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국가직무능력표준 적용

검색결과 52건 처리시간 0.032초

국가직무능력표준(NCS) 적용이 직무 몰입도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Application of National Competency Standard on Job Involvement)

  • 임상호
    • 산업진흥연구
    • /
    • 제1권1호
    • /
    • pp.13-18
    • /
    • 2016
  • 본 연구는 국가직무능력표준(NCS) 적용이 직무 몰입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기업의 채용과정, 성과 평가 및 역량개발에 대한 국가직무능력표준(NCS) 적용도와 직무만족, 조직몰입, 직무성과 및 이직의도의 관계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국가직무능력표준(NCS) 적용도가 조직몰입(p<.001)과 직무성과(p<.01)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세부 요인별로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의 채용과정과 역량개발에 대한 적용도는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p<.001)을 미쳤으며,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의 역량개발 적용도는 직무성과에 유의한 영향(p<.05)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국가직무능력표준(NCS) 적용이 직무 몰입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기업 현장에서의 국가직무능력표준(NCS) 도입의 타당성과 효과성을 밝힌 데에 그 의의가 있다.

NCS 적용 전후의 학생 만족도에 대한 분석 (An Analysis on the Satisfaction of Students before and after Application of NCS)

  • 송형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4호
    • /
    • pp.151-156
    • /
    • 2017
  •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국가직무능력표준 교육이 대학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떠오르고 있다. 본 연구는 국가직무능력표준 적용 전후의 학생 만족도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배포한 300부 중 불성실한 응답 22부를 제외한 278부(92.67%)가 분석에 이용되었다. 실증분석에 활용된 통계 프로그램은 SPSS 22.0으로 빈도분석, 신뢰도분석과 차이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업적 만족도에 대한 평가 차이는 학업환경에서 국가직무능력표준 적용 이후가 더 우월한 것으로 평가했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하게 나타났다. 둘째, 일반적 상황에 대한 만족도의 차이는 대학 생활에 대한 후회가 국가직무능력표준 적용 이전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하게 나타났다. 셋째, 전반적으로 사회적 만족도는 국가직무능력표준 적용 이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근거로 본 연구는 국가직무능력표준 적용을 강화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향후에는 표본을 확대하여 연구할 필요가 있다.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적용한 국가직무능력표준(NCS) 연구 동향 분석 (Analysis on the Trends of Studies Related to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 in Korea throughout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 임윤진;손다미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48-68
    • /
    • 2016
  • 이 연구의 목적은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관련 연구 동향에 대하여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적용하여 연구 핵심어의 구명 및 핵심어간의 연결 속성, 그리고 핵심어간의 확장에 대해 살펴보고 향후 NCS관련 연구의 발전 방안에 대하여 모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이 연구의 대상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에서 제공하는 학위논문 및 학술지 논문지 가운데 국가직무능력표준 또는 NCS를 키워드로 하는 논문이며, 총 345편의 논문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동향의 분석 방법으로는 언어네트워크 분석방법을 적용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논문의 제목에 나타난 용어에서 핵심어를 도출하였다. 빈도분석을 위하여 KrKwic을 사용하였으며, 연결망 분석을 위하여 UCINET6.0, 연결망의 시각화를 위하여 NetDraw를 활용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관련 연구는 2002년부터 시작되어 점진적으로 증가되어 오다가 2014년 이후 큰 폭의 성장세를 이루고 있다. 둘째,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결과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개발, 교육과정, 분석, 활용, 직무, 대학, 교육' 등이 중점 키워드로 나타났다. 셋째,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관련 연구의 하위 군집분석 결과 4개의 군집으로 분류되었으며 이는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의 취지와 목적을 실현하기 구체적인 전략 등에 관한 연구',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활용하여 직업기초능력 향상과 대학생의 취업 관련 가능성에 탐색적 연구', '전문대학 중심의 전문교과의 교육과정 및 개편을 위한 실무적 연구', '고등학교 수준의 직업교육과정에 요구 및 인식에 관한 분석'으로 볼 수 있었다. 넷째,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 관한 국내 연구물의 키워드간의 연결 형성과정은 '직무${\rightarrow}$직무능력${\rightarrow}$국가직무능력표준(NCS)${\rightarrow}$교육${\rightarrow}$과정, 교육과정${\rightarrow}$개발, 대학${\rightarrow}$분석, 활용${\rightarrow}$자격, 적용, 개선${\rightarrow}$방안, 운영, 산업${\rightarrow}$설계${\rightarrow}$평가'의 형태로 확장되고 있었다.

