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구름 분석

검색결과 313건 처리시간 0.031초

구와 평면간의 구름접촉거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olling Contact Behaviors of a Flat Rough Surface with a Smooth Ball)

  • 김경모;정인성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4권3호
    • /
    • pp.554-570
    • /
    • 1990
  • 본 연구에서는 동적인 상태에서 구름접촉 거동을 좀더 명확히 하기 위해서 마 찰의 발생기구가 탄성이력손실에 기인한다는 이론을 기초로 압축 코일스프링을 이용한 감쇠자유진동시스템으로 구성된 실험장치에 의해서 구의 직경, 수직하중, 평면만의 표 면거칠기를 변화시켜 구름접촉면의 감쇠특성을 검토하고 이로부터 구름마찰력과 대수 감쇠율을 구한 다음 대수감쇠율과 진폭의 관계를 이용해서 실험에 의한 새로운 접촉폭 산출방법을 제시하고 Hertz이론에 의한 접촉폭과 마찰이론의 역학적 해석에 의한 접촉 폭과 비교, 분석해 보았다.

정지궤도 기상위성자료의 구름위치오류 개선을 위한 시차보정 (The Parallax Correction to Improve Cloud Location Error of Geostationary Meteorological Satellite Data)

  • 이원석;김영섭;김도형;정주용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99-105
    • /
    • 2011
  • 정지궤도 기상위성자료의 시차오류(Parallax error)는 기상위성 산출물 중에서 구름과 관련된 산출물의 위치 오류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강수의 유무와 강도를 옳게 분석하더라도 강수위치 선정에 오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시차오류를 보정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보정방법을 검증 및 적용하는데 목적이 있다. 시차오류에 의한 구름위치 보정은 첫째, 원래의 위성친정각파 구름고도를 입력 자료로 보정된 위성천정각을 산출한다. 둘째, 보정된 위성천정각과 위성방위각을 이용하여 위성시차오류를 보정하여 구름의 원래 위치에 가깝게 옮겨준다. 시차오류는 위성천정각이 증가하고 구름고도가 증가 할수록 더 크게 나타나며, 동아시아지역($20{\sim}50^{\circ}N$)에서는 최대 약 25km의 구름위치오류가 발생 할 수 있다. Terra MODIS(Moderate-Resolution Imaging Spectrometer)의 센서천정각 $20^{\circ}$이내의 관측 자료와 검증한 결과 시차 보정된 구름위치가 원래 위치에 가깝게 개선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정지위성 시차오류 보정방법은 향후 아시아지역의 여러 정지궤도 기상위성의 영상 활용성 증대에도 기여할 것이다.

마이크로웨이브 라디오미터에서 관측된 가강수량 및 구름물량 특성 분석 (Characteristics of Precipitable Water Vapor and Liquid Water Path by Microwave Radiometer)

  • 양하영;장기호;차주완;최영진;류찬수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33-241
    • /
    • 2012
  • 가강수량과 구름물량의 시공간적 분포와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청주, 합천, 대관령에서 마이크로웨이브 라디오미터의 관측을 수행하였다. 각 지역에서 관측된 가강수량을 검증하기 위해 고층자료에서 산출된 가강수량과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 상관계수가 0.8 이상으로 좋은 상관도를 보인다. 청주, 합천, 대관령 지역의 가강수량의 계절적인 변동과 일변화는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일반적으로 1000 LST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1900 LST에 극대 값을 보인다. 반면에 구름물량은 지역적으로 계절적인 차이를 보인다. 이는 평지에 위치한 청주, 소백산맥으로 인한 편서풍 구름 차폐가 발생하기 쉬운 합천, 안개 및 구름이 잦은 대관령(834 m 해발고도) 등 각기 다른 지형 및 지리적 영향에 기인한 것으로 사료된다.

한국산(韓國産) 고등(高等) 균류(菌類)의 성분(成分) 연구(硏究) (제 57보(第 57報)) 구름버섯 항암성분의 비교 (Studies on Constituents of Higher Fungi of Korea(L VII) Comparison of Various Antitumor Constituents of Coriolus versicolor)

  • 조희정;심미자;최응칠;김병국
    • 한국균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62-174
    • /
    • 1988
  • 구름버섯 배양균사체와 야생 구름버섯 자실체로부터 얻은 protein-bound polysaccharide의 당과 단백질 함량을 비교하였을 때 배양균사체인 경우보다 야생 자실체의 경우가 당 함량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단백질 함량은 더 적게 나타났다. 구름버섯에서 부터 얻은 시료를 methanolysis시킨 후 HPLC로 분석하였을 때 배양균사체인 경우 4종류의 단당이 경출되었고 그중 mannose가 가장 함량이 많은 반면 야생 자실체인 경우 3종류의 단당이 경출되었으며 그중 glucose가 가장 많이 존재하였다. 구름버섯에서부터 얻은 시료에 lactose가 혼합되었을 경우 HPLC로 구별할 수 있었다. 구름버섯에서 얻은 시료의 구성 아미노산을 분석하였을 때 시료 모두에서동일한 17종의 아미노산이 검출되었다.

