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기대도

검색결과 31,295건 처리시간 0.057초

쇼핑몰과 테넌트간 기대-불일치 및 고객만족의 상호 영향 (The Mutual Effect of Expectancy-Disconfirmation and Customer Satisfaction of Shopping Mall and Tenant)

  • 박진용
    • 한국유통학회지:유통연구
    • /
    • 제13권2호
    • /
    • pp.79-95
    • /
    • 2008
  • 본 연구는 쇼핑몰과 쇼핑몰에 입점한 테넌트를 연구의 대상으로 하고 있다. 쇼핑몰의 발전과 성장에 비해서 지금까지의 학문적 관심은 매우 제한적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기대-불일치 패러다임의 주요 변수인 기대, 성과, 불일치, 만족 및 재방문 의도를 쇼핑몰과 테넌트의 맥락에서 점검하고 있다. 특히 쇼핑몰과 테넌트간의 기대, 성과, 불일치, 만족 및 재방문 의도의 상호 영향을 중심으로 연구모형을 제시하였다. 가설은 기대불일치 관련변인을 쇼핑몰과 테넌트에 각각 적용하는 것에서 시작하여 쇼핑몰의 변수가 테넌트의 변수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와 테넌트의 변수가 쇼핑몰의 변수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로 확장하였다. 영향관계의 방향을 명확히 알 수 있는 경우와 이를 탐색해야 하는 부분으로 구분하여 고객의 쇼핑몰과 테넌트에 대한 상호 영향을 확인하였다. 461명의 몰인터셉트 서베이 결과 연구모형은 대체로 기대한 가설을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방향성을 확인하는 가설에서는 테넌트에 대한 불일치와 만족이 쇼핑몰에 대한 불일치와 만족에 미치는 영향이 반대의 방향보다 유의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쇼핑몰에 대한 만족은 테넌트에 대한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있다.

  • PDF

다중상태 생명표 모형을 활용한 중고령층의 근로 및 은퇴 생애과정 연구 (An Analysis of the Work and Retirement Life Course of Middle-and Old-Aged Koreans Using Multi-State Life-Table Models)

  • 우해봉
    • 한국조사연구학회지:조사연구
    • /
    • 제12권1호
    • /
    • pp.65-88
    • /
    • 2011
  • 본 연구는 패널조사에 기초한 다중상태 생명표 모형을 활용하여 우리나라 중고령층의 근로와 은퇴 그리고 사망으로 이어지는 생애과정을 분석하고 있다. 또한 기존의 생명표 분석이 성별 차이만을 고려하였음에 비해 본 연구는 교육수준을 추가적으로 고려하여 생명표를 작성함으로써 근로 및 은퇴 생애과정에서 관측되는 사회계층별 이질성을 추가적으로 고려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는 근로 및 은퇴 생애과정이 성별 그리고 교육수준별로 매우 이질적인 패턴을 보이고 있음을 보여 주었다. 성별 차이와 관련하여 여성은 남성에 비해 생존기간이 길지만 취업 기대여명이 낮음과 동시에 미취업 기대여명이 높게 나타남으로써 전체 생존 기간에서 미취업 기간이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높은 모습을 보여 주었다. 교육수준별 차이와 관련한 분석 결과는 전반적으로 취업 기대여명에서는 뚜렷한 차이가 관측되지 않는 반면, 미취업 기대여명에서의 격차가 유의미하게 나타남으로써 교육수준별 근로생애 차이는 대체로 미취업 기대여명에서의 차이임을 보여 주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교육수준이 낮은 개인들은 교육수준이 높은 개인들과 유사한 수준의 취업 기대여명을 갖고 있지만, 미취업 기대여명이 유의미하게 낮음으로 인해 생존 기간의 보다 큰 비중을 노동시장에서 체류하고 있음을 보여 주었다.

