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교육적 해석학

Search Result 525,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Hermeneutics and Science Education : Focus on Implications for Conceptual Change Theory (해석학과 과학교육 : 개념변화이론에의 함의를 중심으로)

  • Ha, Sangwoo;Lee, Gyoungh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35 no.1
    • /
    • pp.85-94
    • /
    • 2015
  • Constructivism gave many implications to science education but at the same time it has brought confusion about its implication to the field of science education. Hermeneutics has possibilities of being able to reduce confusion as well as opening a new horizon. Hermeneutics seeks the meaning of 'real understanding' through the concepts of horizon, hermeneutical circle, and fusion of horizons. Both hermeneutics and constructivism have positive attitude to students' pre-understanding and accept contextualization of knowledge. Thus, they both can criticize traditional teaching method and propose an alternative. Moreover, hermeneutics approaches human understanding holistically with the concept of horizon, and pays attention to the circularity of the process of human understanding. As a result, hermeneutics can open a new horizon and give new discourse to science education an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research and practice of science education.

Religious Education Teacher between Biography, Habitus and Power: Professional Ethical Perspectives (종교교육 교사의 삶, 성품, 그리고 역량에 대한 연구: 전문적 윤리 관점을 중심으로)

  • Grumme, Bernhard
    • Journal of Christian Education in Korea
    • /
    • v.61
    • /
    • pp.61-80
    • /
    • 2020
  • This study mark a high complexity of the field, which is further enhanced by the fact, that these discussions are transposed into religious education and professionalism research relating to religious education teachers. It seriously considers very unique semantics and practice of leadership emerge then, crosswise and as a background to the educational hermeneutics. Obviously, besides didactic implications, professional ethical implications in an elementary sense are also at play here. The researcher will proceed in four steps: Firstly, I examine aspects of professionalism theory, into which, secondly, professional ethical considerations are entered in their significance for the topic of leadership, then deepen this through discourse-theoretical considerations before finally, fourthly, perspectives are opened up.

교사양성대학 수학교육과 '해석학' 강좌 운영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 방법개발과 관련한-

  • Lee, Byeong-Su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5
    • /
    • pp.23-28
    • /
    • 2003
  • 실수계와 n-차원 벡터 공간을 대수적 특성, 순서적 특성 그리고 위상적 특성을 중심으로 전개하고, 실변수 실가 함수와 n-차원 벡터 공간을 정의역으로 하는 실가함수를 연속성 (미분가능성), 단조성 그리고 볼록성을 중심으로 내용을 다룬다. 특히 실생활과 관련하여 이론을 전개하여 학습을 지도할 수 있는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직관적인 사고와 수리 논리적인 사고의 적절한 배합을 통해 학습자들이 적극적으로 학습에 임할 수 있는 교수 학습 방법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PDF

수학교사들의 내용지식이 학생들의 기하 평가에 미치는 영향

  • Go, Sang-Suk;Jang, Hun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9 no.2 s.22
    • /
    • pp.445-452
    • /
    • 2005
  • 본 연구는 중 고등학교 교사 50명에 대하여 기하 문제의 논증기하적 또는 해석기하적 문제해결 전략이 학생들의 평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조사한 것이다. 중학교에서 고등학교로 진학하면 도형의 문제에 대한 해석기하적인 문제해결 능력은 교육과정 상 대단히 중요하게 가르쳐야 할 내용이다. 유클리드 기하에 바탕을 둔 논증기하의 지식은 좌표평면의 도형을 방정식으로 나타내고 연구하는 해석기하의 기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학생들은 논증기하적 문제해결을 선호하는 반면 해석기하적 문제해결은 어려워한다. 또한 논증기하적 문제 형태에는 논증기하적 문제해결 전략, 해석기하적 문제 형태에는 해석기하적 문제해결 전략을 구사하는 경향을 보인다. 본 연구는 중 고등학교 교사들의 기하 문제에 대한 내용 지식이 학생 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 PDF

