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교수 방법

검색결과 2,815건 처리시간 0.026초

관심중심수용모형을 활용한 유치원 교사의 피지컬 컴퓨팅에 대한 관심도 분석 (Analysis on Kindergarten Teachers' Stage of Concerns about Physical Computing Based on the CBAM)

  • 박선미;정지현;강민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298-305
    • /
    • 2019
  • 본 연구는 CBAM(관심중심수용모형)에 기초하여 혁신적 교수매체이자 방법인 피지컬 컴퓨팅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관심수준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유치원 교사 11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고 CBAM 모형을 이용한 백분위 분석, 다변량 분산분석(MANOVA)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유치원 교사의 관심도는 대체로 비판적 무관심자 패턴으로 해석되나, 전형적 유형에 비해 1단계(정보), 2단계(개인), 3단계(운영)에 대한 관심도가 다소 높고 4단계(결과) 관심수준이 낮은 패턴 양상을 보였다. 다변량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공립유치원에 비해 사립유치원 교사의 관심도가 4단계(결과)와 6단계(재초점)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또한 향후 피지컬 컴퓨팅 활용 계획이 있는 교사에 비해 활용 계획이 없는 교사가 0단계(지각)에서 유의하게 관심도가 높았으며 3단계를 제외한 1~6단계에서 유의하게 관심도가 낮게 나타났다.

기초간호학만족도가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경로에 관한 융합 연구 (A Convergence Study about the Effect Path of Satisfaction with Biological nursing science on Clinical competence)

  • 임정혜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7호
    • /
    • pp.421-429
    • /
    • 2019
  • 본 연구는 기초간호학만족도, 전공간호학만족도, 비판적사고성향과 전공만족도 및 임상수행능력 간의 인관관계와 경로를 파악하기 위한 융합연구이다. 3개 대학 간호학과 학생 203명을 대상으로, 2018년 5월에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수집하였다. PASW 18.0, AMOS 18.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기초간호학만족도가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경로모형은 적합하였다(${\chi}^2/DF=1.093$, GFI=.992, AGFI=.968, RMSEA=.021, CFI=.998, NFI=.983). 기초간호학만족도는 전공간호학만족도(${\beta}=.345$), 전공간호학만족도는 비판적사고성향(${\beta}=.272$)과 전공만족도(${\beta}=.277$), 비판적사고성향은 전공만족도(${\beta}=.365$)와 임상수행능력(${\beta}=.582$), 전공만족도는 임상수행능력(${\beta}=.228$)에 직접효과가 있음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기초간호학만족도가 높으면 전공간호학만족도가 높아지고, 이는 비판적사고성향과 전공만족도를 높이며, 결국에는 임상수행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임을 확인하였다. 이에 다양한 교수학습방법 개발과 적용으로 기초간호학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중재마련이 필요하다.

자연유산 해설사 양성 교육프로그램의 중요도 -만족도 분석 및 제고 방안 (Important-satisfaction analysis for improving satisfaction in natural heritage docent training programs)