  • PDF

이중절단정규분포의 적용을 통한 케이슨 방파제 기대활동량 평가의 향상 (Improved Estimation for Expected Sliding Distance of Caisson Breakwaters by Employment of a Doubly-Truncated Normal Distribution)

  • 김태민;황규남;타카야마 토모츠카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21-231
    • /
    • 2005
  • 본 연구는 기대활동량을 이용하는 케이슨 방파제의 신뢰성 설계법(레벨 III)에 대한 연구로서, 기대활동량의 향상된 평가를 위해 지금까지 이용되어온 정규(가우스)분포 대신 이중절단정규분포의 사용을 제안하고자 하며, 이에 대한 타당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확률적 개념에 근거한 기대활동량의 계산과정에서 Monte-Carlo모의 기법을 통한 불확정요소들의 영향을 반영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과 함께 이중절단정규분포가 적용되어야만 하는 명확한 근거가 제시되며, 또한 기대활동량 평가시의 이중절단정규분포의 적용방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주어진다. 본 논문에서는 케이슨 방파제만을 대상으로 이중절단정규분포를 적용하고 있으나, 이중절단정규분포의 적용은 다양한 해안구조물 및 타 공학 분야에도 적극 활용될 수 있으므로 향후 적극적인 활용이 기대된다.

스포츠 계열 전공 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결과기대 및 학과적응의 인과관계 (The Relationships of academic self-efficacy, outcome expectation, and department-adaptation of Students Majoring in sports)

  • 이계영;김알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2호
    • /
    • pp.509-517
    • /
    • 2016
  • 본 연구는 스포츠 계열 전공 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결과기대 및 학과적응의 인과관계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스포츠 계열 전공 대학생 514명을 무작위추출 표집방법으로 추출하였으며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v18.0과 AMOSS v20.0을 이용하여 확인적요인북석, 상관관계분석, 경로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결과기대에,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이에 의한 결과기대는 학과적응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과적응의 관계에서 결과기대의 간접효과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스포츠 계열 전공 대학생의 학과적응을 높이기 위해 결과기대를 높이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사료된다.

한국의 사망력 추계 : 통합 Lee-Carter 방법 (Mortality Forecasting for the Republic of Korea: the Coherent Lee-Carter Method)

  • 김수영
    • 한국인구학
    • /
    • 제34권3호
    • /
    • pp.157-177
    • /
    • 2011
  • 이 연구에서는 한국의 사망력 추계를 위해 Li 와 Lee가 그룹 인구의 일관성 있는 사망력 추계를 위해 제안한 Coherent Lee-Carter방법을 일본, 타이완의 자료를 결합하여 적용하고, 이 방법의 적합을 검증하였으며, Lee-Carter방법을 각각 적용했을 때와의 결과를 비교하였다. 세 국가를 하나의 그룹으로 작성한 이 방법은 세 국가에 각각 Lee-Carter방법을 적용했을 때에 비해 타이완의 기대수명 증가를 가속시키고, 일본의 기대수명 증가를 감속시키면서, 2050년 세 국가의 기대수명 범위를 6.8세에서 3.0세로 감소시켰다. 한국의 경우는 남녀전체의 기대수명은 크게 변화시키지 않았으나, 65세 이상의 기대수명 증가를 가속화시키고, 65세 이하의 기대수명증가를 감속화 시켰으며, 남녀 기대수명 차이를 서서히 감소시켰다. 이 방법은 한 국가의 사망력 추계를 위해 사망환경이 유사한 국가의 사망력을 결합하는 것은 장기간의 사망력 수렴뿐만 아니라, 단기간의 사망력 추계의 적합도 향상, 연령별 사망력 감소 패턴의 보정 및 한 국가 내 세부 그룹 인구의 일관성 있는 사망력 추계에의 응용 등 여러 가지 장점이 있음을 시사한다.

