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교육학 지식

검색결과 2,424건 처리시간 0.029초

중학교 과학 교과서의 국제 비교 (International Comparison of Junior High School Science Textbooks)

  • 박윤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9-34
    • /
    • 1998
  • 본 연구는 한국, 미국, 호주, 일본의 중학교 ($7{\sim}9$학년) 과학 교과서를 한 종류씩 선택하여, 포함하고 있는 지식, 과정기능, 활동, 상황, 과학의 본성, 그리고 사용된 통합주제의 양과 형태를 국가별, 학년별, 내용별로 각각 비교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과서의 분량은 미국의 경우가 가장 많아 한국의 두배 정도나 되었고, 한국을 제외한 세 나라의 교과서에는 색채인쇄가 많았고, 편집은 2단으로 되어 있었다. 내용별로는 한국과 일본의 교과서에서는 물리, 화학, 생물, 지학의 네 영역이 같은 분량을 차지하고 있었고, 미국의 교과서에는 생물과 지학이, 호주에서는 환경과 STS를 강조하고 있었다. 모든 나라의 교과서에서 '개념'올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었고, 학년이 올라갈수록 '법칙'을 점차 강조하고 있었다. 한국의 교과서는 다른 나라의 교과서에 비해 '법칙'을 많이 다루고 있었다. 한국의 교과서에서 가장 많은 과정기능이 사용되었다. 나라별로는 한국의 교과서에는 비례와 변인통제가, 일본의 교과서에는 상관/인과와 비례가, 미국과 호주의 교과서에는 변인통제와 자료변환이 많이 사용되었다. 미국과 한국의 교과서가 호주나 일본의 교과서보다 훨씬 많은 수의 활동들을 다루고 있었다. 한국, 일본, 호주의 교과서에서는 실험과 관찰 활동이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미국의 교과서에는 관찰, 실험, 조사, 실습, 측정 활동들이 고루 다루어지고 있었다. 한국과 일본, 호주의 교과서에서는 순수과학 상황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미국의 교과서에는자연환경 상황이 가장 많았으나, 미국과 호주의 교과서에서는 나머지 상황들이 골고루 사용되고 있었다. 과학의 본성을 상당한 정도로 다루고 있는 호주와 미국에 비해, 한국과 일본의 교과서에서는 이에 관한 부분이 극히 적거나 전혀 없었다. 과학과 기술 간의 통합소재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과학내 소재는 가장 적게 사용되었다. 한국과 일본의 교과서에서는 다른 나라에 비해 적게 사용하고 있었다.

  • PDF

광합성 문제 해결에 대한 과잉 효능감과 과잉확신: 선다형과 서답형의 비교 연구 (Over-Efficacy in Problem Solving and Overconfidence of Knowledge on Photosynthesis: A Study of Comparison Between Multiple-Choice and Supply-Type Test Formats)

  • 하민수;이준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9
    • /
    • 2014
  • 이 연구는 과잉효능감과 과잉확신이 선다형과 서답형 평가에서 어떻게 나타나는지에 조사하였다. 이 연구를 위하여 204명의 여자중학교 학생들이 참여하였다. 선다형과 서답형으로 된 광합성 개념에 대한 검사도구를 사용하였으며, 각 문항마다 자신의 효능감과 확신을 척도로 나타나게 하였다. 연구결과 선다형과 서답형의 상관관계는 0.5가 채 되지 않았으며, 학생들이 생각하는 자신의 문제 해결 능력(효능감)과 실제 능력 간의 상관관계 역시 0.45가 되지 않았다. 학생들은 선다형 문제 해결 과정에서 지식에 대한 확신을 높이는 경향을 보였다. 선다형 문항을 먼저 수행한 집단에서는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하여 과잉효능감과 과잉확신의 비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는 학생들을 평가하는 과정에서 서답형의 사용을 늘릴 것을 제언한다. 또한 두 형태의 검사도구를 동시에 사용하게 될 경우 선다형 검사도구를 사후에 사용하여 학생들이 적절한 수준의 효능감과 확신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해야 될 것이다.