  • 김태형;공달용;임종덕;조운연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8권1호
    • /
    • pp.80-95
    • /
    • 2015
  • 이 연구는 천연기념물센터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해설사 양성 교육에 대한 만족도 조사를 통해 해설사들의 요구에 맞는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여 교육의 질 제고 및 만족도 향상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자연유산 해설사 양성 교육프로그램의 만족도를 구성하는 주요 항목에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를 분석하기 위해 천연기념물센터의 자연유산 해설사 3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문항 구성은 '교육과정 및 수업', '해설사 지도', '교육 환경', '행정지원 서비스', '해설사 지원', '해설사 생활' 등 6개 요인 22개 문항을 추출하였다. 중요도와 만족도 차이분석 결과 6개 영역 22개 문항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중요도 인식(M=4.10, SD=.20)에 비해 만족도(M=3.37, SD=.08)는 낮게 나타났다. 중요도-만족도 분석(ISA)을 통해 집중적으로 개선 노력이 필요한 영역으로 '행정 서비스', '해설사 지원', '교과과정 및 수업'이 도출되었으며, 구체적인 항목으로 '강의 내용(주제)', '수업 진행 방법(교수법)', '직원의 서비스 태도', '해설사에 대한 직원의 관심'이 제시되었다. 이들 결과 및 해설사의 서술형 답변을 중심으로 자연유산 해설사 양성 교육프로그램 만족도 제고를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유아교사의 그림책 읽기활동 현황 및 주변텍스트에 대한 인식과 활용 (The Present Status of Picture Book Reading Activities and Utilization of Picture Book Peritex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 남아름;김상림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57-170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그림책 읽기활동 현황 및 그림책 주변텍스트에 대한 인식과 활용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수도권 지역의 유아교사 총 276명 이었으며, 설문조사를 통해 그림책 읽기활동 현황과 및 그림책 주변텍스트에 대한 인식과 활용을 조사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분석결과, 대부분의 유아교사는 유아에게 그림책을 읽어주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인식하였으며, 그림책 읽기의 목적을 '상상력과 창의력 발달을 위해'라고 응답하였다. 그와 더불어, 유아교사는 그림책 주변텍스트에 12가지 구성요소인 제목과 표지, 속표지를 높은 수준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헌사지, 면지, 덧싸개, 띠지, 재질, 판형 및 제본, 수상표시에 대해서는 보통 수준으로, 타이포그래피 및 레이아웃에 대해서는 낮은 수준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유아교사의 그림책 주변 텍스트에 대한 인식은 대체로 높은 편이었으나, 그림책 읽기 시 주변 텍스트의 몇몇 요소에 대해서는 대부분 활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그림책 읽기 활동 현황 및 그림책 주변텍스트에 대한 인식과 활용을 알아봄으로써 유아의 능동적인 그림책 읽기를 도모하고, 그림책 주변텍스트 활용을 통해 다차원적인 읽기교수 방법의 구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초임 과학교사를 위한 협력적 멘토링 과정에서 나타나는 멘토교사와 멘티교사의 갈등 요소 분석 (Analysis on Components of Conflict between Mentor Teachers and Mentee Teachers in Collaborative Mentoring for Beginning Science Teacher)

  • 정도준;이임일;남정희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3권1호
    • /
    • pp.119-135
    • /
    • 2019
  • 이 연구에서는 초임 과학교사의 수업 전문성 향상을 위한 협력적 멘토링에서 나타나는 멘토교사와 멘티교사의 갈등 요소 및 변화 과정을 분석하고 갈등의 원인을 고찰하였다. 협력적 멘토링 연수에 참가한 30명의 교사 중 멘토교사의 효능감 검사지 및 멘티교사의 만족도 설문지를 바탕으로 갈등이 있었다고 응답한 3팀(6명)을 연구의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연구를 위해 멘토교사와 멘티교사가 실시한 5차례의 일대일 멘토링 대화 녹음본과 전사본을 추가로 분석하였다. 멘토링 대화에서 나타나는 갈등의 요소를 살펴보면 교수방법에 대한 지식 중 수업 전략에 관한 갈등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학생들의 이해에 대한 지식 요소 중 학생특성에 적합한 교과내용지식 측면과 교과내용지식 요소 중 과학개념에 대한 지식 측면에서 갈등이 나타났다. 또한 멘토교사의 효능감 검사지와 멘티교사의 만족도 설문지로부터 수업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역할, 서로 다른 교육관, 멘티교사의 수업에 대한 인식 변화 및 노력 부족 등의 원인으로도 갈등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멘토링의 횟수가 거듭됨에 따라 멘토교사의 의도를 멘티교사가 잘 이해하고 받아들여 결국에는 멘티교사의 인식 변화를 가져와 대부분의 갈등이 감소되었지만, 멘티교사의 요청에도 멘토교사가 적극적인 해결 방안을 제시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갈등이 심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기기 활용 인지행동 미술치료가 정서불안 아동의 변화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Cognitive Behavioral Art Treatment Using Smart Devices on the Changes of an Emotionally Disturbed Child)

