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구동성능예측

Search Result 130, Processing Time 0.116 seconds

Performance Improvement of Prediction-Based Parallel Gate-Level Timing Simulation Using Prediction Accuracy Enhancement Strategy (예측정확도 향상 전략을 통한 예측기반 병렬 게이트수준 타이밍 시뮬레이션의 성능 개선)

  • Yang, Seiyang
    • KIPS Transactions on Computer and Communication Systems
    • /
    • v.5 no.12
    • /
    • pp.439-446
    • /
    • 2016
  • In this paper, an efficient prediction accuracy enhancement strategy is proposed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the prediction-based parallel event-driven gate-level timing simulation. The proposed new strategy adopts the static double prediction and the dynamic prediction for input and output values of local simulations. The double prediction utilizes another static prediction data for the secondary prediction once the first prediction fails, and the dynamic prediction tries to use the on-going simulation result accumulated dynamically during the actual parallel simulation execution as prediction data. Therefore, the communication overhead and synchronization overhead, which are the main bottleneck of parallel simulation, are maximally reduced. Throughout the proposed two prediction enhancement techniques, we have observed about 5x simulation performance improvement over the commercial parallel multi-core simulation for six test designs.

Prediction-Based Parallel Gate-Level Timing Simulation Using Spatially Partial Simulation Strategy (공간적 부분시뮬레이션 전략이 적용된 예측기반 병렬 게이트수준 타이밍 시뮬레이션)

  • Han, Jaehoon;Yang, Seiyang
    • KIPS Transactions on Computer and Communication Systems
    • /
    • v.8 no.3
    • /
    • pp.57-64
    • /
    • 2019
  • In this paper, an efficient prediction-based parallel simulation method using spatially partial simulation strategy is proposed for improving both the performance of the event-driven gate-level timing simulation and the debugging efficiency. The proposed method quickly generates the prediction data on-the-fly, but still accurately for the input values and output values of parallel event-driven local simulations by applying the strategy to the simulation at the higher abstraction level. For those six designs which had used for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proposed strategy, our method had shown about 3.7x improvement over the most general sequential event-driven gate-level timing simulation, 9.7x improvement over the commercial multi-core based parallel event-driven gate-level timing simulation, and 2.7x improvement over the best of previous prediction-based parallel simulation results, on average.

A New Prediction-Based Parallel Event-Driven Logic Simulation (새로운 예측기반 병렬 이벤트구동 로직 시뮬레이션)

  • Yang, Seiyang
    • KIPS Transactions on Computer and Communication Systems
    • /
    • v.4 no.3
    • /
    • pp.85-90
    • /
    • 2015
  • In this paper, anew parallel event-driven logic simulation is proposed. As the proposed prediction-based parallel event-driven simulation method uses both prediction data and actual data for the input and output values of local simulations executed in parallel, the synchronization overhead and the communication overhead, the major bottleneck of the performance improvement, are greatly reduced. Through the experimentation with multiple designs, we have observed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approach.

A driving performance prediction of the vehicle mounted with automatic transmission at idle start (공회전 출발시 자동변속기탑재 차량의 구동성능예측)

  • 김태진;정순배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6.11a
    • /
    • pp.1063-1066
    • /
    • 1996
  • On the prediction of driving performance, an acceleration performance is normally simulated in stall starting condition which is the engine status of full-throttle and high-speed. The lack of transient engine torque data makes the difficulty of predicting an acceleration performance on engine-idle start condition. A experimental equation of transient engine torque is derived from vehicle performance test data. It is applied to simulation the accleration performance prediction on idle starting condition.

  • PDF

Checkpoint/Resimulation Overhead Minimization with Sporadic Synchronization in Prediction-Based Parallel Logic Simulation (간헐적 동기화를 통한 예측기반 병렬 로직 시뮬레이션에서의 체크포인트/재실행 오버헤드 최소화)

  • Kwak, Doohwan;Yang, Seiyang
    • KIPS Transactions on Computer and Communication Systems
    • /
    • v.4 no.5
    • /
    • pp.147-152
    • /
    • 2015
  • In general, there are two synchronization methods in parallel event-driven simulation, pessimistic approach and optimistic approach.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approach, sporadic synchronization combining both for prediction-based parallel event-driven logic simulation. We claim this hybrid solution is pretty effective to minimize both checkpoint overhead and restart overhead, which are related problems with frequent false predictions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the prediction-based parallel event-driven logic simulation. The experiment has clearly shown the advantage of the proposed approach.

능동형 진동 절연을 위한 압전 구동기의 보상기 설계

  • 문준희;박희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4.05a
    • /
    • pp.198-198
    • /
    • 2004
  • 압전 구동기는 여러 가지 적용에 있어서 높은 응답 속도와 큰 힘, 작은 크기 둥의 장점을 가지고 미세 구동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히스테리시스, 크? 등의 압전 소자 자체의 비선형성과 이의 구동을 위한 증폭기 등의 한계로 압전 소자의 동적인 특성은 비교적 열악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구동 속도가 빨라질 수록 히스테리시스 곡선의 모양이 달라게 되어 구동 궤적의 정확한 예측이 어려우며, 증폭기의 최대 발생 전류가 충분치 않을 경우 압전 구동기가 지령치를 따르지 못하게 된다.(중략)

  • PDF

Optimization of micro structure of solid oxide fuel cell electrode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변수 조사 및 전극미세구조 최적화)