중등학생들의 과학과 생물에서의 '실험'의 의미에 대한 인식구조 비교 (Comparing the Structure of Secondary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the Meaning of 'Experiment' in Science and Biology)

  • 이준기;신세인;하민수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997-1006
    • /
    • 2015
  • 실험에 대한 메타적 인식은 학생들의 과학적 탐구와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의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이 연구에서는 중학생과 고등학생의 과학과 생물에서의 '실험'의 의미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았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언어 네트워크 분석방법을 사용하여 학생들의 인식을 구조적으로 확인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190명의 중학생과 200명의 고등학생 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학생들은 과학에서의 '실험'과 생물에서의 '실험'의 의미에 대한 두 문항에 서술형으로 응답하였다. 수집된 응답을 바탕으로 총 4개의 언어 네트워크가 구성되었다. 연구 결과, 과학에서의 '실험'에 대하여 중학생들은 '우리', '직접', '원리' 등의 단어를 중심으로 활동적 측면에서의 실험을 인식하였다. 반면 고등학생은 '이론', '사실', '내용' 등의 단어를 중심으로 지식을 생성하는 탐구과정으로서의 실험으로 인식하였다. 또한 생물에서의 '실험'에 대하여 중학생은 '해부', '몸'을 중심으로, 고등학생은 '생명', '관찰'이 중심으로 인식하여 생명체를 다루는 관찰활동으로 인식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앞으로 과학 교과 및 생물 교과에서 실험을 지도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유치도뇨관 삽입 가정간호대상자 가족의 유치도뇨관 관리에 관한 지식, 교육요구 및 교육경험 (A Study on Knowledge, Educational Needs and Educational Experience for Indwelling Catheter Management in the Families of Home Care Clients)

  • 김정순;이상주;강인순
    • 가정간호학회지
    • /
    • 제12권1권
    • /
    • pp.92-116
    • /
    • 2005
  • Purpose: This study was a predicative survey to provide home care clients with indwelling urinary catheters for furnishing basic educational material to their families by analyzing the family members' knowledge, educational needs and educational experience about indwelling catheter management. Method : The subjects consisted of 108 family members who cared for home care clients with indwelling catheters. Data were collected by home care nurses in nine hospitals in Pusan, who directly interviewed with them through questionnaires from Sep. 6th to 30th in 2004. The questionnaires for data collection were developed through pre-survey and reference review.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using frequency, percentile, mean, variation, t-test, ANOVA on SPSS 10.1 package. Results : There were characters of home care clients with indwelling catheters: women(67.6%) were more than men; the average age of them was $69.60{\pm}14.99$ years old; neurogenic and cerebrovascular diseases(80.0%) were the most common disease group; 81.5% of them were totally dependent on others in terms of level of activity. Home care clients' families had these characters: women(76.9%) were more than men; the average age was $54.5{\pm}13.70$ years old; 46.3% of them were parents or sons or daughters in terms of relation with patient; tl1e average care period was $39.8{pm}34.20$ months. Level of knowledge about indwelling catheter management of the family members were 69.8% and its mean were $20.24{\pm}4.53$. Educational needs were 90.9% and its mean were $14.55{\pm}3.56$. Educational experience were 53.3% and its mean were $8.53{\pm}4.30$. 'Complications in using an indwelling catheter', 'Symptoms to call for a home care nurse' and 'Method to attach an indwelling catheter' were high ranked in both educational needs and educational experience. 'Anatomy of urinary tract', 'Functions of urinary tract' and 'Catheter placement' were low ranked in both educational needs and educational experience Level of knowledge about indwelling catheter management of the familie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ir age(F=5.35, p=0.01). Educational need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care period(F=3.06, p=0.04). Conclusion: the family members' level of knowledge and educational experience about indwelling catheter management and their educational were not sufficient while their educational needs were high. In other words although the family members were acknowledged education needs, but the care for the patients with indwelling catheter weren't performed well because of their lack of related knowledge. Therefore systematic educational programs about indwelling catheter management for home care clients and their families should be made on the base of this study.

