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교육인증 프로그램

검색결과 194건 처리시간 0.026초

공과대학 학생들의 융합에 대한 태도와 공학교육인증, 성별, 학년과의 관련성 -잠재집단분석의 적용- (The Relationship of Engineering Education Accreditation Program, Gender, and Academic Year with Attitude towards Convergence among Engineering Students: Application of Latent Class Analysis)

  • 이준기;신세인;아리프 라흐마툴라흐;하민수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13-123
    • /
    • 2017
  • 이 연구는 국내 공학전공대학생들의 융합에 대한 태도를 조사하고, 공학교육인증제 프로그램 이수, 성별, 학년 변수와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이루어졌다. 구체적인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융합에 대한 태도 검사도구가 공학전공대학생들에게 신뢰롭고 타당하게 적용되는지 확인하였다. 둘째, 공학교육인증제 프로그램 이수, 성별, 학년에 따른 융합에 대한 태도의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셋째, 학습자중심 접근을 바탕으로 공과대학생들의 융합에 대한 태도에 따라 분류되는 잠재집단을 탐색하였으며, 규명된 각 잠재집단과 변수간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2076명의 공과대학생들이 참여하였다. 융합에 대한 태도 검사도구의 타당성 및 신뢰성은 요인분석, 내적 일관성 신뢰도, 라쉬분석을 활용하여 확인하였으며, 분석결과 공과대학학생들에게 적용한 융합에 대한 태도 검사도구가 신뢰성과 타당함을 확인되었다. 또한 공학교육인증제 프로그램 이수, 성별, 학년에 따른 융합에 대한 태도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독립표본 t-검정, 분산분석을 사용하였다. 융합에 대한 태도는 공학교육인증제 프로그램, 성별, 학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공학교육인증제 프로그램을 선택하고, 남학생이며 학년이 높을수록 융합에 대한 태도가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융합에 대한 태도에 따라 구별되는 잠재집단을 탐색하기 위해 잠재집단분석(Latent class analysis)을 수행한 결과, 다섯 가지의 잠재집단이 규명되었다. 또한 규명된 잠재집단과 공학교육인증 프로그램 선택여부와 성별, 학년과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카이제곱검정을 수행한 결과 세 변수는 모두 잠재집단 분포와 유의미한 관계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학습자의 특성과 다양성을 고려한 공과대학 융합 교육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프로그램 학습성과 평가방법 연구 (A Study on Assessment Method of Program Outcomes)

  • 김복기;박진영
    • 공학교육연구
    • /
    • 제11권4호
    • /
    • pp.46-57
    • /
    • 2008
  • 공학교육인증의 핵심은 "성과중심(outcomes based)" 교육을 바탕으로 지속적 자율 개선 구조를 통하여 졸업생의 능력 및 자질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공학교육 인증기준 중 학습성과의 경우 교육평가, 교육목표, 교육과정과의 관계 속에서 올바르게 이해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프로그램 학습성과 평가방법을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먼저 프로그램 학습성과 평가방법의 일반적인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기술하였다. 또한 프로그램 학습성과 평가체계와 루브릭을 활용한 평가도구의 구체적 실행 방법을 논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수립된 평가도구를 통하여 대학현장에서 학습성과 평가가 실제적으로 운영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공학교육인증 프로그램의 전문교양 교과과정 구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for Engineering Education)

  • 김희정;김성철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7호
    • /
    • pp.1621-1627
    • /
    • 2011
  • 공학교육인증기준 KEC2005에서는 프로그램의 교육목표와 학습성과를 달성하도록 전공은 물론 수학, 기초과학, 전산학, 전문교양과 관련된 충분한 교과목이 제공되는 것을 요구한다. 따라서 학생들의 전공 교과목 이수 뿐 아니라 전문교양 교과과정에 대한 성취도 중요시 된다.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이 갖추어야할 공학기본소양교육의 필요성을 검토하고, 현재 공학교육인증제를 실시하고 있는 여러 대학들의 인증 프로그램 교과과정 중 전문교양 교과과정 구성의 실태분석을 통한 전문교양 교과영역의 전형적인 모형을 도출하였다.