정보시스템 통합전산환경 구축 ${\cdot}$ 운영의 기대 성과분석;문화정보화의 경우를 중심으로 (The Expected Performance of Constructing and Operating the Integrated Computing Environment;in case of Culture Informatization)

  • 정해용;김상훈;허종석;이춘우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IT서비스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25-133
    • /
    • 2005
  • 정보시스템의 통합전산환경 구축 ${\cdot}$ 운영은 별도의 추가적인 예산이 소요될 뿐 아니라 관련 기관의 정보화업무 수행 프로세스 및 조직상의 변화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따른 기대효과를 다양한 측면에서 적정하게 분석하는 것은 사업추진의 타당성 진단차원뿐 아니라 구축이후의 운영과정상에서 성과관리의 기준을 확보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문화관광부의 소속기관 및 산하단체의 정보시스템 운영환경을 통합한 문화정보 통합센터의 구축 ${\cdot}$ 운영을 가정하여 그 기대성과를 분석하였으며, 첫째, 문화정보 통합센터 구축 ${\cdot}$ 운영에 따른 성과를 사업적 기대가치와 전략적 기대가치로 구분하여 분석하였고 둘째, 사업적 기대가치의 경우에도 균형성과표(BSC) 관점에서 핵심성공요인(CSF) 기법을 이용하여 정보화업무효율화성과, 조직혁신 및 발전제고 성과, 대민서비스 향상성과, 문화적 가치제고 성과 등 4가지 관점으로 범주화하여 성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셋째, 각 범주별 세부 성과평가 지표의 도출을 위한 정보화업무 효율화성과의 측정의 경우에는 TCO(Total Cost of Ownership) 관점에서 경제적 성과로 환산하여 측정하도록 하였으며, 아울러 정성적 측정지표의 개발도 병행하여 성과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의의로는 통합전산환경 구축 ${\cdot}$ 운영의 기대성과를 균형성과표 및 핵심 성공요인 (CSF) 기법을 이용하여 합리적으로 분석하는 기법을 제시함과 아울러 TCO 기법을 접목한 경제성분석방법론을 제시하였다는 점이다.

  • PDF

IT기반 로봇의 수용에 관한 연구: TAM과 EDT 모형의 통합관점 (Predicting IT-based Robot Adoption in Korea: By Integrating TAM and EDT)

  • 김유정;이형석;윤종수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5권12호
    • /
    • pp.237-245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TAM 모델에서의 신념변수인 지각된 유용성을 기대불일치이론에 근거하여 지각된 유용성과 기대된 유용성의 불일치정도로 개념화 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신기술 수용에 관한 개인의 혁신성과 URC로봇의 유용성에 대한 기대불일치정도가 태도와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06년과 2007년 두 차례에 걸쳐 1000가구를 대상으로 실시된 URC 시범서비스 가구를 대상으로 각각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두 차례 설문 모두에 응답한 설문응답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개인 혁신성은 유용성의 기대불일치정도(지각된 유용성-기대된 유용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유용성의 기대불일치정도는 사용자 태도와 이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사용자 태도는 이용의도와 유의미한 수준에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력단절 여성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경력계획의 관계에서 결과기대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Outcome Expect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the Career Planning of Career Interrupted Women)

  • 이수분;이정희
    • 직업교육연구
    • /
    • 제36권2호
    • /
    • pp.51-67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경력단절 여성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경력계획의 관계에서 결과기대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라 부산 경남지역에 소재한 여성인력개발센터에서 직업교육과 상담에 참여하고 있고, 취업의사가 있는 경력단절 여성 270명을 대상으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결과기대, 경력계획 척도를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리고 수집된 자료는 회귀분석방법으로 매개효과를 분석하였으며, 이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력단절 여성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결과기대, 경력계획은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경력단절 여성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경력계획의 관계에서 결과기대의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연구의 의의와 경력단절 여성의 경력개발을 위한 교육적 제언을 하였다. 본 연구는 이후 경력단절 여성의 경력개발을 위한 교육 및 상담에 의미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체육수업 상황에서 교사-학생 상호작용과 결과기대 및 학업열의의 구조적 관계 (A Study on Structural Relations between Teacher-Student Interactions, Outcome Expectancy and Academic Engagement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 김승용;송기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7호
    • /
    • pp.303-309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체육수업 상황에서 교사-학생 상호작용과 결과기대 및 학업열의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해 수도권에 소재하고 있는 중학교 4곳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법을 이용하여 총 442부를 최종 유효 표본으로 선정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0.0과 AMOS 20.0을 이용하여 전체연구 단위의 적합도 검증을 확인한 후 가설검정을 실시하였으며, 그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교사-학생 상호작용의 근접성은 결과기대와 학업열의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반면 영향력은 결과기대와 학업열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체육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결과기대는 학업열의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학생 상호작용의 근접성과 학업열의의 관계에서 결과기대는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부산지역 중소병원 급식서비스에 대한 환자만족도 평가 (Evaluation of Patients서 Satisfaction with Foodservice of Mid-size Hospitals in Busan Area)