카지노운영관리 직무에 관한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개발 (The Development of National Competency Standard(NCS) Regarding Casino Operations Management)

  • 김동연;오승균;구자길;김진수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143-163
    • /
    • 2014
  • 이 연구는 '13년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 매뉴얼과 국가직무능력표준 개정 분류체 계표에 근거하여 카지노운영관리 직무에 대한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개발한 것이다. 연구 방법은 단계별 연구 범위와 직무분석기법인 데이컴(DACUM) 절차에 의하여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전문가인 산업현장전문가, 교육훈련전문가, 자격(직무분 석)전문가, 퍼실리테이터 및 실무 검증위원인 워킹그룹과 함께 총 10차례 검토 협의 수정 보완 보고 절차 단계를 거쳐 카지노운영관리 직무의 국가직무능력표준을 개발 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개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가직무능력표준 개정 분류체계 표에 근거하여 카지노운영 직무 선정과 직무를 정의하였고 직무를 토대로 총 8개의 능력단위를 도출 개발하였다. 둘째, 개발한 능력단위를 근거로 총 27개의 능력단위별 능력단위요소를 도출 개발하였다. 셋째, 국가직무능력표준 수준 및 개정 분류체계표에 근거하여 능력단위요소별 수준 체계를 개발하였고 이들 능력단위요소별 수준 평정값을 이용하여 상위 영역인 능력단위별 수준 체계를 합의 도출하였다. 이에 카지노운영관리 직무에 관한 능력단위 및 능력단위요소에 따른 국가직무능력표준 (NCS)의 개발 지침에 근거하여 카지노운영관리 직무에 관한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의 분류번호를 제시하였다. 넷째, 능력단위 범위를 기준으로 총 27개의 해당 능력단위요소별 수행준거와 지식 기술 태도를 도출 개발하였다. 다섯째, 카지노운영관리 직무에 기초한 총 8개의 해당 능력단위에 근거하여 적용 범위 및 작업 상황, 평가 지 침, 직업기초능력 등을 협의 도출 개발하였다.

의무기록사의 융복합적 직무능력표준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nvergenc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NCS) Development for Medical Record Specialist)

  • 최은미;이현주;김옥남;최연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7호
    • /
    • pp.229-238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직무의 표준화 방안으로 국가직무능력표준을 개발하여 이를 교육과정 전반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연구기간은 2014년 6월 21일부터 2014년 11월 30일 까지였다. 본 연구를 위해 연구진 외 산업현장전문가, 교육훈련전문가, 직무분석전문가로 구성된 전문가 풀을 구성하였다. 의무기록 분야에서 수행되어야 하는 직무명을 의료정보관리로 정의하고 산업현장의 요구와 특성이 향후 교육훈련에 조화롭게 적용될 수 있도록 직무에 필요한 능력단위 총 12개, 능력단위요소 총 43개, 경력수준 별 필요한 능력단위 등을 도출하여 의료정보관리 국가직무능력표준안을 개발하였다. 끝으로 개발된 표준안은 산업현장 검증을 거친 다음 국가직무능력표준으로 완성하였다.

창조경제 IT인재 선발을 위한 국가직무능력표준 연구 (Study on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for Selection of Creative Economy IT Talented Person)

  • 조준범;박대우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5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50-252
    • /
    • 2015
  • 창조경제를 내세운 박근혜 정부는 인력채용에 있어서도 학벌, 스펙 위주의 인재선발을 지양한다. 따라서 공공기관이나 기업이 창조경제를 뒷받침할 만한 인재선발을 추진하고 있다. 이를 위해 도입한 방식이 국가직무능력표준 이다. 특히 IT분야는 전 공공기관에서 인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은 국가직무능력표준의 IT인재 부문을 연구하고, 국가직무능력표준을 적용한 IT인재 선발에 대해 분석한다. 본 논문은 국가 공공기관 뿐만 아니라 창조 경제를 발휘하는 기업에서 필요한 IT인재상에 대한 중요한 연구 자료가 될 것이다.