  • PDF

MODIS 관측자료를 이용한 러시아 산불 영향 하에 발달한 구름의 미세 물리적 특성 연구 (MODIS-estimated Microphysical Properties of Clouds Developed in the Presence of Biomass Burning Aerosols)

  • 김신영;손병주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289-298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에어로솔의 간접 효과를 고려한 구름의 광학두께와 유효입자반경을 산출하기 위해 새로운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구름의 미세물리적 특성을 산출하기 위해 Nakajima and Nakajima(1995)의 방법을 응용하였다. 다양한 대기상태에서 복사전달모델을 이용하여 미리 계산한 서로 다른 LUT을 적용하여 최종 산출물인 구름광학두께와 유효입자반경을 산출하였다. 러시아지역에 산불이 있었던 2003년 5월 한반도 주변을 사례로 선택하였다. 이 때 발생한 에어로솔은 대기 흐름을 따라 한반도까지 도달하여 한반도 주변의 날씨에 매우 많은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 시기에 러시아 지역의 산불로 인하여 발생한 에어로솔이 한반도 주변의 구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았다. 이 사례의 알고리즘 적용을 위해 Terra위성에 탑재된 분광계인 MODIS자료를 사용하였다. 사례분석 결과, 에어로솔이 있는 시기에는 유효입자반경이 $20{\mu}m$ 이상의 큰 구름은 거의 존재하지 않았음에 비해, 에어로솔이 거의 없는 시기에는 $20{\mu}m$ 이상의 큰 구름도 다수 존재하였다. 즉, 에어로솔의 영향하에 발달한 구름은 구름광학두께는 크고, 유효입자반경은 작은 구름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에어로솔이 구름의 미세물리적 특성을 변화시킨다는 것을 보여준다.

효과적인 채프 구름의 RCS 예측 방법 비교 분석 연구 (Comparative Analysis of Effective RCS Prediction Methods for Chaff Clouds)

  • 김민;이명준;이성현;박성호;공영주;우선걸;김홍락;김경태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9권3호
    • /
    • pp.233-240
    • /
    • 2018
  • 레이다를 사용한 미사일 표적의 정확한 탐지 및 추적을 위해서는 채프 구름의 레이다 반사 단면적(Radar Cross Section: RCS)에 대한 분석이 반드시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환경에서 보다 효과적인 채프 구름의 RCS 분석을 위해 채프 구름 내 채프들을 개별적으로 계산하여 합하는 RCS 예측 방법과 공기역학 모델 기반의 확률밀도분포 모델을 사용한 RCS 예측 방법을 비교 및 분석하였다. 여기서, 상기 두 기법을 보다 더 정밀하게 비교 및 분석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상용 전자기 수치해석 소프트웨어인 FEKO 7.0을 활용하여 반 파장 다이폴 형태의 단일 채프 CAD 모델의 RCS 값을 획득하여 채프 구름의 RCS를 모사하였다. 분석 결과, 확률 밀도 분포 모델을 사용한 경우 보다 효율적으로 체프 구름의 RCS 값을 예측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먼지 산란의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 (MONTE-CARLO SIMULATION OF THE DUST SCATTERING)

  • 선광일
    • 천문학논총
    • /
    • 제24권1호
    • /
    • pp.43-51
    • /
    • 2009
  • 이 연구에서는 임의의 밀도 분포를 갖는 성간 먼지 구름에 의해 산란되는 산란광을 분석할 수 있는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 코드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코드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구 대칭의 성간먼지 구름의 중심에 별이 있고, 별빛이 얼마만큼 산란되어 나오는 지 계산하여 Code (1973)의 결과와 비교하였으며, Code의 근사식과 매우 잘 일치하는 결과를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코드는 우리 은하뿐만 아니라 외부은하의 경우에도 손 쉽게 확장이 가능하다. 개발된 코드는 과학위성 1호로 관측된 원자외선 연속복사광의 분석에 적용하여 성간먼지 구름의 특성과 우리 은하의 복사장의 분포를 연구하는 데 사용하고자 한다.