  • 박미자;임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5호
    • /
    • pp.89-97
    • /
    • 2019
  • 본 연구는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인지행동 미술치료가 정서불안을 드러내는 단일 연구참가자의 교육적 변화와 효과를 확인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정서불안정으로 공격성과 충동성이 있는 초등학교 4학년 남아이다. 연구는 6개월 동안 매주 1-2회에 걸쳐 회당 80분, 총 30회의 교육처치가 실시되었다. 회당 80분의 시간 중 미술치료 60분, 인지행동치료 20분 교육프로그램이 적용되었으며, 30회 동안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인지행동 미술치료기법(그리기 및 조형활동)을 비롯, 인지 재구조화 작업, 행동수정기법, 체계적 둔감법, 사회기술훈련, 공감훈련과 조망훈련, 자기주장훈련 등의 교육방법이 적용되었다. 연구측정도구로는 TAIC(Trait Anxiety Inventory for Children), BAI(Beck Anxiety Inventory), 정서적 불안정 척도가 활용되었다. 연구 결과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인지행동 미술치료가 정서불안 아동에게 긍정적인 정서 변화의 효과성이 있음이 나타났으며, 이를 기반으로 체계적인 교수학습전략 의 필요성, 과학적 분석 및 환류기법 적용 등 향후 발전방향이 논의되었다.

초등 인공지능 교육을 위한 설명 가능한 인공지능의 교육적 의미 연구 (A Study on the Educational Meaning of eXplainable Artificial Intelligence for Elementary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 박다빈;신승기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5권5호
    • /
    • pp.803-812
    • /
    • 2021
  • 본 연구는 문헌 연구 통해 설명 가능한 인공지능의 개념과 문제해결과정을 탐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설명 가능한 인공지능의 교육적 의미와 적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설명 가능한 인공지능 교육이란 인간과 관련된 인공지능 문제를 다루는 사람 중심의 인공지능 교육으로 학생들은 문제 해결 능력을 함양할 수 있다. 그리고, 알고리즘 교육을 통해 인공지능의 원리를 이해하고 실생활 문제 상황과 관련된 인공지능 모델을 설명하며 인공지능의 활용분야까지 확장할 수 있다. 이러한 설명 가능한 인공지능 교육이 초등학교에서 적용되기 위해서는 실제 삶과 관련된 예를 사용해야 하며 알고리즘 자체가 해석력을 지닌 것을 활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이해가 설명으로 나아가기 위해 다양한 교수학습방법 및 도구를 활용해야 한다. 2022년 개정 교육과정에서 인공지능 도입을 앞두고 본 연구가 실제 수업을 위한 기반으로써 의미 있게 활용되기를 바란다.

TIMSS 2019의 4학년 물상과학 영역과 우리나라 과학 교육과정의 비교 분석 (The Relationship Analysis of the Korean Science Curriculum with the Physical Science Domains of the 4th Grade TIMSS 2019)

  • 김선경;김현경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5권1호
    • /
    • pp.1-10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TIMSS 2019 물상과학 영역과 우리나라 과학과 교육과정의 연계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TIMSS 2019 초등학교 4학년 과학 평가틀의 물상과학 영역에서는 12개의 주제가 제시되는데, 초중등학교 교사로 이루어진 현장교사와 과학교육 전문가 총 12명이 참여하여 이 주제들이 우리나라 2009 개정 및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어느 학년에 포함되어 있는지 분석하였다. TIMSS 2019 평가틀의 성취기준과 우리나라 과학과 교육과정이 일치하는지 분석한 결과, TIMSS 2019 물상과학 평가 주제 중에서 우리나라 초등학교 4학년 교육과정까지 전혀 다루고 있지 않는 주제로 화학과 관련 있는 '일상생활에서 화학 변화', '열전도', '전기와 간단한 전기회로' 내용이 두드러졌다. TIMSS 2019 평가틀이 국제 성취 기준임을 고려하면 우리나라 교육과정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할 수 있으며, 다음과 같다. 첫째, 차기 과학과 교육과정 개발에서는 누리과정까지 연계하여 초·중학교 및 고등학교 화학의 내용과 범위가 전체적으로 연결되도록 현재 초등학교 3학년부터 시작하는 과학과 교육과정을 초등학교 1학년부터 시작하는 개선을 공론화할 필요가 있다. 둘째, 학습량 및 학습 수준의 적합성 문제를 고려하면서 난이도를 조정하거나 개념을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으로 접근하면서 관련 주제를 다루도록 학년군을 재조정하는 방안을 생각할 수 있다. 셋째, 국제적인 흐름에 맞게 필수적인 개념 및 표준 용어들을 우리나라 과학과 교육과정에 도입하거나 구성되도록 하는 논의가 필요하다.

