 인종·민족(15.1%), 선택적·이해관계적(8.5%), 정치·이념(5.7%), 환경·생존적(0.3%) 혐오 등 총 6개의 혐오 군집들이 발견되었다. 논의에서는 군집 분석 결과 구체적으로 드러나지 않은 혐오의 표적(대상)을 모두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반려동물 사료의 Salmonella spp. 신속검출을 위한 증균배양법, 면역학적 검출법 및 종 특이 프라이머를 이용한 PCR 방법 비교 (Comparison of Conventional Culture Method, Enzyme Immune Method, and PCR for the Rapid Detection of Salmonella spp. in Pet Food)

  • 윤혜정;차선호;이승화;정민희;나태웅;김혜진;조현정;홍성희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5-20
    • /
    • 2022
  • 국내 유통되는 반려동물 사료의 살모넬라 분석시 증균배양법, 효소면역기법에 의한 분석, 종 특이 primer를 활용한 PCR 방법을 활용하여 비교 평가하였다. 시료 175점 Salmonella spp. 검출 결과 증균배양법 및 종 특이 primer를 활용한 PCR 방법에 의한 검출 방법에서 2점의 시료(육포, 옥수수 글루텐)가 양성으로 확인되었고, 효소면역기법에 의한 검출방법에서는 1점의 시료(옥수수 글루텐)가 양성으로 확인되었다. 증균배양법 및 효소면역기법에 의한 검출방법에 비해 종 특이 primer를 활용한 PCR 방법을 적용 할 경우 시료에서 분리된 균주의 종(species) 판별이 가능하였다.

운전자 스트레스 저감을 위한 다감각 자극의 효과 (Effect of the Multisensory on the Stress-relieving for Vehicle Driver)

  • 김영주;김혜진;이현우;조영호;황민철
    • 감성과학
    • /
    • 제24권4호
    • /
    • pp.107-116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운전상황에서 운전자의 스트레스가 유발되었을 시, 다감각 자극이 운전자의 스트레스 저감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운전상황의 운전자의 스트레스를 저감을 목적으로 조명과 사운드 및 향의 조합을 통한 다감각 자극을 제시함으로써, 스트레스 저감에 대한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운전 시 스트레스 상황을 정의하고, 두 종류의 스트레스 유발 시나리오를 구성하였다. 실험은 신체 건강한 20-50대 남녀 30명을 대상으로, 10분간의 운전 상황을 연출하였다. 스트레스 저감에 효과적인 자극조합을 확인하기 위해 시각, 청각, 후각의 자극을 이용하였으며, 시각 자극의 경우 LED 조명을 이용하여 블루, 그린, 옐로우 색상을 제시하였으며, 청각 자극은 화이트, 핑크, 브라운노이즈 사운드를, 후각 자극의 경우는 로즈마리, 라벤더, 레몬향을 각각 사용하였다. 또한, 스트레스 저감에 대한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다감각 자극 제시 전후로 주관평가 및 심박변이도를 측정하였다. 심장 반응의 결과, 그린(조명), 핑크노이즈(사운드), 로즈마리(향)의 자극 조합에서 HF(%) 증가 및 LF(%), LF/HF(%)의 감소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부교감반응의 활성화가 이루어짐을 알 수 있었다. 주관평가 또한 다감각 자극에 노출되었을 때, 다감각 자극이 없는 경우보다 스트레스 저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다감각 자극에 노출되기 전보다 다감각자극을 경험할 때 운전시 스트레스 저감에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사료된다. 향후 연령별이나 성별에 대한 차이나 개인이 선호하는 자극에 대한 연구를 통해 맞춤형 스트레스 저감 자극에 대한 효과를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