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기초간호학

검색결과 289건 처리시간 0.034초

국내 기초간호학 교육과정 운영 현황 및 교수자의 기초간호학 교과목에 대한 인식 (Current Biological Nursing Curriculum and Faculty Perceptions on Biological Nursing Subjects in South Korea)

  • 서경산;김진일;안경주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23권2호
    • /
    • pp.127-137
    • /
    • 2021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the biological nursing curriculum and faculties' perceptions on biological nursing subjects in South Korea. Methods: Biological nursing subjects' titles and credits were searched through the nursing schools' website. Perceived adequacy of subjects' title and credit in each biological nursing subject and the degree of perceived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learning contents by subjects were collected from 30 professors of biological nursing subjects. Results: Many schools still use the titles of medical subjects for those of biological nursing subjects. The perceived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genetics-related learning contents, "nursing case study" or "project team presentation," were lower than other learning contents. Conclusion: Standardization of biological nursing subjects' titles and learning contents is needed.

고등학교 과학과목 이수가 일 대학 간호학생의 기초간호과학 및 전공간호학성적에 미치는 융합적 효과 (The Converging Effects of Complete Science Subjects in High School on the Grades of Basic Nursing Sciences and Major Nursing Subjects of Nursing Students of one University)

  • 정인숙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7권5호
    • /
    • pp.97-106
    • /
    • 2016
  • 본 연구는 고등학교과학과목(이하, 과학과목)이수가 대학 입학 후 기초간호과학과 전공간호학성적에 미치는 융합적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일 대학 간호학과 4학년 111명 대상으로 시도되었다. SPSS 19.0으로 t 검정, Pearson 상관계수, 다중 및 단일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생물I, 생물II, 화학I, 화학II이수집단의 해부학, 생리학, 병리학 평균이 유의하게 높았고, 생물II 이수집단의 전공간호학평균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과학과목이수와 기초간호과학 및 전공간호학 간, 화학II 이수와 기초간호과학 간, 기초간호과학과 전공간호학 간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과학과목이수의 기초간호과학, 전공간호학에 대한 설명력은 각각 18.2%, 8.6%이었고, 기초간호과학의 전공간호학에 대한 설명력은 63.8%였다. 이 연구결과는 대상과 지역을 확대하여 반복연구 후 입학사정 시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고, 입학 전 과학과목을 이수하지 않은 신입생의 기초간호과학의 효과적인 수강을 위한 준비프로그램의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기초간호학만족도가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경로에 관한 융합 연구 (A Convergence Study about the Effect Path of Satisfaction with Biological nursing science on Clinical competence)

  • 임정혜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7호
    • /
    • pp.421-429
    • /
    • 2019
  • 본 연구는 기초간호학만족도, 전공간호학만족도, 비판적사고성향과 전공만족도 및 임상수행능력 간의 인관관계와 경로를 파악하기 위한 융합연구이다. 3개 대학 간호학과 학생 203명을 대상으로, 2018년 5월에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수집하였다. PASW 18.0, AMOS 18.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기초간호학만족도가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경로모형은 적합하였다(${\chi}^2/DF=1.093$, GFI=.992, AGFI=.968, RMSEA=.021, CFI=.998, NFI=.983). 기초간호학만족도는 전공간호학만족도(${\beta}=.345$), 전공간호학만족도는 비판적사고성향(${\beta}=.272$)과 전공만족도(${\beta}=.277$), 비판적사고성향은 전공만족도(${\beta}=.365$)와 임상수행능력(${\beta}=.582$), 전공만족도는 임상수행능력(${\beta}=.228$)에 직접효과가 있음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기초간호학만족도가 높으면 전공간호학만족도가 높아지고, 이는 비판적사고성향과 전공만족도를 높이며, 결국에는 임상수행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임을 확인하였다. 이에 다양한 교수학습방법 개발과 적용으로 기초간호학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중재마련이 필요하다.

