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n the Trends of Studies Related to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 in Korea throughout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적용한 국가직무능력표준(NCS) 연구 동향 분석

  • Received : 2016.08.15
  • Accepted : 2016.09.23
  • Published : 2016.09.30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NCS-related research trends, Keywords, the Keywords Networks and the extension of the Keywords using the sementic network analysis and to seek for the development plans about NCS. For this, the study searched 345 the papers, with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or NCS as a key word, among master's theses, dissertations and scholarly journals that RISS provides, and selected a total of 345 papers. Annual frequency analysis of the selected papers was carried out,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was carried out for 68 key words which can be seen as key terms of the terms shown by the subject. The method of analysis were KrKwic software, UCINET6.0 and NetDraw. The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NCS-related research increased gradually after starting in 2002, and has been accomplishing a significant growth since 2014. Second, as a result of analysis of keyword network, 'NCS, development, curriculum, analysis, application, job, university, education,' etc. appeared as priority key words. Third, as a result of sub-cluster analysis of NCS-related research, it was classified into four clusters, which could be seen as a research related to a specific strategy for realization of NCS's purpose, an exploratory research on improvement in core competency and exploration of college students' possibility related to employment using NCS, an operational research for junior college-centered curriculum and reorganization of the specialized subject, and an analysis of demand and perception of a high school-level vocational education curriculum. Fourth, the connection forming process among key words of domestic study results about NCS was expanding in the form of 'job${\rightarrow}$job ability${\rightarrow}$NCS${\rightarrow}$education${\rightarrow}$process, curriculum${\rightarrow}$development, university${\rightarrow}$analysis, utilization${\rightarrow}$qualification, application, improvement${\rightarrow}$plan, operation, industry${\rightarrow}$design${\rightarrow}$evaluation.'

이 연구의 목적은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관련 연구 동향에 대하여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적용하여 연구 핵심어의 구명 및 핵심어간의 연결 속성, 그리고 핵심어간의 확장에 대해 살펴보고 향후 NCS관련 연구의 발전 방안에 대하여 모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이 연구의 대상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에서 제공하는 학위논문 및 학술지 논문지 가운데 국가직무능력표준 또는 NCS를 키워드로 하는 논문이며, 총 345편의 논문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동향의 분석 방법으로는 언어네트워크 분석방법을 적용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논문의 제목에 나타난 용어에서 핵심어를 도출하였다. 빈도분석을 위하여 KrKwic을 사용하였으며, 연결망 분석을 위하여 UCINET6.0, 연결망의 시각화를 위하여 NetDraw를 활용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관련 연구는 2002년부터 시작되어 점진적으로 증가되어 오다가 2014년 이후 큰 폭의 성장세를 이루고 있다. 둘째,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결과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개발, 교육과정, 분석, 활용, 직무, 대학, 교육' 등이 중점 키워드로 나타났다. 셋째,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관련 연구의 하위 군집분석 결과 4개의 군집으로 분류되었으며 이는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의 취지와 목적을 실현하기 구체적인 전략 등에 관한 연구',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활용하여 직업기초능력 향상과 대학생의 취업 관련 가능성에 탐색적 연구', '전문대학 중심의 전문교과의 교육과정 및 개편을 위한 실무적 연구', '고등학교 수준의 직업교육과정에 요구 및 인식에 관한 분석'으로 볼 수 있었다. 넷째,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 관한 국내 연구물의 키워드간의 연결 형성과정은 '직무${\rightarrow}$직무능력${\rightarrow}$국가직무능력표준(NCS)${\rightarrow}$교육${\rightarrow}$과정, 교육과정${\rightarrow}$개발, 대학${\rightarrow}$분석, 활용${\rightarrow}$자격, 적용, 개선${\rightarrow}$방안, 운영, 산업${\rightarrow}$설계${\rightarrow}$평가'의 형태로 확장되고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정배(2015). 언어 네트워크 분석 (Semantic Network Analysis) 을 활용한 특수교육 분야 연구동향 분석.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16(1), 281-306.
  2. 관계부처합동(2015). 대통령 업무보고.
  3. 권현범, 천세영(2013). 스마트교육 연구 동향 분석: 언어네트워크 분석방법의 적용. 교육연구논총, 34(2), 103-125.
  4. 김기용 외(2014). 국가직무능력표준(NCS) 활용 사례조사. 한국산업인력공단.
  5. 김동연, 김진수(2013). 한국의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개발 동향 분석.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3(3), 22-46.
  6. 김상아, 강정배, 변찬석(2015). 언어 네트워크 분석 (Semantic Network Analysis) 을 이용한 국내 학습장애 연구 동향 분석.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54(2), 449-471.
  7. 김세중(2016). 공업계열 특성화고등학교 교사들의 NCS 기반 직업교육과정에 대한 인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8. 김용학(2011). 사회 연결망 분석. 제3판, 박영사.
  9. 김진실(2015).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기반 채용의 주요 이수와 과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이슈분석.
  10. 김창걸, 강정배(2015). 언어 네트워크 분석 (Semantic Network Analysis) 을 활용한 장애인보조기구연구동향 분석: 2002년-2014년. 재활복지공학회지, 10(1), 93-100.
  11. 김학준, 박원일, 김창식(2016). 언어네트워크를 활용한 MICE 연구 트렌드 분석. 관광레저연구, 28(3), 199-217.
