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Mediating Effect of Outcome Expect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the Career Planning of Career Interrupted Women

경력단절 여성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경력계획의 관계에서 결과기대의 매개효과

  • Received : 2017.01.11
  • Accepted : 2017.04.28
  • Published : 2017.04.30

Abstract

The present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outcome expect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the career planning of career interrupted women.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270 career interrupted women.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had been done according to the procedure suggested by Baron and Kenny(1986). The results of data analysis were summarized as follow: First,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e outcome expectation, and the career planning scores from the career interrupted women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Second, the result of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outcome expectation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the career planning of career interrupted women. The current results imply that the level of outcome expectation is important for the career counseling for career interrupted women in practice and future research.

본 연구의 목적은 경력단절 여성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경력계획의 관계에서 결과기대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라 부산 경남지역에 소재한 여성인력개발센터에서 직업교육과 상담에 참여하고 있고, 취업의사가 있는 경력단절 여성 270명을 대상으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결과기대, 경력계획 척도를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리고 수집된 자료는 회귀분석방법으로 매개효과를 분석하였으며, 이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력단절 여성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결과기대, 경력계획은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경력단절 여성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경력계획의 관계에서 결과기대의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연구의 의의와 경력단절 여성의 경력개발을 위한 교육적 제언을 하였다. 본 연구는 이후 경력단절 여성의 경력개발을 위한 교육 및 상담에 의미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연구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