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교수실재감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24초

비대면 원격 수업에서 간호대학생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Academic Achievement of Nursing Students in Non-face-to-face Distance Learning)

  • 박순아;이승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5호
    • /
    • pp.111-119
    • /
    • 2022
  • 연구의 목적은 비대면 원격 수업에서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 교수실재감, 학습몰입, 학업성취도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학업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하기 위함이다. 2021년 6월 1일부터 6월 20일까지G시에 위치한 일 개 대학 간호대학생 150명을 편의표집 하였으며, 부적절한 응답자를 제외한 146명의 자가보고 설문지를 SPSS/WIN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지각된 학업 성취도는 자기주도학습능력, 교수실재감. 학습몰입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회귀분석 결과 학습몰입, 자기 주도 학습능력과 교수실재감은 학업성취도에 대해 67.0%의 설명력을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토대로 비대면 수업에서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 교수실재감, 학습몰입을 함께 향상 시킬 수 있는 수업설계와 맞춤형 교육방법을 적용한다면 학업성취도 향상에 더 효과적일 것이다.

사이버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시간과 환경관리, 교수실재감, 몰입, 만족도간의 관계 규명 (The Relationship among Academic Self-Efficacy, Learning Time, Environment Management, Teaching Efficacy, Learning Flow, and Satisfaction of Cyber University Students)

  • 주영주;정애경;이상회;김지현
    • 전자공학회논문지 IE
    • /
    • 제48권4호
    • /
    • pp.53-60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사이버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시간과 환경관리, 교수실재감, 몰입, 만족도간의 관계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2011년 W사이버대학 학생 317명을 대상으로 2주 동안 웹 설문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시간과 환경관리, 교수실재감은 몰입(${\beta}$=.712, p<.05)과 만족도(${\beta}$=.531, p<.05)를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또한 몰입은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시간과 환경관리, 교수실재감과 만족도을 매개하는 변수임을 확인 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사이버대학생의 학습효과와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운영전략을 제시하였다.

모바일러닝에서 실재감, 서비스의 질, 학습몰입 및 학습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 규명 (Identification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resence, Service Quality, Flow and Learning Satisfaction in Mobile Learning)

  • 주영주;정애경;강정진;정보경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169-175
    • /
    • 2015
  • 이 연구의 목적은 모바일 학습환경에서 교수실재감, 인지적 실재감, 사회적 실재감, 서비스 질, 학습몰입과 학습 만족도 간의 구조적인 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설문조사는 국내 W 디지털대학교에서 모바일서비스를 사용하는 학습자 255명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인지적 실재감, 사회적 실재감, 서비스 질은 학습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인지적 실재감, 서비스 질, 학습몰입은 학습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결과를 토대로 모바일러닝 환경에서 학습몰입과 학습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전략을 제시하였다.

교수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이 대학생의 감성적 실재감, 라포 및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Instructor's Non-verbal Communication on College Student's Emotional Presence, Rapport and Learning Satisfaction)

  • 송윤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0호
    • /
    • pp.259-267
    • /
    • 2020
  • 수업은 교수자와 학습자 간의 커뮤니케이션을 기반으로 이루어진다. 수업에서 교수자의 언어적 커뮤니케이션과 더불어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학습과정과 학습성과에 영향을 준다는 점에 관심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를 근거하여 교수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과 연계된 학습자의 학습과정 변인으로 감성적 실재감과 라포, 학습성과 변인으로 학습만족도를 정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수업에서 교수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과 대학생의 감성적 실재감, 라포 및 학습만족도 간의 관계를 구조적으로 규명하는 데 있다. 경기지역 A대학교 및 대전지역 K대학교의 재학생 378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구조방정식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교수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은 대학생의 감성적 실재감과 라포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감성적 실재감은 라포와 학습만족도에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라포는 학습만족도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교수자는 수업 중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의 역할을 인식하고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결과는 대학 수업에서 교수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활용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대학 수업의 교수실재감과 상호작용이 PAD와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rofessor Presence and Interaction on PAD and Satisfaction in a University Class)