  12. 김학준(2015).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관광 분야 연구 동향 분석. 관광.레저연구, 27(6), 191-210.
  13. 김혜연(2016). 교사의 작문 피드백 관련 국외 연구 동향 및 주요 쟁점-네트워크 분석과 문헌 고찰의 적용. 국어교육연구, 37(단일호), 95-136.
  14. 박치성, 정지원(2013).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 사회적 인식 네트워크 (socio-cognitive network) 분석을 통한 정책이해관계자 간 공유된 의미 파악 사례. 정부학연구, 19(2), 73-108.
  15. 박한우, Leydesdorff, L.(2004). 한국어의 내용분석을 위한 KrKwic 프로그램의 이해와 적용.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6(5), 1377-1387.
  16. 배인명(2010). 인문사회 학술연구 지식지도 작성. 한국연구재단.
  17. 백종면, 박양근(2012). 대학교육에 대한 국가직무능력표준(NCS)활용 촉진 방안 연구. 대한경영학회 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집, 45-62.
  18. 서준일(2015).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스마트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간행.
  19. 손동원(2008). 사회 네트워크 분석. 서울 : 경문사.
  20. 양광모, 박영삼, 김형배(2015). NCS기반 재설계 자격수준과 NCS수준의 적합성 개발 연구. 한국산업인력공단.
  21. 양승돈(2013). 언어 네트워크 분석 (Semantic Network Analysis) 을 활용한 민간경비 분야의 연구 경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3(11), 894-901.
  22. 윤수근(2015). 직업기초능력과 직무수행능력을 통합한 전문대학 NCS 기반 교육과정 구성 탐구. 경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간행.
  23. 이대성, 류상일(2014). 대(對)테러리즘 분야 연구경향분석: 치안본부 대테러연구를 중심으로. 융합보안논문지, 14(3), 83-91.
  24. 이상균(2016).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한 과학의 본성에 관한 국내연구 동향.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9(1), 65-87. https://doi.org/10.15523/JKSESE.2016.9.1.65
  25. 이성준(2016).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살펴본 한국 언론학 분야 연구의 연구동향 분석. 한국콘텐츠학회지, 16(7), 179-189.
  26. 이수상(2012). 네트워크 분석 방법론. 서울 : 논형.
  27. 이수상(2014). 언어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활용한 학술논문의 내용분석. 정보관리학회지, 31(4), 49-68. https://doi.org/10.3743/KOSIM.2014.31.4.049
  28. 이유나, 김춘화, 이상수(2016). '교육공동체'에 대한 최근 연구 동향에 대한 비판적 고찰-언어 네트워크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교육종합연구, 14(2), 153-185.
  29. 임윤진(2016). 공업계 고등학생들의 발명 인식에 대한 언어 네트워크 분석.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6(2), 211-232.
  30. 장명희 외(2009). 2008년도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 및 자격체제 구축: 조경 분야 교육과정 개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31. 장세은, 이수호(2014).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세계 크루즈산업 연구동향. 한국항해항만학회지, 38, 607-614.
  32. 장세은 외(2015). 코퍼스와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접목한 해양플랜트 산업 연구 주제와 동향 연구: 영어 학술논문 저자키워드 사회연결망분석. 언어과학, 22(3), 171-198.
  33. 정향진(2013). 능력중심의 사회 구현, NCS의 의미와 중요성, 한국교육개발원, 교육정책포럼, 제240호, 4-8.
  34. 정혜영, 정혜영, 손유진(2015).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유아교사 연구동향 분석. 생태유아교육연구, 14(2), 283-308.
  35. 최동선 외(2015). 국가직무능력표준(NCS)기반 교육훈련과정 질 관리 체계 구축 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36. 최영렬 외(2014).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 의한 자격제도 개편 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37. 최영출, 박수정(2011). 한국행정학의 연구경향 분석: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방법의 적용. 한국행정학, 45(1), 123-139.
  38. 탁현수, 김홍정(2015). 언어네트워크분석을 통한 국내 과학관 연구 동향 분석. 한국과학예술포럼, 22(단일호), 369-378.
  39. 하선권, 김성준(2016). 한국의 규제연구 동향 분석. 사회과학논집, 47(1). 81-104.
  40. 한국노동연구원(2014). 국가직무능력표준 활용 활성화 방안.
  41. 한국산업인력관리공단(2010). 국가직업(직무)능력표준 개발 매뉴얼.
  42. Borgatti, S.P., Everett, M.G. and Freeman, L.C.(2002). Ucinet for Windows: Software for Social Network Analysis. Harvard, MA: Analytic Technologies.
  43. Borgatti, S.P.,(2002). NetDraw Software for Network Visualization. Analytic Technologies: Lexington, KY
  44. CEDEFOP(1996). Glossorium: Vocational training. Luxembourg: Office for Official Publications of European Communities.
  45. Danowski, J. A.(1993). Network analysis of message content. Progress in communication sciences, 12, 198-221.
  46. Doerfel, M. L., & Connaughton, S. L.(2009). Semantic networks and competition: Election year winners and losers in US televised presidential debates, 1960-2004.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60(1), 201-218. https://doi.org/10.1002/asi.20950
  47. Krippendorff, K.(2012). Content analysis: An introduction to its methodology. S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