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교우 관계

검색결과 172건 처리시간 0.027초

초등과학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의 교우관계 비교 (Comparing Peer Relations of Gifted Elementary Students in Science and Ordinary Students)

  • 여상인;박상희
    • 영재교육연구
    • /
    • 제15권1호
    • /
    • pp.49-66
    • /
    • 2005
  • 본 연구는 일반학급에서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이 지각하는 교우관계와 초등과학 영재아동이 과학영재학급과 일반학급에서 지각하는 교우관계를 각각 비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를 위하여 과학영재학급에 등록된 영재아동 147명과 일반학급의 일반아동 253명을 대상으로 교우관계 만족도, 아동이 느끼는 외로움, 교우관계의 질, 사회성을 측정하는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일반학급에서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이 지각하는 교우관계에서는 '아동이 느끼는 외로움', '교우관계의 질'에서 영재아동이 일반아동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고, 일반학급과 영재학급에서 느끼는 영재아동의 교우관계에서는 '교우관계의 만족도'와 '교우관계의 질'에서 일반학급보다 과학영재학급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그리고 일반아동에 비하여 영재아동의 상호적인 교우관계 빈도가 더 높았다.

통신이력을 사용한 교우 친밀도 분석 (Analysis of Degrees of Familiarity among Students Using Communication History Records)

  • 문양세;최훈영;김혜숙;김진호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6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33 No.1 (C)
    • /
    • pp.82-84
    • /
    • 2006
  • 최근 청소년의 교우관계에 있어서 집단 따돌림이 사회적으로 큰 문제가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학생들의 교우관계를 보다 객관적으로 분석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우선 분석을 위한 객관적인 데이터로 교우관계 정보를 묵시적으로 내포하고 있는 통신이력 데이터를 사용한다. 다음으로 교우간 친밀도(degree of faniliarity) 개념을 정형적으로 정의하고, 여러 통신도구에서 발생한 통신이력 데이터를 기반으로 교우간 친밀도를 수학적으로 계산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다음으로, 계산한 교우간 친밀도를 사용하여 집단 따돌림의 가능성이 높은 학생을 파악한다. 이는 집단 따돌림 가능성이 높은 학생은 다른 학생으로부터의 통신 시도가 적을 것이라는 직관에 기반한다. 마지막으로, 제안한 방법의 실용성을 입증하기 위하여, 실제 구현 및 분석 실험을 수행하고, 그 의미를 해석한다. 이 같은 결과를 볼 때, 본 연구는 학생들의 교우관계를 보다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매우 우수한 결과라 사료된다.

  • PDF

교우관계 향상프로그램이 다문화가정 아동의 교우관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iveness of Peer Relation Improvement Program on Peer Relation in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 이은희;이경옥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605-612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교우관계 향상프로그램이 다문화가정 아동의 교우관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전후실험 통제집단 설계를 이용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U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다문화가족 후원센터를 이용하는 다문화가정의 아동들 가운데 집단프로그램 참여의사를 밝힌 초등학교 재학 중인 18명의 아동들이다. 이 아동들 가운데 무작위로 9명은 실험집단으로 그리고 9명은 통제집단으로 집단 구성을 하였다. 두 집단에 대한 동질성검사를 실시하여 동질성을 확인한 후, 실험집단은 주 2회 1회기 당 50분씩 총 10회기의 교우관계 향상프로그램을 제공하고 통제집단은 별도의 처치를 하지 않은 후, 이들 집단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의 실시 전-후에 나타난 교우관계 점수를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교우관계 향상프로그램은 다문화가정 아동의 교우관계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예측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교나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 다문화가정 아동들을 대상으로 교우관계 향상프로그램을 실시할 시 유의점 및 본 연구의 한계와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통신이력 데이타에 기반한 교우관계 분석 (Peer Relationship Analysis Based on Communication History Records)