교사양성대학에서의 이산수학 교육과정

  • Lee, Jae-Hak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5
    • /
    • pp.43-52
    • /
    • 2003
  • 교육과정은 그 시대에 적합한 요구들을 반영하여야 한다. 제 7차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이산수학의 도입이 바로 정보화 시대의 반영이라고 볼 수 있다. 즉, 이산수학의 도입은 수학의 변화가 수학교육의 변화로 이어졌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새로운 내용의 교육과정 도입은 충분한 검증 절차의 부재로 인하여 부정적인 측면도 나타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사양성 대학에서 이미 오래 전부터 개설되어진 해석학이나 대수학 같은 강좌와는 달리 이산수학의 강좌는 비교적 최근에 개설되어 졌으므로 대부분의 현장교사들은 이산수학 내용에 대한 지식이 거의 없다는데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바탕으로 우선, 교사양성 대학교육과정에서의 이산수학에 대한 충분한 연구와 우리 현실에 맞는 교재의 재구성이 요구되어진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7차교육과정을 고려하여, 교사양성 대학에 적합한 이산수학 강좌에 대한 구체적인 예들을 제시하여 사범대학 학생들로 하여금 이산수학을 제대로 이해하고, 아울러 이러한 연구가 현직 교사연수에도 충분히 반영될 수 있도록 한다.

  • PDF

교원양성대학의 복소해석학에서 다룰 내용

  • Jeong, Sun-Mo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5
    • /
    • pp.299-301
    • /
    • 2003
  • 대부분의 중등학교 교사양성대학교 수학교육과 학생들은 복소해석학을 3학년이 되었을 때 꼭 수강해야 한다. 그런데 교과내용은 자연대학 수학과에서 가르치는 내용과 다른 점이 별로 없다. 교과내용이 너무 어렵고 많을 뿐만 아니라 중등학교에서 수학교사로 일하는데에 별로 필요하지 않은 많은 내용을 담고 있다. 이런 교과과정은 중등학교 수학교사 양성을 목표로 하는 교사양성대학에는 매우 불합리한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오랜 세월 동안 이런 교과과정이 변하지 않고 지속되어 왔다는 것이 놀라올 뿐이다 이제는 오래되고 비현실적이며 비효율적이기따지 한 옛툴에서 벗어나려는 시도를 너무 늦기전에 해야만 한다. 이런 취지에서 복소해석학의 교과내용을 새롭게 구성하려 하고 있으며 2003년 1월24일부터 25일까지 이틀 동안 한국교원대하교에서 열리는 전국수학교육연구대회에서 이런 연구내용과 건의사항 등을 발표하고자 한다.

  • PDF

전제의 해석 유형이 아동의 수학적 추론 결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 Jeon, Pyeong-Guk;Jeong, Jae-Suk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3 no.1
    • /
    • pp.161-167
    • /
    • 2002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들이 자신의 전제 해석 유형에 따라 일정한 추론 결과를 내는가를 알아봄으로서, 초등학생들이 일정한 법칙에 따라 사고하는가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있다. 지필 검사와 면담을 통해 24명의 대상아동 중 20명(83%)이 자신의 전제 해석 유형에 따라 일정한 추론 결과를 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초등학생의 추론 과정은 일정한 법칙을 따르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산발적이라고 생각되는 초등학생의 답일지라도 면밀히 관찰해 보면 그들 나름의 일정한 법칙에 의해 산출한 답이었다. 이러한 사실은 사고의 결과 뿐 아니라 사고의 과정에 대한 깊은 관심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 PDF

Analysis on the process in which middle school students represented and interpreted statistical data (통계 자료의 정리와 표현에서 중학생들의 기호화와 해석화 과정 분석)

  • 김선희;이종희
    •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 /
    • v.13 no.4
    • /
    • pp.463-483
    • /
    • 2003
  • In the learning of mathematics, students experience the semiotic activities of representing and interpreting mathematical signs. We called these activities as the representing and interpreting of mathematical signs. On the foundation of Peirce's three elements of the sign, we analysed that students constructed the representamen to interpret the concept of correlation as for the object, "as one is taller, one's size of foot is larger" 4 middle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the gifted center in Seoul, arranged the statistical data, constructed their own representamen, and then learned the conventional signs as a result of the whole class discussion. In the process, students performed the detailed representing and interpreting of signs, depended on the templates of the known signs, and interpreted the process voluntarily. As the semiotic activities were taken place in this way, it was needed that mathematics teacher guided the representing and interpreting of mathematical signs so that the representation and the meaning of the sign were constructed each other, and that students endeavored to get the negotiation of the interpretants and the representamens, and to reach the conventional representing.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