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교육 선택

Search Result 2,359, Processing Time 0.03 seconds

초등학생의 자기 선택적 독서가 독서흥미에 미치는 영향 - A초등학교 도서선택 수업을 중심으로 - (The Effect of Self-Choice Reading on Reading Interest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cusing on Book Selection Class in A Elementary School)

  • 박경희;조아라;이명규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253-274
    • /
    • 2021
  • 2015교육과정에 '한 학기 한 권 읽기'가 도입되면서 동일한 도서를 학급단위로 읽는 활동이 늘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 사서(교사)는 학급단위로 이루어지는 교사의 도서추천과 도서선정 과정을 적절히 지원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학급에서 교사가 추천한 한 권의 책을 읽을 때 초등학생의 독서흥미에 어떤 차이를 가져오는지 파악하여, 이를 토대로 효과적인 학교도서관 서비스를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A초등학교 전체 학생을 대상으로 학급별 투표를 통해 교사추천도서 중 한 책을 정해 읽는 도서선택 수업을 진행하고, 독서를 전후로 학생들의 독서흥미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자신이 선택한 도서를 읽은 학생은 자신이 선택하지 않은 도서를 읽은 학생보다 높은 '독서 후 흥미'를 보였다. 그러나 자신이 선택하지 않은 도서를 읽었어도 '독서 전 흥미'가 높았던 학생은 '독서 후 흥미'가 높게 나타났다. 독서 전 흥미는 도서정보를 골고루 제공받고 학교도서관 이용 빈도가 높았던 학생일수록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사서(교사)는 자기 선택적 독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독서 전 흥미를 높일 수 있도록 도서 정보를 다양하게 제공하고, 학교도서관 이용 빈도를 높일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지적장애 학생을 위한 문제중심학습(PBL) 적용 가정과 식생활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과 평가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Home Economics teaching·learning process plans applied Problem Based Learning focusing on 'food and nutrition' unit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 김윤주;채정현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39-56
    • /
    • 2018
  • 최근 일반교육 교육과정을 통해 장애학생의 성인생활 자립 역량을 갖추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일반교과인 가정교과는 사명지향적인 학문으로써 장애학생들의 개인생활과 가정생활에 도움을 줄 수 있다. 가정교과에서 식생활 교육은 학생들의 자립성과 사회성을 향상시키면서 식생활 교육과 식생활 연구가 부족한 특수교육 상황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문제중심학습(problem based learning: PBL)을 적용한 가정과 식생활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여 지적장애 학생들에게 수업을 실행한 후 이 수업이 식품 선택과 보관 지식과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데 있다. 본 연구는 단일 집단 사전-사후 설계로 연구 대상은 지적장애 특수학교 중학과정에 다니는 학생 6명으로 편의 표집하였다. 이들 학생들에게 PBL을 적용한 가정과 식생활 수업을 6차시 실행한 후 이 수업의 효과를 알아보았다. 1~3차시 주제는 식품 선택과 보관방법이고, 4차시 주제는 샌드위치 재료를 구입하여 보관하는 것이며, 그리고 5~6차시 주제는 샌드위치를 만들어 선물하는 것이다. 지적장애 학생을 위한 PBL 적용 가정과 식생활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기 위해서 먼저 학생의 흥미를 유발하며 실생활에서 충분히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개발하였고 이 문제를 해결하는 수업 과정과 학습 자료를 제작한 후 가정교육학 교수 1인과 특수교육 전문가인 교사 3인으로부터 선정된 문제와 개발된 교수·학습 과정안의 타당도 검증을 받았다. 수업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측정도구는 식품 선택과 보관 지식 평가 도구, 문제해결력 관찰 평가와 학생용 자기평가 도구, 학생 수업만족도 평가지, 교사의 수업행동 평가지, 수업 관찰 일지로 구성되며 이 도구들은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 받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PBL을 적용한 가정과 식생활 수업을 받은 6명 학생 모두가 100점 만점인 식품 선택과 보관 지식 점수에서 사전보다 사후에서 평균 30점 높아졌고 14점 만점인 문제해결력 점수는 사전보다 사후에서 평균 5점 더 높아졌다. 따라서 이 수업은 지적장애 학생들의 식품 선택과 보관 지식과 문제해결력에 효과를 미친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지적장애 학생들은 PBL을 적용한 가정과 식생활 수업시간에 열심히 참여하였으며 이 수업에 만족감을 느꼈다. 특수교육 전문가인 교사 3인은 이 수업에 대해서 실습을 위한 수업 준비 시간이 오래 걸린 점이 다소 아쉬웠지만 교수·학습 과정안이 타당하게 철저히 준비되었고 학생 간 상호작용이 적절하였으며 문제중심학습 수업 흐름에 맞는 진행을 하였다고 평가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PBL을 적용한 가정과 식생활 수업은 지적장애 학생들이 식품 선택과 보관부터 안전하고 건강한 음식을 만드는 종합적인 식생활 기술을 습득하여 일상생활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식생활 관련 문제를 스스로 해결하는데 도움이 되었다고 사료된다. 따라서 전국의 특수학교의 장애학생들에게 PBL을 적용한 가정과 식생활 수업뿐만 아니라 의생활, 주생활, 소비생활, 아동·가족생활, 자원관리 전 영역을 다루는 가정교과가 특수학교에서 정식교과로 도입되기를 제언한다.