  • 문양세;최훈영;김진호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3권8호
    • /
    • pp.730-740
    • /
    • 2006
  • 최근 청소년의 교우관계에 있어서 집단 따돌림과 불량 그룹이 사회적으로 큰 문제가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학생들의 교우관계를 보다 객관적으로 분석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분석을 위한 객관적인 데이타로는 교우관계 정보를 묵시적으로 내포하고 있는 통신이력 데이타를 사용하며, 체계적 분석을 위하여 데이타 마이닝 기법을 활용한다. 제안하는 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우간 친밀도 (degree of familiarity) 개념을 정형적으로 정의하고, 여러 통신도구에서 발생한 통신이력 데이타를 기반으로 교우 간 친밀도를 수학적으로 계산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학생 x가 y로 통신을 많이 시도할수록, 학생 x 의 y 에 대한 교우간 친밀도가 높다는 직관을 사용한다. 둘째, 계산한 교우간 친밀도를 사용하여 집단 따돌림의 가능성이 높은 학생을 파악한다. 이는 집단 따돌림 가능성이 높은 학생은 다른 학생으로부터의 통신 시도가 적을 것이라는 직관에 기반한다. 셋째, 교우간 친밀도를 데이타 마이닝 기법 중 하나인 클러스터링으로 분석하여 의미 있는 교우집단을 파악한다. 클러스터링 기법을 사용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교우간 친밀도를 기반으로 교우간 유사도 (similarity) 개념을 정형적으로 정의하고, 이를 사용하여 클러스터링을 수행한다. 마지막으로, 제안한 방법의 실용성을 입증하기 위하여, 실제 구현 및 분석 실험을 수행하고, 그 의미를 해석한다. 이 같은 결과를 볼 때, 본 연구는 학생들의 교우관계를 보다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론이라 사료된다.

과잉양육이 청소년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교우와 교사 관계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Effects of Parental Over Involvement on the Life Satisfaction of Youth - the Mediated Effect of Friendship and Teacher Relationship -)

  • 김봉금;권오용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290-300
    • /
    • 2021
  • 본 연구는 과잉양육이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우와 교사 관계의 매개효과 검증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은 한국아동·청소년패널 초4패널 조사(2010년~2016년)에서 2016년 고1 1,964명을 AMOS 22.0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는 4점 만점에 평균 2.972점, 과잉양육 2.234점, 교우 관계 3.211점, 교사 관계 3.080점이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과잉양육은 교우와 교사 관계에 부적인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 과잉양육은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우와 교사 관계는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우와 교사 관계는 과잉양육이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분 매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 영재학생의 영재학급과 일반학급에서의 교우관계 분석 (A Study of Gifted Students' Peer Relationship in an Elementary School's General and Gifted Classes)

  • 권혁천;하민수;정덕호;이준기
    • 영재교육연구
    • /
    • 제22권3호
    • /
    • pp.757-777
    • /
    • 2012
  • 교우 관계는 학생들의 인지적, 정의적 발달에 영향을 주는 학습의 중요 변인 중 하나이다. 또한 일반 학생들과 차별적인 프로그램에 속해 있는 영재학생들은 일반학급 학생들에 비하여 다른 교우 관계를 가지고 있다. 이 연구 목적은 초등학교 5학년 과학영재학생들의 영재학급과 일반학급에서 나타나는 교우관계의 구조적 차이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하여 남부권 소재 시교육청 영재교육원에 수학중인 5명의 초등 과학영재들이 참여하였다. 사회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통하여 참여 학생들의 교우관계 구조를 분석하였으며, 해당 영재 학생의 담임교사 면담을 통하여 학생들의 교우 관계에서 나타나는 심층적이고 맥락적인 특징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과학영재들의 교우관계에 대하여 '똑똑한 외톨이', '나의 공부친구', '우리 반에서는 내가 최고', '어디서나 좋은 친구'의 네 가지 경우를 발견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과학영재들이 영재학급과 일반학급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교우관계를 맞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영재 학생들의 교우 관계를 바탕으로 그들의 프로그램이 특별히 계획되어야 하는 것을 보여준다.