신인증기준 실시에 대한 제안 (The Proposal for the Execution KEC2005)

  • 강소연;최금진;함승연
    • 공학교육연구
    • /
    • 제8권2호
    • /
    • pp.52-63
    • /
    • 2005
  • 공학교육의 문제점을 해소하고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양질의 공학교육을 실시하기 위하여 도입된 공학교육 프로그램 인증은 해를 거듭할수록 참여하는 대학과 프로그램의 수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공인원에서는 한국의 실정에 적합한 인증기준을 연구하여 KEC2005를 공표하였다. 이미 인증을 받은 대학이나 현재 인증 평가를 받기위해 인증을 준비하는 대학은 앞으로 이 인증기준을 적용하여 평가를 받아야 하므로 KEC2005를 기준으로 전환하는데 어려움을 안고 있다. 따라서 공인원에서 KEC2005를 실시하는데 있어서 몇 가지 제안을 하고자 한다. 첫째, 인증기준에 대한 요구사항을 구체적인 예시를 통하여 분명히 제시해 주어야 한다. 둘째, 학습성과에 대한 구체적인 모델과 방법론을 제시해야 한다. 셋째, 교수들의 자발적인 참여 속에 이상에 치우치지 않은 현실적이고 타당성있는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평가자의 재교육 등의 전문성과 다양성 확보가 필요하다. 다섯째, 인증을 준비하는 대학에 대한 공인원의 적극적인 자문과 정확한 정보제공이 필요하다.

한국공학교육의 현황과 과제 (The Present Situations of Engineering Education and Accreditation System in Korea)

  • 강성군;노태천;함승연;김정식
    • 공학교육연구
    • /
    • 제9권2호
    • /
    • pp.21-33
    • /
    • 2006
  • 한국의 공학교육 인증은 1999년에 한국공학교육인증원을 설립하면서 시작되어 2001년부터 공학교육 프로그램을 인증하였다. 우수한 인재의 공과대학 진학 유도와 우수한 공학도의 양성 및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공학도 양성 등이 목표가 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도입된 공학교육인증은 해를 거듭하면서 인증을 받고자 참여하는 대학과 프로그램의 수가 늘어 활성화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의 공학교육과 공학교육인증의 현황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 공학교육이 나아갈 방향을 모색해 보았다. 한국의 공학교육이 더욱 발전하기 위해서는 우수한 학생을 공과대학에 유치하기 위한 노력과 질 좋은 교육을 할 수 있도록 많은 지원이 필요하고, 국제적인 수준의 공학교육을 인정 받기 위한 워싱턴 협정의 정식 회원국이 되어야 하며, 이를 위한 공학관련 기관과 단체, 기업들의 적극적인 협조가 필요하다.

공학교육인증프로그램 운영 효과 증진을 위한 CEA시스템의 요구분석 및 설계 (Requirement Analysis and Design of an Engineering Certification Program, CEA System)

  • 전주현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대회
    • /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7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225-226
    • /
    • 2017
  • 이공계 위기론을 해결하기 위해 ABET주도로 시작된 공학교육인증은 우리나라에도 도입되었으며 성과중심교육을 기본철학으로 하는 공학교육인증에서 프로그램 학습성과의 평가는 매우 중요하다. ABEEK에서 강조하고 있는 교과기반평가(Course Embedded Assessment, 이하 CEA)는 그 유용성에도 불구하고 학습성과 연계와 코스 연계 등이 전산시스템으로 지원되지 않아 교육현장에서 잘 반영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로 인해 인증을 위한 자체평가보고서 작성시 PD교수들의 어려움이 있다. 이에 운영자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CEA평가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사용자 권한 중심의 요구분석과 시스템 설계를 진행 하였다.