직업기초능력강화 융복합 기본간호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평가 (The Development and Effect of Convergence Fundamental Nursing Program with Empowering Vocational Basic Competencies)

  • 백경화;서형은;조정화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8호
    • /
    • pp.303-311
    • /
    • 2019
  • 본 연구는 직업기초능력강화 융복합 기본간호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본 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들의 의사소통능력, 대인관계 이해, 공감역량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단일군 전후실험설계이다. 연구는 2018년 9월부터 12월 사이 15주 동안 시행되었으며 자료수집은 G시 G대학 간호학과에서 기본간호학이론과 기본간호학실습 교과목을 수강하는 2학년 학생 4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와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직업기초능력강화 융복합 기본간호 프로그램은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 능력(t=-3.452, p=.001), 대인관계 이해(t=-5.405, p<.001) 및 공감역량(t=-7.226, p<.001)에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전공 맞춤형 직업기초능력을 연계한 직업기초능력강화 기본간호 프로그램을 통해 간호대학생의 간호 직무역량 향상에 기여할 수 있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전공교과목에 확대하여 적용할 필요성을 제언한다.

간호학생에게 적용한 학습자질문중심학습법과 온라인 퀴즈기반학습법의 효과: 기초간호학 교과목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student-generated questions and online quiz-based learning applied to nursing students; focused on biological nursing science subjects)

  • 유영미;양영미;정미란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9호
    • /
    • pp.411-421
    • /
    • 2021
  • 본 연구는 학습자질문중심학습법과 온라인 퀴즈기반학습법을 생리학과 약리학 교과목에 순차적으로 적용하고 학습에 대한 효과를 비교하고자 간호학과 학생 총 173명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전체 학생들의 학습동기는 8주차에 비해 15주차에 유의하게 낮아졌고(T=2.843, p=.005), 두 학습법을 적용한 순서에 따라서도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약리학 교과목 학습자들의 학습만족도는 온라인 퀴즈기반학습법만을 적용하였을 때 학습자질문중심학습법을 적용하였을 때보다 유의하게 높았다(t=2.184, p=.003). 본 연구 결과, 기초간호학교과목에 학습자질문중심학습법과 온라인 퀴즈기반학습법 중 어느 것이 더 효과적이라고 말할 수 없으며 순차적인 병용효과도 없으므로, 향후 수업 설계에서는 한 과목에 단일 학습법을 적용하거나 두 가지 학습법을 처음부터 병행하여 사용할 것을 제안한다.

기초간호과학 수업에서 액션러닝 적용 사례연구 : 성찰일지 내용분석 중심으로 (A Case Study on application of Action Learning in Basic Nursing Science: by Contents Analysis of the Reflection Journals)

  • 주은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8호
    • /
    • pp.397-404
    • /
    • 2021
  • 본 연구는 기초간호과학 수업에 적합한 액션러닝 수업을 설계하고 이를 적용한 후 간호학생의 교육 경험의 의미를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연구대상은 S시 소재 K대학의 간호학과에서 기초간호과학 수업에 참여한 학생 100명이었고 자료수집은 2019년 3월부터 2020년 6월까지 진행되었다. 기초간호과학 수업은 팀 당 5-6명, 총 18개 팀이 액션러닝을 진행하였고. 수업 후 성찰일지를 수집한 후 내용분석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액션러닝 기반 기초간호 과학 수업에 대한 경험은 45개의 의미 있는 진술과 8개의 주제, 4개의 범주로 도출되었고, 4개의 범주는 「해부학에 대한 자신감」, 「성장하는 팀워크」, 「학습법을 터득함」, 「진행과정의 어려움」이었다. 액션러닝 적용 수업은 문제해결능력, 팀워크, 자기 주도적 학습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나 다른 간호학 교과목에서도 액션러닝을 적용하여 효과를 평가해 볼 것을 제안한다.

시뮬레이션교육 디브리핑이 간호대학생의 직업기초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Debriefing in Nursing Simulation based Education on the Vocational Basic Competencies)

  • 정미현;서요한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20-35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시뮬레이션교육의 디브리핑과 직업기초능력과의 관계를 규명하고, 직업기초능력 향상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J도에 소재하는 K 대학의 간호학 전공 4학년 학생 203명이었다. 연구결과, 시뮬레이션교육 디브리핑은 직업기초능력과 정적인 상관관계이었으며, 직업기초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디브리핑은 '토론유도'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직업기초능력을 강화하기 위해 시뮬레이션교육의 토론활동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