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교육인증제

검색결과 166건 처리시간 0.029초

공학교육 체제 개선을 위한 공과대학 이해관계자의 인식 조사 연구 - ${\bigcirc}{\bigcirc}$ 대학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ngineering College Stakeholder's Perceptions for Improvements of Engineering Education System)

  • 박기문;이규녀;김영민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239-256
    • /
    • 2011
  • 이 연구의 목적은 공학교육 이해관계자(stakeholder)인 교수, 학생, 직원/조교들을 대상으로 공학교육인증제를 포함한 공학교육 체제에 대한 만족도와 개선사항을 조사 분석하여 공학교육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공학교육 체제의 실효성 있는 개선방안을 도출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터한 공학교육 체제의 개선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실습실 및 장비 등 교육환경을 개선하기 위하여 수요자 요구분석을 실시하고 이를 토대로 중장기 교육환경 개선과 재정이 확보되어야 한다. 둘째, 공학교육 이해관계자간 관계 증진을 위하여 멘토링 프로그램과 미래상담설계 등의 제도가 실효성 있게 재정비 되어야 한다. 셋째, 교육 행정서비스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하여 서비스의 질 평가를 통한 우수 직원/조교에 대한 보상과 직무교육 강화 등의 개선이 요구되며, 공학교육인증제와 관련한 행정 업무의 단순화와 전담인원 충원 등이 검토되어야 한다. 넷째, 공학교육인증제의 이해를 높이기 위해 공학교육혁신센터의 위상 강화와 체계적인 홍보 체제가 필요하며, 외부 인사가 포함된 '공학교육 체제 평가 협의회(가칭)'와 같은 공학교육 평가 전문가 위원회가 필요하다. 다섯째, 공학교육인증제는 이해관계자들의 실익 부재와 행정 소요의 피로 누적 등으로 인하여 그 실효성에 대해 문제가 제기되고 있는 바 이에 대한 하여 공학교육 관련기관 차원의 방안 연구가 시급하다.

건축시공교육의 교과목 내용에 대한 제언

  • 정재영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3권4호
    • /
    • pp.53-55
    • /
    • 2003
  • 과거의 대학교육이 교수 중심의 공급자 중심이었다고 한다면 미래의 교육은 수요자 중심의 교육, 즉 학생 중심의 교육이 되어야 한다는 논의가 무성하다. 또한 교육과정을 이수하고 졸업한 학생을 채용하는 기업이 바라는 교육의 내용이 무엇인지를 아는 것은 매우 중요하며 공학인증제도의 도입노력과 연관된다. 즉 회사가 채용한 대학 졸업생의 실력을 통하여 대학의 교육성과를 최종수요자인 회사가 평가하여 그 결과를 대학의 교육과정에 피드백하는 것이 공-학인증제도의 취지이다. 그러므로 회사가 원하는 졸업생의 능력을 갖추도록 대학교육의 커리큘럼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렇지 못한 대학은 채용에 있어서 불이익을 받을 것이다. (중략)

고등교육기관 평가인증제에 대한 대학의 대응 노력이 대학의 지각된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전문대학을 중심으로 (The Affect of the University's Response to the Evaluation and Accreditation System of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on the Perceived Management Performance of the University : Focused on Junior Colleges)

  • 윤문도;서영욱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3호
    • /
    • pp.139-152
    • /
    • 2019
  • 4차 산업혁명과 융복합 시대를 맞아 국내 대학들도 교육의 질 개선을 비롯한 적극적인 변화가 요구되는 상황에서 1주기 전문대학의 기관평가인증제에 대한 대학의 대응 노력이 대학의 BSC 관점의 지각된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분석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 모형을 검증하기 위하여 1주기 기관평가인증제 심사를 받은 전문대학을 대상으로 152부의 설문지를 표본으로 하여 SPSS v.18을 이용하여 검정하였다. 분석 결과 평가인증제에 대한 대학의 대응 노력 중 평가인증제에 대한 관심 정도는 학습과 성장 성과에만 영향을 미치며, 평가인증 준비의 적절성은 고객 성과, 내부프로세스 성과, 재무 성과에 영향을 미치며, 자체평가의 만족도는 BSC 4가지 관점의 성과 모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관평가인증제를 통한 대학의 경영성과 관리방안을 강구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향후 기관평가인증제를 대학 경영성과의 확대로 연결 지을 수 있는 발전된 연구가 필요하겠다.