  • PDF

고등교육 프로그램 평가인증기관의 정부인정 평가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A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evaluation model for the government's recognition regarding the program accrediting organizations in Higher Education)

  • 김경수;황명구;이태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87-98
    • /
    • 2012
  • 교육과학기술부는 고등교육 프로그램 평가인증기관에 대한 정부 인정 사업을 추진해왔다. 이에 본 연구는 정부가 프로그램 평가인증기관을 인정하는 평가모형을 설정하고, 평가부문 및 평가항목, 평가지표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프로그램 평가인증기관에 대한 정부인정의 개념을 설정하고, 프로그램 평가인증기관에 대한 정부인정 평가모형을 설계하였다. 평가 모형은 고등교육 프로그램 평가인증기관에 대한 정부인정사업의 절차를 반영하여 정부인정기관으로서의 기본적인 요건에 부합되는지 여부에 대한 적격성 검토를 수행하는 예비평가단계, 법령 및 관련 규정에 제시된 평가영역별 지정기준에 대한 충족 여부를 검증하는 본 평가단계의 과정으로 설정하였다. 아울러 평가영역에 따라 평가부문, 평가항목 및 평가지표들을 개발하였고, 심층적 검증을 위해 평가전문가들의 검토를 거쳐 2개 평가영역, 5개 평가부문, 24개 평가항목 및 33개 평가지표를 확정하였다.

비교과 인증제 성과 분석 연구: K 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for Analyzing the Outcome of the Accreditation System of the Extracurriculum: Focused on the Case of K University)

  • 이성아;윤혜진;임수아
    • 기독교교육논총
    • /
    • 제69권
    • /
    • pp.193-220
    • /
    • 2022
  • 역량은 지식으로 전달되는 것이 아니기에 역량기반교육과정의 운영을 위해서는 실제적인 경험의 기회를 많이 제공하는 비교과 교육지원이 필요하다. 이에, 많은 대학들이 경제적, 인적, 물적 자원을 들여 비교과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지만, 설정된 목표와 같이 비교과 교육과정이 역량함양에 효과적인지, 어떤 프로그램을 통해서 어떤 역량이 함양될 수 있는지, 그리고 그 성과를 어떻게 확인할 수 있는가에 대해 의문이 제기된다. 이러한 이유로 제시된 기준에 따라 어떤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그 목표를 달성하였을 때 그에 상응하는 크레딧을 부여하는 비교과 인증제를 시행함으로써 비교과의 성과를 관리하는 도구로 활용해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K 대학교의 비교과 인증에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비교과 과정을 통한 역량 함양의 실효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비교과 인증제를 달성한 학생들은 다양한 프로그램에 참여하면서 관련된 역량과 긍정적인 태도 함양, 전공 능력 향상, 관련 행정 부서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 고취가 가능할 것이라는 유추할 수 있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2020년 3월부터 2021년 2월까지 비교과 인증제를 달성한 학생들과 달성하지 못한 학생들의 핵심역량 검사, 학생상황진단, 교육만족도 결과를 비교하였으며, 우수 인증자 10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시행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양한 프로그램에 고르게 참여하여 인증제를 달성한 경우 다양한 역량 함양과 지원 부서 및 전공 교육에 대한 만족감 향상이 확인된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비교과 인증제를 운영하는 것이 교육 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미국과 한국의 공학교육인증 체제 비교에 대한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Comparison Between Korea and America in Accreditation System of Engineering Education)

  • 한지영
    • 공학교육연구
    • /
    • 제11권1호
    • /
    • pp.24-33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EC2000 시스템하에서 2007년도에 공학교육 인증평가를 받은 한국의 A대학과 미국의 M 대학의 공학교육인증 체제를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해당 프로그램의 자체평가보고서 분석 및 홈페이지 검색을 실시하였다.한국과 미국의 공학교육인증 기준은 거의 대동소이하나 한국의 인증기준이 행정적인 지원 체제나 각 평가기준별 자율순환체제를 강조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인증평가별 체제를 살펴보았을 때 미국의 장점을 꼽아보면 체계적인 교육과정 운영과 설계교육, 교과목 중심의 프로그램 학습성과 평가 체제, 교수들의 연구 및 학생지도에의 지원 체제이다. 한국의 장점은 다원적인 지원 체제를 기반으로 하고 평가에서의 정량적인 지표 활용이 많기 때문에 이를 교육개선에 활용하기 쉬운 면이 있고, 학생포트폴리오의 활용을 통한 체계적인 학생 지도가 가능하다는 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