  • PDF

IPA기법을 적용한 사회복지사례관리 직무수행 및 수퍼비전에 관한 연구 - 국가직무능력표준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ase Management Practice Using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IPA))

  • 박은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278-292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사들의 사례관리직무를 IPA기법을 활용하여 분석함으로써 사례관리직무 수행 능력과 전문성 향상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서 울산지역 사례관리업무를 담당하는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서 제시하는 사례관리직무(능력단위 9개, 능력단위요소 33개)에 대한 중요도-직무역량, 수퍼비전필요도-경험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IPA분석을 실시하였다. 중요도-직무역량에 대한 분석결과, IPA격자도 영역별로 강화유지 12개, 중점개선 1개, 개선 9개, 과잉 11개 능력단위요소가 도출되었다. 수퍼비전필요도-경험에 대한 IPA분석결과는 강화유지 15개, 중점개선 5개, 개선 4개, 과잉 9개의 능력단위요소가 포함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외부운영체계구축', '자원연계체계 개발'에 대한 직무역량을 중점적으로 강화하고, '외부운영체계구축', '내부운영체계구축'에 집중적인 수퍼비전이 필요함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사례관리직무능력을 강화하기 위한 논의와 제언을 하였다.

문헌정보학 전공에서의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활용한 교육과정 적용 및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Curriculum Application and Improvement based on National Competence Standards(NCS) at Department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권선영;백지원;차성종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141-169
    • /
    • 2015
  • 본 연구는 지역 산업체에서 요구하는 역량중심 인재양성과 학생들의 학습의 질 향상 등 글로벌화에 따른 대 내외 환경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고등전문직업인 양성을 위한 NCS 기반 교육과정 개발과 개선을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교육과정을 운영한 후 사전/사후, 진단평가를 통해 교육성과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 NCS를 적용한 교과목은 교육성과가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교육성과와 운영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문헌정보학 전공 교과목의 NCS 적용에 있어 향후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도서관 및 관련 업체의 이해관계자나 근로자, 교육기관 및 훈련 기관 관계자 및 학생, 또 자격심사 관련자들이 국가직무능력표준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또 수정 보완할 사안에 대한 다양한 피드백을 받아 차후 더욱 개선된 국가직무능력표준을 적용하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경호분야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National Competency Steandards(NCS) in the Guard)

  • 김동호;김신혜;김민수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35-53
    • /
    • 2016
  • 산업현장에서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지식 기술 소양 등의 교육훈련 내용을 체계화하여 직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직무능력표준 개발은, 재교육을 통해 재차 투자되는 시간과 비용의 해결과 산업현장에서 요구하는 양질의 인력을 양성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연구는 국가직무능력표준(NCS) 분류체계를 기준으로 세분류 중 업무와 직무를 1:1로 분류한 경호분야에 대하여 직무수행자를 중심으로 한 교육훈련과정 개발을 위해, 실제업무와의 '상관성'과 경과의 '적용성' 및 비용과 시간에 대한 '효율성'이 고려되는 작업자 중심 직무분석인 DACUM 기법과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개발 매뉴얼을 활용하여 경호분야 교육의 현장적합성을 제고하고, 산업체가 요구하는 실질적인 교육훈련과정 개발을 제안한다.

파인세라믹분야의 국가직무능력표준 및 학습모듈

  • 오경식
    • 세라미스트
    • /
    • 제19권4호
    • /
    • pp.43-53
    • /
    • 2016
  • 본 글에서는 업무 종사자에게 실무에서 필요한 지식을 효과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목적으로 지식을 실무의 관점에서 작은 모듈로 분해한 뒤 표준화하여 수요자에게 제공하는 체계인 국가직무능력표준(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을 소개하였다. 파인세라믹 분야에 대해 개발된 NCS의 구성을 간략히 소개하였으며 활용될 수 있는 분야를 알아보았다. 또한 NCS에 대해 정합성을 갖춘 지식 제공 체계인 학습모듈의 구성을 소개하였다. 이와 같은 NCS 및 학습모듈의 활용을 통하여 지식의 수요와 공급에 대해서도 모듈화의 개념을 적용하고 필요한 지식이 효율적으로 유통되는 체계를 추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