  • PDF

고등학생의 바느질실습 수업에 대한 인식 및 요구 분석 (Analysis on Perceptions and Needs of High School Students Regarding the Sewing Practice Class)

  • 김상미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51-65
    • /
    • 2019
  • 본 연구는 고등학교 1학년 학생 185명을 대상으로 바느질실습 수업에 대한 인식과 요구를 조사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은 바느질실습 수업의 목표를 일상생활에서의 활용으로 가장 많이 인식하고 있었다. 학생들의 바느질실습 수업에 대한 인식은 보통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 중 참여도 점수가 가장 높은 반면 이해도 점수는 가장 낮았으며 활용도는 남녀 점수차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활용도 및 수업방법 만족도를 제외한 수업 인식 하위요인과 전체에서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여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수업 인식이 긍정적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바느질실습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요구를 살펴본 결과 실습내용과 관련하여 학생들은 만들기 영역, 본인들이 선정하기, 개별작품 만들기를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학습별 선호하는 수업 방식을 조사한 결과 기술 및 지식의 습득에서는 교사중심수업 방식을, 아이디어 구상 및 교사 역할에서는 학생중심수업 방식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업운영과 관련하여 학생들은 학기당 4~6차시 수업, 모든 차시 50분씩 편성, 모둠 구성 안함 등을 선호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가정과 교사가 바느질실습 수업을 설계하는 데 활용한다면 수업 개선 및 학생들의 인식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예비 초등교사의 과학 탐구 글쓰기 활동에서 나타난 이론과 증거의 조정 과정 분석 (Analyzing Coordination of Theory and Evidence Presented in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Science Writing for Inquiry Activities)

  • 이선경;이규호;최취임;신명경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201-209
    • /
    • 2012
  • 본 연구는 예비초등교사들이 과학탐구를 수행하고 이에 대한 과학글쓰기를 분석하여 증거와 이론의 조정의 유형과 특성을 탐색하기 위한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 4개의 과학탐구활동에서 총 115개의 예비초등교사들의 글쓰기가 수집 및 분석되었다. 글쓰기 분석을 바탕으로 4개의 이론과 증거의 조정 유형을 발견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유형을 제안한다. 유형1은 증거와 이론의 일치, 유형2는 증거와 이론의 일치 및 이론의 확장과 정교화, 유형3은 증거와 이론의 불일치, 마지막으로 유형4는 증거와 이론의 불일치 및 조정으로 보았다. 본 연구결과 우선 빈도수를 고려할 때 가장 많은 것에서 적은 것의 순으로 보면 유형1, 유형3, 유형2, 유형4의 순이다. 가장 빈도수가 높은 것으로 유형1이 나왔는데 이는 탐구질문에 내재된 이론이 참여자에 의해 쉽게 파악되었고 이를 지지하는 증거를 발견된 자료 중에서 골라냈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탐구주제와 조정유형의 빈도수 사이에 관련성이 별로 없었으나 예외적으로 활동1은 관련성을 보여주었다. 본연구의 이러한 결과는 학생들이 자신이 이미 가지고 있는 지식을 실험계획, 자료분석 및 해석 그리고 과학주장을 만들어내는 과정에서 잘 융합하고 있다는 점과 연관성이 있다고 보여진다.

예비 과학교사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 조사: 생물과 비생물 교사와의 비교 (Exploring Preservice Science Teachers' Views of the Nature of Science: Biology vs. Non-Biology Teachers)

  • 김선영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06-217
    • /
    • 2010
  • 본 연구는 사범대학에 재학 중인 예비 과학교사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을 개방형 설문지인 VNOS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정의와 함께, 6가지 측면의 과학의 본성, 즉 (1) 과학적 이론과 법칙, (2) 과학적 이론의 가변성, (3) 이론 의존성, (4) 사회적 문화적 측면, (5) 창의성, 그리고 (6) 유추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도를 알아보았다. 예비과학교사들은 과학을 정의내릴 때 대체로 과학적 방법 (예를 들어, 관찰과 실험)을 떠올리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대부분의 학생들이 과학적 이론과 법칙의 차이점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었다. 일부 학생들은 과학이 언제나 보편타당하며 관찰 증명되었다고 생각하여 과학의 사회적 문화적 측면 및 유추에 대해서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우리나라 예비 과학교사는 과학적 지식의 형성에 있어서 창의력과 상상력의 사용에 대한 이해도가 미국의 예비과학교사에 비해 현저히 낮았다. 또한 예비 생물 교사들은 비생물 교사들에 비해 과학적 이론과 법칙 및 이론의 가변성에 대한 이해도가 낮았으나, 성별에 의한 관점의 차이는 없었다.