"SW공학적 종합설계" 수업 운영 실태 분석 (An Analysis of the Teaching Operational Realities of "Software-Engineering-Capstone-Design")

  • 김영상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2년도 제45차 동계학술발표논문집 20권1호
    • /
    • pp.19-20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공학기술교육인증제에서 요구하는 종합설계 교과목의 수업운영 사례 분석을 통하여 효과적인 수업 개선방안을 제안한다. 종합설계는 학생들이 스스로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현장 실무능력을 키우기 위한 교과이다. 종합설계는 대부분 목표 및 약간의 제약조건, 평가 기준들을 포함하고 있다. (사)한국공학교육인증원 인증 기준은 8개이며, 교육과정 영역에서 종합설계 교과의 필수 개설 및 실질적 운영을 매우 중요시하고 있다. 컴퓨터멀티미디어과는 2011년 (사)한국공학교육인증원의 TAC 인증평가를 받았으며, 본 논문에서는 "SW공학적 종합설계" 교과의 수업 운영 실태 중심으로 컴퓨터공학 분야 종합설계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중계 - 농장동물 복지정책 토론회

  • 최인환
    • 월간양계
    • /
    • 제43권11호
    • /
    • pp.154-157
    • /
    • 2011
  • 지난 9월 29일 서초구 소재 서울교육문화회관에서 농장동물 복지정책 토론회를 개최하였다. 이날 농가 및 관련종사자 100여명이 참석하여 앞으로 실시될 농장동물 복지제도에 대한 많은 관심을 보였다. 이날 토론회는 동물복지 축산농장 인증제 추진과 관련한 전문가 주제 발표, 동물복지 축산농장 인증제 추진방안 및 농가 참여 확대 방안, 동물복지형 축산물 표시제 도입 및 유통 판매처 확보 방안, 소비자 인지도 제고 등 동물복지형 축산물 소비기반 마련 방안, 기타 국내 동물복지제도 정착 및 발전을 위한 토론으로 구성되어 진행되었으며 친환경 농장 경영과 동물복지(전남대학교 조광호 교수), 동물복지 축산농장 인증제 운영 방안(농림수산검역검사본부 동물보호과 한종현 과장), 동물복지 인증과 해외사례(국립축산과학원 축산환경과 유용희 과장)에 대한 발표가 있었으며 건국대학교 이상락 교수가 좌장을 맡은 가운데 본회 안영기 부회장, 동물자유연대 조희경 대표, 전남대학교 조광호 교수, 농림수산식품부 안유영 사무관, 농림수산검역검사본부 한종현 과장, 국립축산과원 유용희 과장, 대한양돈협회 이병석 차장이 토론자로 나섰다. 본고는 이날 발표내용 및 토론내용을 요약, 정리 하였다.

대학생의 독서교육 방안에 관한 연구 - D대학교 신입생 독서실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eading Education Method of University Student)

  • 이만수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55-185
    • /
    • 2004
  • 이 연구의 목적은 D대학교 신입생들의 독서 행태를 조사 분석하여 대학생의 독서교육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독서교육 방안으로 중앙도서관의 각종 행사 개최, 관련학과의 독서교육 과목 채택, 독서인증제 도입, 필독도서목록 작성, 독서 교양과목 학점 인정, 매체를 통한 독서교육, 독서의 필수과목 채택 등을 제시하였다.

  • PDF

정보통신공학 전공 대학생들의 정보통신산업 종사자 윤리의식 연구 (A Study on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 Ethics from the Survey of College Students)

  • 이유종
    • 공학교육연구
    • /
    • 제13권3호
    • /
    • pp.96-103
    • /
    • 2010
  • 공학교육인증제와 더불어 공대생들의 윤리적 자질 함양 및 공학윤리 교육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정보통신공학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학생들이 현재 가지고 있는 정보통신 산업 종사자 윤리의식 수준은 어느 정도인지 알아보고 정보통신 산업 종사자 윤리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제 변인들의 상대적인 영향력을 파악하여 바람직한 정보통신윤리에 대한 시사점과 교육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설문에 의한 연구 내용으로 정보통신공학을 전공 중인 대학생의 정보통신 산업 종사자 윤리의식을 '회사이익을 위한 불법적 비윤리의식'(2.11점), '경제적 이익추구를 위한 비윤리의식'(2.86점), '자신을 위한 묵과적 비윤리의식'(1.99점) 등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정보통신공학을 전공 중인 학생들의 성향은, 상대방을 존중하지 않는 비존중의식을 가질수록, 연령이 높을수록, 군대에 다녀오지 않은 경우 정보통신 산업 종사자로서의 윤리의식이 비윤리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공학교육인증제 실시와 더불어 정보통신윤리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고, 효과적인 공학윤리 및 정보통신윤리 강좌를 확대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IP(지식재산권) 교육 저변확대를 위한 교과운영모델 방안 (Curriculum model plans to extend the IP training base)

  • 조재신;송요순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329-338
    • /
    • 2016
  • 최근 창조경제가 중요시 되면서 학습자 중심의 IP 교육이 각 대학별로 급속히 확산되고 IP 교육에 대한 관심과 요구가 급속히 높아지고 있는 반면 아직 이를 위한 교과과정 및 IP 교육 이수 인증(확인)에 대하여 충분히 갖추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IP 교육 모듈을 제시하고, IP 교육 이수 인증(확인)에 대한 필요성과 인증 방안을 제시한다. 지식재산인력 및 교육의 필요성과, 현재 운영되고 있는 지식재산교육의 현황 및 분석, 지식재산 선도 대학 전체의 지식재산 강좌 추세를 살펴본다. 이어 국내교육인증제도인 교육인증제와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교육들에 대하여 살펴보고, 교과운영모델(안)으로서 IP교육 8개 과정 모형, 지식재산 표준교육과정 교육 이수체계 및 교육모듈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