  • 정윤희;박지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7호
    • /
    • pp.144-157
    • /
    • 2017
  • 현재 학생 수 감소로 인해 대학별로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노력들을 기울이고 있는데, 특히 대학의 핵심서비스인 수업만족도 향상은 경쟁력에서 중요한 부분이다. 이런 중요성으로 인해 수업만족도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수업의 감정적 부분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다. 만족도의 중요한 요인이 감정임을 볼 때, 수업도 마찬가지로 이러한 감정의 영향을 살펴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많은 연구에서 만족의 선행요인으로 확인된 PAD(Pleasure, arousal, dominance)를 대학수업에 적용하여 대학 수업의 감정적 측면을 부각시키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감정을 자극하는 변수로서 교수실재감과 교수-학습자 상호작용, 학습자간 상호작용을 제시하고 PAD와 수업만족도와의 관계를 설정하고 검증하였다. 219명의 대학생 표본을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해 분석한 결과, 교수실재감은 교수-학습자 상호작용에 영향을 주고, 즐거움, 각성, 지배감과 같은 감정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교수-학습자 상호작용은 즐거움과 각성에 영향을 주고, 학습자간 상호작용은 즐거움, 각성, 지배감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즐거움, 각성, 지배감은 모두 수업만족도를 유의하게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주로 수업의 인지적 부분에 집중하던 기존 연구에 다른 시각을 제공해주며, 수업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에 있어 감정을 자극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이나 수업방식을 개발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자기결정성 이론에 기반한 게이미피케이션 이러닝 수업이 대학생의 수업참여도, 학습몰입도, 교수실재감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Gamification E-Learning Classes Based on Self-Determination Theory on University Students' Class Participation, Learning Immersion, Teaching Presence)

  • 허명;진상우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6호
    • /
    • pp.73-83
    • /
    • 2023
  • 이 연구는 자기결정성이론에 기반한 게이미피케이션 이러닝 수업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 기간은 2023년 3월 1일부터 6월 15일까지 G광역시 G대학교 학생 59명을 대상으로 강좌 전후 수업참여도, 학습몰입도, 교수실재감을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IBM SPSS/Win 26.0을 이용하였으며 서술통계, 분산분석(ANOVA), 공분산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자기결정성 기반 게이미피케이션 수업은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의 수업참여도, 학습몰입도, 교수실재감을 유의하게 향상시켰다(p<.05).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이 사후 검사의 결과에 영향을 미쳤는지 알아보기 위해 공분산분석(ANCOVA) 실시한 결과, 성별이 학습몰입도의 사후 검사 결과에 영향을 미쳤으며, 그 영향력은 7.9%였다. 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자기결정성 기반 게이미피케이션 이러닝수업이 학습자의 수업참여도, 학습몰입도, 교수실재감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대학에서 이러닝의요구가 확대되고 있으므로 자기결정성 기반 게이미피케이션 이러닝 수업이 교양 및 전공영역에서 다양하게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웹기반 이러닝에서 자기조절학습전략과 실재감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and Presence on Academic Achievement in Web-based e-learning)

  • 박지혜;이영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215-227
    • /
    • 2018
  • 웹기반 이러닝 학습자의 증가로 이러닝 학습효과 증진방안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 중에서 자기조절학습전략과 실재감은 이러닝 학습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H 원격대학교 재학생 37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해 웹기반 이러닝 학습에서 자기조절학습전략과 실재감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하였다. 또한 자기조절학습전략이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실재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서 이러닝 학습의 성공적인 지원과 설계에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웹기반 이러닝 학습에 있어서 자기조절학습전략과 인지된 성취도의 관계에서 교수 실재감과 사회적 실재감은 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실재감이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학습자의 인지된 성취도가 매개역할을 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웹기반 이러닝 학습 설계 시, 학습자의 교수 실재감과 사회적 실재감의 수준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할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대학 플립드러닝에서 수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학습실재감의 매개효과 규명 (Investigating factors influencing Educational Performanceand mediating effects of learning presence of University Flipped Learning Classroom)