  • Jo, Dong Hyun;Chun, Jeong Hwan;Park, Ki Tae;Hwang, Ji Won;Kim, Sung Hyun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11a
    • /
    • pp.71.2-71.2
    • /
    • 2010
  • 고체산화물연료전지는 청정에너지원으로써 기존의 발전방식을 대신할 차세대 에너지원으로 각광 받고 있다. 고체산화물 연료전지는 고온에서 작동하는 특성상 실험을 통하여 전극미세구조 및 구동조건을 최적화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본 연구는 전기화학식을 이용한 전산모사를 통해서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의 구동조건에 따른 성능 평가 및 전극의 미세구조 최적화 과정을 수행하였다. 전극 내 전달현상을 무시하고 오직 전기화학반응만을 고려한 전산모사는 단전지의 전극미세구조 및 구동조건에 따른 전지성능을 빠르게 예측할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조건에서 얻은 전지 성능 데이터를 통해 전극미세구조를 최적화하였다. 개회로전압, 활성화분극, 저항분극, 물질수송손실을 표현하기 위하여 Nernst 식, Butler-Voler 식, 옴의 법칙, dusty-gas 모델을 각각 사용하였으며, 전극미세구조 및 구동조건의 변화는 물질확산계수 및 교환전류밀도를 통하여 그 영향이 전지성능에 반영된다. 온도, 압력, 주입 연료의 조성에 대한 성능평가가 수행되었으며, 1023K, 1 bar의 조건하에서 최적의 단전지 성능을 위한 기공도와 기공크기를 조사하였다. 더 향상된 단전지 성능 확보를 위해서 실험에서 쓰이는 기능층(functional layer)과 유사하게 넓은 반응 면적과 원활한 반응물 및 생성물의 이동을 보장하도록 기공도 및 기공크기를 그레이딩한 전극구조(graded-electrode)를 디자인하고 성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기존의 전지구조 대신에 그레이딩된 전극을 사용할 경우 50%이상 향상된 전지성능을 예측할 수 있었다.

  • PDF

Study of The Performance Analysis of a Solar Power Utility with 1.3MW (1.3MW급 태양광 발전소 성능 분석에 관한 연구)

  • Park, Jaegyun;Yun, Jungnam;Lee, Somi;Yun, Kyungshick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6a
    • /
    • pp.71.1-71.1
    • /
    • 2010
  • 본 연구는 1.3 MW급 태양광 발전소에서 기온 및 일사량에 따른 발전성능이 유지 보수 및 사후관리에 따라 성능이 향상될 수 있음을 실측자료를 통해 입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실측자료는 2008년 5월 전북 부안에 설치된 태양광 발전소에서 측정된 기온 및 일사량에 따른 발전량을 이용하였으며, 측정기간은 2009년 1월~2009년 12월까지 1년간 모니터링을 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분석하였고, 발전소 성능 지표인 PR(Performance Ratio)을 계산하여 자료로 활용하였다. 또한, 실측자료는 PVSYST를 이용하여 실측자료와 동일한 조건에서 예측된 시뮬레이션 발전량 및 PR값과 비교 분석하였다. 실측자료와 해석결과의 비교에서 월단위로 측정된 실측 발전량과 예측 발전량은 유사한 경향을 나타냈으며, 실측 발전량은 예측 발전량 대비 약 5% 낮게 나타났다. 또한, 실측 PR값은 예측 PR값보다 약 4.97%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해석을 위해 적용되는 일사량(기상청)과 실측 일사량이 다르고, Team Function 방식으로 구동되는 인버터와 시뮬레이션에서의 인버터 구동방식의 차이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일조량의 증가에 따른 1.3MW급 태양광 발전소의 발전량은 비례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7월의 경우 기후특성으로 인하여 국부적으로 감소하는 특성을 나타낸다.

  • PDF

Prediction of GHP Performance Using Cycle Analysis (사이클 해석을 통한 GHP 성능 예측)

  • Cha, Woo Ho;Choi, Song;Chung, Baik Young;Kim, Byung Soon;Jeon, Si Moon
    • Transactions of the KSME C: Technology and Education
    • /
    • v.3 no.1
    • /
    • pp.15-21
    • /
    • 2015
  • In this paper a prediction method of GHP performance is proposed for increasing design accuracy. Two compressors with different capacity and 2311cc gas engine are used for prediction and the target capacity of GHP is 25HP. For predicting GHP performance at first the operation points are randomly selected and then as compared with compressor performance date and heat exchanger characteristic, more accurate operating points are decided through recursive calculation. Lastly engine performance date is used for calculating gas consumption volume. Predicting heating mode performance of GHP, evaporator is separated to the two section of absorbing heat in outdoor air and in engine. From the experimental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simulation model is good for the predicting GHP efficiency and the difference of predicted and measured efficiency is less than 5%.

Design of the Performance Analysis Tool for ARM-based Real Time Embedded Software (ARM 기반의 실시간 내장형 소프트웨어를 위한 성능분석 도구의 설계)

  • 황요섭;안성용;이정아;심재홍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10a
    • /
    • pp.265-267
    • /
    • 2003
  • 내장형 컴퓨터 시스템은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소프트웨어와 이를 구동시키기 위한 프로세서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시스템의 대부분은 실시간 제약들을 만족해야 한다. 실시간 제약들을 만족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빠른 시간안에 구현하기 위해서는 제작 전 성능을 예측하는 도구가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내장형 시스템 플랫폼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는 ARM 기반의 내장형 애플리케이션의 극단적인(최적, 최악) 경우의 수행 시간 경계를 예측하는 문제를 연구하였다. ARM 기반의 내장형 시스템의 수행시간의 경계를 예측하기 위하여 기존의 실시간 내장형 소프트웨어의 성능 예측 도구인“Cinderella”의 기본 프레임웍을 ARM 프로세서를 지원하도록 확장하여 성능분석도구를 설계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