한국과 중국 지역 초등학교 정보교육 교재의 프로그래밍 교육 내용 (Programming Education Contents of Local Elementary School Textbooks in Korea and China)

  • 김현배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4권1호
    • /
    • pp.79-86
    • /
    • 2020
  • 본 연구는 우리나라 부산시와 중국 저장성의 초등학교 정보교육 교재의 프로그래밍 교육 내용을 조사한다. 프로그래밍 교육의 목표 설정과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 선택 그리고 프로그래밍 교육의 내용 선정과 전개 방식에 관하여 두 가지의 교재에서 초등학교 정보교육 교재에 필요한 내용을 확인한다. 두 지역의 교재는 초등학교 수준에 맞는 프로그래밍 언어를 선정하고 창의적인 학습 주제를 선정하여 학습자 스스로 문제를 해결해 가는 과정에서 프로그래밍을 학습하도록 한다. 본 연구의 결과로 초등학교 정보교육 교재의 프로그래밍 교육은 학습자 스스로 문제를 해결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프로그래밍을 학습하도록 구성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공학도를 위한 논리: '발표와 토론'을 위한 논리 교수.학습 모형 (Logic for Engineers: a teaching.learning model for logic in 'Presentation and Discussion')

  • 양은석
    • 논리연구
    • /
    • 제13권2호
    • /
    • pp.83-116
    • /
    • 2010
  • 이 글에서 우리는 토론 교육 특히 공학도를 위한 토론 교육에 필요한 논리 교수 학습 모형 을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토론 관련 교재의 논증 개념과 논증 모형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다음으로 토론에 필요한 기본 논증과 이에 대한 훈련 모형을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이공계 학생들 특히 공대 학생들을 위한 논증 방식 특히 토론에 사용될 논증 방식으로 가설 추론과 최선의 선택으로의 추론 모형을 제공한다.

  • PDF

평활 방법론이 적용될 수 있는 컴퓨터-소프트웨어 교육분야 제안 (On Teaching of Computer-Software Field Using Smoothing Methodology)

  • 이승우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13-122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오늘날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는 평활에 관한 수학적 배경, 통계적 방법론, 그리고 평활방법론이 적용될 수 있는 컴퓨터-소프트웨어 교육분야에 관하여 조사하고 논하고자 한다. 뿐만 아니라 수학과 통계를 기반으로 히스토그램, 커널밀도추정량, 적응커널추정량, 띠너비선택방법에 관한 개념과 방법론을 소개하고자한다.

  • PDF

전통적 분만자세에 대한 새로운 조명: 쪼그리고 ?는 자세 (Squatting in Childbirth; A New Look at an Old Transition)

  • Romand Jain Leemis;Baker Irene Taylor
    • 대한간호
    • /
    • 제26권1호통권139호
    • /
    • pp.43-48
    • /
    • 1987
  • 분만진행에 수직체위가 효과적이라는 것을 연구하는 연구자는 이러한 체위가 자궁수축력을 강화하고 분만시간을 단축하여 분만시 동통을 감소시킨다는 것을 파악했다. 분만과 출산 시 쪼그리고 앉는 방법이 역사적으로 오랜 기간 동안 적용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연구자들은 여러가지 분만방법의 장점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임상 경험에 의해 쪼그리고 앉는 자세가 보다 효과적임을 알면서도 여러가지 위험을 우려하여 적용을 기피하고 있다. 그러나 연구자들은 앞으로 이러한 체위의 가치를 확인하고 특별히 다른 체위와 비교하여 쪼그리고 앉는 행위가 경관열상의 빈도, 분만 1,2기의 시간, 분만 중이나 분만 후의 뇨정체의 유무, 제대탈출의 빈도등이 어떠한지를 파악하여야 할 것이다. 쪼그리고 앉는 체위에 대한 가장 좋은 잇점을 얻기 위해 조산자는 이러한 체위를 언제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한 지식을 가져야 한다. 또한 융통성있고 창조적인 접근방법을 시도하여 의학적수행과 분만시 사정을 용이하게 하고 산부와 의료요원이 보다 편안하도록 하여야 한다. 조산교육자나 조산자는 분만시 그들의 체위에 대한 교육을 포함하여 쪼그리고 앉은 방법의 효과적인 적용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임부에게 안전, 편안함, 분만의 효과적인 진행, 모든 선택 가능한 체위들을 교육하고 그러한 체위 중 쪼그리고 앉는 방법을 선택하도록 격려해야 한다.