  • 전정아;이정민;배윤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2호
    • /
    • pp.1-11
    • /
    • 2019
  • 본 연구는 대학 플립드러닝에서 수업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규명하고 학습실재감의 매개효과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학습자 변인으로 자기조절과 학습실재감, 협력지향성을 선정하였으며, 학습성과 변인으로는 지각된 학업성취와 학습참여를 선정하였다. 변인 간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대학생 39명을 대상으로 16주간 플립드러닝 수업을 실시하고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수집된 데이터를 다중회귀분석 및 매개분석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실재감과 자기조절은 학습참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더 나아가 학습실재감은 자기조절과 학습참여 관계를 유의하게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각된 학업성취의 경우 학습실재감만이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대학 플립드러닝의 성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자기조절, 학습실재감, 학습참여를 고려한 다양한 교수 학습전략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온라인 영재교육에서 담화촉진, 도전감, 학습결과간의 관계 (A Relationship among Facilitating Discourse, Students' Perceived Challenge, and Learning Outcomes in an Online Science Gifted Education)

  • 최경애;이성혜
    • 영재교육연구
    • /
    • 제26권3호
    • /
    • pp.541-559
    • /
    • 2016
  • 본 연구는 중학생 대상의 온라인 과학영재교육 프로그램에서 교수실재감의 하위요소 중 하나인 담화촉진 요소와 도전감, 학습결과 변인인 지속수강의사 및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를 밝히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은 K대학 온라인 과학영재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중학생 245명이었으며, 연구도구로는 Shea, Swan과 Pickett(2005)의 교수실재감 문항 중 담화촉진 6문항과, Gentry와 Owen(2004)이 개발한 SPOCQ 도구의 도전감 5문항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담화촉진 인식수준이 높을수록 학습자가 느끼는 도전감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담화촉진 인식수준이 학습결과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은 지속수강의사와는 정적인 관련이 있으나, 학업성취도와는 부적인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도전감은 지속수강의사 및 학업성취도와 정적인 관계에 있으며 넷째, 도전감은 담화촉진 정도와 지속수강의사 및 학업성취도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습자가 온라인수업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대화로부터 도움을 받고 있다고 느낄 때 수업에 대한 도전감이 높아지며, 높아진 도전감이 궁극적으로 지속수강의사와 학업성취도 같은 학습결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의미한다. 따라서 온라인교육을 실시할 때는 학생들의 도전감을 높일 수 있도록 학생들의 참여와 토론을 촉진하는 적극적인 노력이 수반될 필요가 있다.

대학의 온라인 수업지원이 학습실재감을 매개로 학습참여도에 미치는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An analysis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for the effect of university's online class support on learning participation through learning presence)

  • 김지효;임희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5호
    • /
    • pp.269-277
    • /
    • 2021
  •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의 온라인 수업에 대한 대학의 운영 및 시스템지원이 학습실재감을 매개로 학습참여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구성요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온라인수업으로 이루어지는 공통교양과목 중 '대학영어2' 수강생 135명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 모형의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연구모형의 적합도 분석과 경로구조 분석을 실시했다. 연구결과, 첫째, 온라인 수업환경에 대한 대학의 운영지원이 학습자의 학습실재감에 정적인 영향을 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온라인 수업환경에 대한 대학의 운영지원이 학습실재감을 완전매개하여 학습참여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대학의 온라인 수업에서 환경특성 요인인 온라인 수업에 대한 지원, 학습자 특성 요인으로 학습실재감, 학습참여도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여 온라인 학습장면에서 학습참여도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교수·학습 설계에 고려해야 하는 시사점을 제시해 주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지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