중학생의 과학 그래프 구성에 관한 문제 해결 과정 연구 (A Study on Middle School Students' Problem Solving Processes for Scientific Graph Construction)

  • 이재원;박가영;노태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655-668
    • /
    • 2019
  • 이 연구에서는 중학생들의 과학 그래프 구성 과정을 문제 해결의 관점에서 심층적으로 조사하였다. 중학교 3학년 학생 10명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이들은 앙금 생성 반응을 묘사한 그림 자료를 바탕으로 과학 그래프를 구성하였다. 학생들이 그래프를 구성할 때 거치는 사고 과정을 심층적으로 조사하기 위하여 발성사고법을 활용하였고, 그래프 구성 과정에 대한 녹화 및 반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들의 과학 그래프 구성 유형은 사용한 문제 해결 전략과 활용한 표상의 수준에 따라 네 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구조적 전략을 사용한 학생들은 그래프의 목표 개념에 대한 명제적 지식을 바탕으로 자료를 분석하고 경향성을 파악함으로써 활용한 표상의 수준과 무관하게 과학 그래프 구성에 성공하였다. 임의 전략-고차원 표상 유형의 학생들은 다양한 표상을 활용해 자료의 특징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자신이 구성한 그래프의 의미를 과학적 맥락에서 검토하는 과정을 거치며 과학 그래프 구성에 성공할 수 있었다. 반면, 임의전략-저차원 표상 유형의 학생들은 단순히 점을 연결하는 방식으로 그래프를 구성하였고, 과학적 맥락에 대한 고려 없이 그래프 구성 과정만을 점검하는 수준에 머물며 올바른 과학 그래프 구성에 실패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생들의 과학 그래프 구성 능력을 효과적으로 함양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발명과 문제해결'의 집필 방향과 교재 내용에 대한 타당도 분석 (Validity Analysis on Writing Directions and Content Development of Texts for 'Invention and Problem Solving')

  • 이병욱;최유현;김태훈;강경균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55-170
    • /
    • 2009
  • 이 연구의 목적은 발명 특허 특성화 고등학교의 심화단계에서 사용될 '발명과 문제해결' 교재를 개발하기 위하여 교재의 내용과 집필 방향을 도출하고 이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교재 내용과 집필 방향 개발을 위하여 문헌 연구와 전문가협의회를 거쳤으며 개발된 교재 내용과 집필 방향에 대한 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조사 연구를 실시하였다. 타당도 검증을 위한 조사연구는 특허청 국제지식재산연수원의 발명 지도자 연수 과정에 참여한 교사 75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집필 방향과 교재의 각 영역, 주제, 모듈에 대한 타당도 조사를 위하여 선택형 문항과 기타 의견을 진술할 수 있는 개방형 문항으로 구성한 설문지를 개발하였으며 교재 내용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집필계획서를 설문지에 포함하였다. 타당도 조사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발명과 문제해결'의 각 주제와 모듈은 발명 특허 특성화고등학교 심화단계 공통교재로서 타당하게 개발되었다. 둘째, '발명과 문제해결'의 집필방향은 탐구능력과 창의적 사고력 증진을 강조하고 있으며 비판적 사고력 증진과 논리적 사고력, 그리고 문제해결능력 신장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타당하게 개발되었다.

국내외 대학의 제품개발 교과과정 벤치마킹 (Benchmarking on Product Development Curricula of Domestic and Foreign Universities)

  • 한윤택;정기효;문정태;유희천;장수영;전치혁
    • 공학교육연구
    • /
    • 제13권3호
    • /
    • pp.3-10
    • /
    • 2010
  • 기업은 차별화된 제품으로 시장 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제품 개발을 전담할 전문 인력을 필요로 하고 있으나, 국내 대학은 산업체에서 필요로 하는 종합적 전문 지식과 실무적 경험을 겸비한 전문 인력을 체계적으로 양성하는 교과과정이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제품개발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한 교과과정 개발을 위해 국내/외 대학의 제품개발 교과과정 운영 현황 및 특성화 방향을 파악하였다. 조사 대상 대학에 개설된 제품개발 교과과정에 대한 정보는 주로 해당 대학의 웹페이지에 게시된 정보에 근간하였다. 국내 대학의 제품개발 교과과정은 단일 학과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학과별 특성화 분야 및 교과과정 규모가 다른 것으로 파악되었다. 한편, 국외 대학의 교과과정은 국내 대학과 차별화된 학제간 연계, 다양한 교과과정 프로그램, 그리고 산학연계를 운영되고 있음이 파악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파악된 제품개발 교과과정에 대한 운영 현황 및 특성은 신규교과과정 개발 시 유용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