사회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교실 자리배치에 따른 긍정적 교우관계 형성 분석 (An Analysis of Forming Positive Relationships Depending on Classroom Seat Arrangement By Social Network Analysis)

  • 권현범;김종수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9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161-162
    • /
    • 2019
  • 교사의 자리 배치와 교우관계 형성의 관계성을 밝히려는 목적으로 2016년에 일반계 고등학교 3학년 문과반 학생 28명을 대상으로 사회 네트워크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학급 내 하위네트워크가 4개를 발견하였고, 친밀도가 가장 낮은 학생을 전체 네트워크의 구조적공백에 위치하였을 때, 긍정적인 교우관계를 확인하였다.

  • PDF

대학생의 교우관계, 역기능 가정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eer Relationship and Dysfunctional Family on Life Adjustment in University)

  • 장성화;천영희;함성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539-548
    • /
    • 2014
  •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교우관계, 역기능 가정 및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교우관계와 역기능 가정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대상은 서울 지역에 소재한 3개의 대학생 415명을 대상으로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와 중다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교우관계, 역기능 가정,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교우관계, 역기능 가정, 대학생활적응의 하위변인 중 갈등 및 불신과 대학환경적응을 제외한 모든 하위영역에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다회귀분석 결과,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높은 변인은 갈등해결, 문제의 부모, 인정과 관심 순으로 나타난 반면, 그 외 모든 하위변인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예측변인이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대학생활 부적응에 대한 예방과 대학생 지도에 활용할 수 있는 심층적인 프로그램 개발과 여러 가지 정책에 대하여 시사하고자 한다.

중학생의 정서·행동문제가 등교거부성에 미치는 영향 : 부모관계, 교우관계, 교사관계를 매개변인으로 (The Influence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of Middle School Students have on the School Refusal Tendency: Focusing on the Meditator Variables - Relationships with Parents, Peer Groups and Teachers)

  • 이경호;송미옥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1-14
    • /
    • 2017
  • 본 연구는 G시의 남, 여 중학교에 재학중인 1, 2, 3학년 546명을 대상으로 정서 행동문제, 부모관계, 교우관계, 교사관계가 등교거부성에 미치는 영향과 그 경로를 파악하기 위하여 Pearson 적률상관분석과 LISREL 프로그램을 이용한 경로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나타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정서 행동문제 중 외현화문제와 교사관계변인 중 사회적지지 요인, 교우관계변인 중 신뢰감요인과 부모관계변인 중 부정적지지요인, 교사관계변인 중 사회적지지요인과 부모관계변인 중 부정적지지 요인을 제외한 모든 관계에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서 행동문제는 등교거부성과 부모관계에 매개효과 없이 각각 매우 높은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교우관계와 교사관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고 간접적인 부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우관계는 등교거부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간접적인 부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관계는 등교거부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부모관계는 등교거부성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교우관계와 교사관계를 매개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 학대·방임이 청소년의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 -교우 및 교사관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Effects of Child Abuse and Neglect on Community Sense of Adolescent - Focusing on mediated effects of classmate and teacher relations -)

  • 정명섭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106-115
    • /
    • 2020
  • 본 연구는 부모 학대·방임이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우 및 교사관계의 매개효과검증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대상은 한국아동·청소년패널 초1패널 조사(2010년~2017년)의 2017년 중1 2,00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부모 학대·방임과 공동체의식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연구문제를 구조방정식으로 검증하여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첫째, 부모 학대·방임은 공동체의식에 유의한 직접 영향은 미치지 않았다. 둘째, 부모 학대·방임(β=-.663)은 교우 및 교사관계에 유의한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우 및 교사관계(β=.664)는 공동체의식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부모 학대·방임이 공동체 의식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우 및 교사관계의 매개효과(β=-.440)는 유의한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런 결과를 기반으로 청소년 복지실천에 대한 제언을 기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