  • 김영선;류은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7호
    • /
    • pp.1153-1163
    • /
    • 2003
  • 본 연구는 부산지역 130병상 이하의 의료기관중 위탁급식을 하는 1개 병원과 직영급식을 하는 3개 병원의 일반식 환자를 279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중소병원의 급식 서비스에 대한 품질만족도를 조사하여 중소병원급식을 개선시키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조사하였다. 환자들의 급식에 대한 총 평균 점수에서 기대도는 4.12점, 인식도는 3.15점, 품질만족도는 -0.96점으로 나타났다. 음식특성의 평균 품질만족도는 -0.99점이었고, 품질만족도는 음식의 영양, 음식의 간, 음식의 위생의 순으로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특성의 품질만족도는 -0.68점이며 품질만족도는 불평에 대한 처리, 식기의 청결함의 순으로 낮은 만족도를 보였다. 영양특성의 품질만족도는 -1.37점으로 영양특성에 대한 품질만족도가 가장 낮았는데 영양정보의 제공은 -1.15점, 선택식단은 -1.11점으로 나타났다. 격자도 분석에서, 기대도는 높으나 인식도가 낮은 영역 (A영역)에는 불평에 대한 처리, 음식의 영양이 속하였고, 기대도와 인식도가 모두 높은 영역(B영역)에는 배식원 복장의 청결함, 식기의 청결함, 배식원의 친절함, 식사시간의 정확함, 음식의 신선함, 음식의 위생이 속하였다. 기대도와 인식도가 모두 낮은 영역 (C영역)에는 음식의 맛, 간, 온도, 반찬의 다양함, 선택식단, 영양정보의 제공이 속하였고 기대도는 낮으나 인식도는 높은 영역(D영역)에는 음식의 1인분 양, 외양이 속하였다. 성별, 연령, 교육정도에 따른 차이에서, 기대도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여자가 남자보다 음식과 서비스특성에 대한 인식도가 유의적(p<0.01)으로 높았고, 50대 이상이 다른 연령층 보다 품질 만족도가 높았으나 영양특성에서만 유의적인(p<0.05) 차이를 보였다. 식욕 및 환자의 아픈 정도에 따른 차이에서, 기대도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품질만족도에서 식욕이 나쁜 환자가 음식, 서비스, 영양특성 모두에서 유의적(p<0.01)으로 낮은 점수를 나타냈고 고통이 심한 환자에서는 품질 만족도 에서 음식특성 (p<0.05)과 서비스특성(p<0.01)에서만 유의적으로 낮은 점수가 나타났다. 병실등급에 따른 차이에서, 1인실과 다인실 환자가 품질만족에서 유의적(p<0.05)으로 낮은 점수를 보였다. 음식특성과 영양특성에서는 병실등급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서비스특성에서는 1인실과 다인실이 2인실, 4인실보다 유의적 (p<0.05)으로 낮은 점수를 나타냈고 31일 이상 입원한 환자들의 음식특성에 대한 인식도 및 품질만족도에서 유의적(P<0.05)으로 낮은 점수를 보였다. 직영급식이 위탁급식보다 음식특성, 서비스특성, 영양특성의 품질만족도에서 모두 유의적(P<0.01)으로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병원급식에서 가장 시급하게 개선되그를 요구하는 사항은 반찬의 맛, 밥의 맛, 식단이 다양성, 음식의 위생상태로 나타났다. 이상을 살펴 볼 때, 중소병원의 경우, 음식특성에 대한 평가가 가장 낮으므로 음식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현재 제공되고 있는 음식의 조리방법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다. 또한 작은 병원의 특징을 살려 영양사는 환자에게 영양정보으 제공 및 식사에 대한 불평 처리 등에 대한 세심한 배려를 할 수 있는 체계적인 방법에 대한 구상이 필요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