2018년 8월 6일 발생한 영동지역 집중호우 사례에 대한 특성 연구 (Characteristics of a Heavy Rainfall Event in Yeongdong Region on 6 August, 2018)

  • 안보영;심재관;김규랑;김승범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222-237
    • /
    • 2020
  • 2018년 8월 6일 영동지역에서 강한 대류 세포에 의해 천둥과 번개를 동반한 집중호우(강릉: 93 mm hr-1)가 발생했다. 집중호우 사례의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COMS 위성의 구름 산출물 자료, 상하층 종관 일기도, ECMWF 재분석 자료, 라디오존데 자료를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상층의 차고 건조한 공기가 동해상(영동지역)으로 유입되면서 상대적으로 중·하층에 따뜻하고 습한 공기와 만나 대기의 불안정을 만들고 대류운이 급격하게 발달하면서 단시간에 많은 강수가 내렸다. COMS 위성의 구름 운정 온도가 약 -65℃ 이상, 구름 광학 두께는 약 20-25 이상의 높은 값을 보일 때 강수량은 10 mm hr-1 이상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강수량은 구름 내의 수분 양 그리고 구름의 키와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라디오존데 자료의 연직 분석에서는 상하층 간의 연직 바람 쉬어가 크게 나타났다. 약 700 hPa 고도에서는 역전층이 나타나면서 상층과 하층간의 상당온위의 차이를 유발하여 대기불안정을 더욱 강화시켰으며 구름층은 고도 약 13 km 이상으로 발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ECMWF 재분석 자료의 연직 분석에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Landsat-8을 이용한 자동화된 구름 제거 영상 생성 (Fully Automated Generation of Cloud-free Imagery Using Landsat-8)

  • 김병희;김용현;한유경;최원석;김용일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33-142
    • /
    • 2014
  • Landsat은 대표적인 지구관측 위성 중 하나로 지표면 모니터링, 변화탐지, 분류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구름과 구름의 그림자는 지표의 관측과 분석을 제한하는 장애물 중 하나로, Landsat을 사용하기 전 구름을 제거하고 원래의 지표 피복으로 복원하는 과정은 필수적이다. 최근에 발사된 Landsat-8은 기존위성에 비해 2개의 추가적인 costal/aerosol, cirrus 밴드를 제공하며, 이는 구름을 탐지하고 복원하는데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Landsat-8의 영상에서 구름을 효과적으로 탐지하고, 복원하는 기법을 단계적으로 제안하였다. Otsu 임계화 기법을 통하여 구름과 구름의 그림자 지역을 탐지하였고, 탐지된 구름 및 그림자 지역은 실험 영상과 참조영상을 이용하여 원래의 지표 피복으로 복원 하였다. 복원영상의 정확도 평가에서는 전체정확도가 약 85%, 카파계수가 0.7128로 본 연구에서 제안한 알고리즘이 효율적임을 확인하였다.

정지궤도 기상위성 기반의 지표면 배경온도장 구축 및 지상관측과 지리정보를 활용한 정확도 분석 (Derivation of Geostationary Satellite Based Background Temperature and Its Validation with Ground Observation and Geographic Information)

  • 최대성;김재환;박형민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583-598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천리안위성 기반의 지표면 열적 특성 감시 및 기상현상 탐지에 이용할 수 있는 배경 온도장을 산출하고 지상관측자료 및 지리정보와 비교하여 정확도를 검증하였다. 배경온도장은 밝기온도를 선택하였으며 2012년 자료를 이용하여 월별로 매 시간대에 대해 산출되었다. 밝기온도 자료에서 청천화소와 구름화소를 구별하기 위해 천리안 구름탐지를 사용하였고, 천리안 구름탐지의 입력자료로 사용된 수치모델자료와 공간 균질성 검사 부분에서 구름 오탐지현상을 발견하였다. 과다하게 구름으로 오탐지된 화소는 통계적인 방법에 기반한 구름화소 복원을 통해 해결하였다. 산출된 밝기온도 배경장은 지상관측 기온과 0.95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0.66 K의 편향과 4.88 K의 평균 제곱근 오차를 보였다. 밝기온도 배경장과 고도는 시간대와 계절에 따라 변동성을 보이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녹지와의 상관관계는 기온이 높은 계절 및 주간에 높게 나타났으며, 상관관계의 시간에 따른 변화가 관측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지표면온도 산출 시 시간에 따른 방출률을 별도로 구성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