  • PDF

교과교실형 중학교 학생 이동의식 및 경로선택 추이 분석 (An Analysis about Moving Awareness and Trend of Route Choice in Middle School Students on Variation Type)

  • 정주성
    • 교육시설 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13-20
    • /
    • 2015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moving awareness of students to physical conditions and attitudes on user's place to moving route. Moving awareness and route choice of students on variation type were grasped through questionnaire. As the results, the satisfaction degree, moving awareness and elapsed time for adaptation of students to physical facilities associated with moving class were antithetical to numbers of class and student. The more students, the more negative the moving itself. Especially, students showed a different tendency to route choice of high frequency moving and possession awareness of their belongings according to spatial nearness and composition of homebase. These basic data will be utilizable to suggest various model for composition and rearrangement of school space.

부모의 유아교육기관 유형별 선택요인 및 만족도 (The Selection Factors and the Satisfaction Degree of Parents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 김연희;박응임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4권8호
    • /
    • pp.89-99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parents' selection factors and satisfaction degree in selecting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 according to various type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s. The subjects were 650 parent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s from Andong city. The result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parents' consideration degrees in the selection factor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type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s. The parents' satisfaction degree o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s was also different according to the type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s. This result might be helpful in determining future directions for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ative growth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reflecting the demands and characteristics of parents.

간호대학생의 진로선택 경험 (Career choice experiences of nursing students)

  • 김현주;김지현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27-136
    • /
    • 202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career choice experiences of nursing students. Methods: A phenomenological approach was used for the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1 to October 1, 2021, using open-ended questions in-depth interviews. Ten nursing students who had decided to find a job or complete an application to an employment institution participated in this study. Results: The four categories obtained as results were "Preparing myself," "Chosen after conflict," "Going through a tough tunnel and settling down," and "Waiting with anticipation and worry." Conclusion: This study explored the meaning and essence of the career choice experiences of nursing students. These results will provide basic data that can help nursing students make career choices.

2015 개정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식생활 단원'의 식품안전 내용 분석 (Analysis of Food Safety Content in 'Food and Nutrition' Units of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Textbook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 오은영;김유경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63-79
    • /
    • 2020
  •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안전'이 핵심 개념으로 등장함에 따라 기술·가정2 교과서 12종의 '가정생활과 안전' 단원의 식생활 영역의 안전 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은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실과(기술·가정)/정보과 교육과정을 준거로 하여 '식품 선택의 중요성', '식품의 안전한 보관과 관리', '위생과 안전을 고려한 조리', '식품안전 위해요인'을 내용 요소로 선정하였고, 본문과 구성 체제 요소, 활동 과제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본문에서는 '식품선택의 중요성'(3.08쪽), '식품안전 위해요인'(2.96쪽), '식품의 안전한 보관과 관리'(2.63쪽), '안전을 고려한 조리'(0.98쪽) 순으로 내용의 비중이 높았으며, 구성 체제 요소의 비율은 상이하였지만, 표·그림·사진으로 반영된 경우가 가장 많았고, 학습자료, 활동, 보조단, 중단원 정리, 중단원 도입 및 익힘 문제, 소단원 도입 순이었다. 활동과제에서는 '식품 선택의 중요성'를 가장 많이 다루었고, '식품의 안전한 보관과 관리'를 두번째로, 이후 '위생과 안전을 고려한 조리', '식품안전 위해요인' 순으로 많이 다루었으며, 집단 규모별 활동과제의 수는 개별 활동이 가장 많았고, 기능에 따라서는 조사하기, 평가하기, 제작하기, 적용하기, 실천하기, 추론하기와 판단하기, 활용하기와 제안하기 순으로 나타났다. 2015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12종을 분석한 결과, 추후 교과서 개발 시 본문과 구성 체제요소에서 내용의 적절한 배분과 실제 현황을 반영한 교육 내용의 갱신, 집단 규모의 활동 과제를 증가시키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