초·중등 학부모 대상 수학교과 인식 및 요구 조사 (Analysis of Recognition and Needs for Parents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for Mathematics Education)

  • 이형주;김형식;고호경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5권3호
    • /
    • pp.213-231
    • /
    • 2021
  • 본 연구는 학부모의 수학에 대한 인식이 자녀의 수학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근원적 요소가 될 수 있다는 선행 연구들을 바탕으로 학부모의 수학 교과에 대한 가치인식과 만족도 등에 관한 내용을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 수학교육 및 자녀 교육과 학부모 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은 전국의 학부모를 대상으로 무작위 추출하였으며, 초등학생 학부모 133명, 중·고등학생 학부모 411명에 따른 학부모의 응답 결과를 비교 분석 하였다. 설문 결과 초등학생과 중·고등학생 모두 학부모가 수학 교과의 가치 인식이 긍정적일수록 자녀의 수학 교과에 대한 가치 인식도 긍정적이고, 학부모의 수학 관련 교육 참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학습 활동에 대한 인식 측면에서 교육 프로그램 참여 의지는 중·고등학생 학부모가 초등학생 학부모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학 교과 전반에 대한 만족도 또한 초등학생 학부모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부모들은 미래 신기술을 활용한 수업 및 인공지능이나 데이터 분석 능력을 함양하기 위한 수학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이는 교육전문가들이 향후 진지하게 고민해보아야 할 과제로서 학부모가 참여하는 수학교육의 확대, 미래 수학학습을 위한 수학 학습 환경의 조성, 수학교육 관련하여 다양한 학부모 교육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안전보건교육과정별 참여도 및 교수방법 변경 후 만족도 비교 (Comparison of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after a Change of a Teaching Method in Safety and Health Training Courses)

  • 어원석;이상민;조인옥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60-72
    • /
    • 2021
  •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level of participation in and satisfaction with training courses at job training institutions and to improve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through changes in the training method for industrial ventilation subjects. Methods: The results were analyzed for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by t-test and ANOVA, (p=0.05). Participation rates were examined for three courses: specialization, job training, and supervisory. The participation inthe education was 428 people, and the result of satisfaction with the change of education method was 878 people. Satisfaction was investigated for the specialized curriculum and job training curriculum,but not the supervisor curriculum. The satisfaction results for six items(contents, quality, skill, level, degree of understanding, degree of practical)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training medium and the method among people in one occupational ventilation subject. Results: The participation rate was similar in the job training and specialized training courses, but the lowest rate was in supervisory courses(p=0.05). In general, there was the lowest participation on the first day of education, and the participation rate improved after the second day. Satisfaction with the course was high for the specialized education course with a number of practical education assignments(p=0.278). The satisfaction level for the teaching method in the industrial ventilation subjects was high in a mixed group which combined lecture and practice. The industrial ventilation course in the basic job training course showed a difference between lecture and mixed education(p=0.111),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However, the industrial ventilation course in the advance job training course showed a clear difference between lecture and the mixed education(p=0.036). Conclusions: Therefore, the first day of training should start in the afternoon so that more trainees can participate, and it is recommended to assign important subjects after two days. In addition, it is suggested that job competency-enhancing education utilize various educational methods and m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