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교사-유아관계

검색결과 341건 처리시간 0.022초

유아의 사회적 행동과 또래선호 간의 관계에서 교사-유아관계의 매개 및 중재 효과 (The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s of Teacher-Child Relationships on Social Behavior and Peer Preference)

  • 윤수정;신유림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50권5호
    • /
    • pp.67-77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s of teacher-child relationships on children's social behavior and peer preference. The participants were 508 children and 28 head teachers of their classes. Teachers measured the children's social behavior and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s. Peer preference was measured by peer nomination. The association between prosocial behavior and peer preference was partially mediated by teacher-child conflict. The association between withdrawal, aggression and peer preference was fully mediated by teacher-child conflict. The moderating effects of teacher-child conflict were found between prosocial behavior and peer preference. In addition, teacher-child conflict moderated the association between physical aggression and peer preference.

유아기 긍정적.부정적 또래상호작용에 관련된 변인 연구 (A Study on Variables related to Positive and Negative Peer Interactions of Young Children)

  • 이지희;김혜연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8권6호
    • /
    • pp.301-322
    • /
    • 2012
  • 본 연구는 또래상호작용에 대한 성별과 연령에 따른 차이와 유아의 기질, 정서조절능력, 어머니의 정서표현성 및 교사-유아 관계와의 관계와 이들 변인의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했다. 본 연구는 만 4, 5세 유아 217명과 그들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유아의 기질, 정서조절능력, 어머니의 정서표현성, 교사-유아 관계가 설문도구로 사용되었다. 연구방법은 t검증,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통해 알아보았다. 연구결과는 첫째, 유아의 긍정적 또래 상호작용은 남아가 여아보다 높게 나타났고, 부정적 또래상호작용은 남아가 여아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유아의 긍정적 또래상호작용은 만 5세가 만 4세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사회성이 높고 수줍음이 낮을 수록 긍정적 또래상호작용이 높고, 활동성과 수줍음이 높을수록 유아의 부정적 또래상호작용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이 높을 수록 긍정적 또래상호작용이 높고 정서조절능력이 낮을 수록 부정적 또래상호작용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정서표현성이 높을 수록 긍정적 또래상호작용이 높고 정서표현성이 낮을 수록 부정적 또래상호작용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와 유아간의 친밀감이 높고 갈등이 낮을 수록 긍정적 또래상호작용이 높고 친밀감이 낮고 갈등이 높을 수록 부정적 또래상호작용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또래상호작용에 대한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이 가장 큰 변인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목표 관점 및 다문화감수성과 다문화교수효능감 간의 관계 분석 (The Relationship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n the Purpose of Multicultural Education, Multicultural Sensitivity and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 김미진;김혜진;손유진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63-83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수효능감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다문화감수성과 다문화교육목표 관점의 전반적인 인식 수준과 배경변인별 인식 수준의 차이를 밝히고, 유아교사의 다문화감수성과 다문화교육목표가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유아교사 283명이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목표 관점은 배려중심의 관점이 가장 높았고, 다문화감수성은 평균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경력과 연령, 학력에 따라 다문화감수성과 다문화교육목표에 대한 인식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다문화감수성과 다문화교육목표의 네 가지 관점은 다문화교수효능감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다문화 감수성이 다문화교수효능감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쳤으며, 다문화교육목표의 네 가지 관점 중에서 배려중심 관점과 사회적 행동 관점이 다문화교수효능감의 하위변인에 미치는 영향력이 실증적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수효능감을 향상시켜 유아교사의 다문화 교육역량을 강화시키는 방안을 마련하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 job stress on the turnover intention and job satisfaction)

  • 임난주;김안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8호
    • /
    • pp.4972-4980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유아교사 2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자료처리를 SPSS 19.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독립변인이 종속변인을 예측하는 유용한 변인인지를 알아보기 위해 단순회귀분석과 중다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교사의 이직의도에 대한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의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 중 원장의 지도력 및 행정적 지원 부족과 업무과부하로 인해 스트레스를 높게 지각하며 이직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만족의 하위요인 중 근무환경과, 직무자체의 특성이 이직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직무만족이 부분매개효과를 거의 갖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한 결과, 매개변인의 효과가 유의미 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예비유아교사의 문화적 공감능력이 다문화 감수성과 다문화 교육 이해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Empathy and cultural impact of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on multicultural education and multicultural sensitivity and understanding attitude)

  • 박지영;조경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0호
    • /
    • pp.439-448
    • /
    • 2016
  •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문화적 공감능력과 다문화 감수성과 다문화 교육 이해 및 태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문화적 공감능력이 다문화 감수성과 다문화 교육 이해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Y지역의 전문대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165명의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예비유아교사의 문화적 공감능력, 다문화 감수성, 다문화 교육이해 및 태도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Pearson의 상관관계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문화적 공감능력과 다문화 감수성, 다문화 교육 이해 및 태도는 전체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문화적 공감능력은 다문화 감수성, 다문화 교육 이해 및 태도를 의미 있게 예측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문화적 공감능력은 다양한 요인을 매개로 변화되므로 예비유아교사의 문화적 공감능력을 높일 수 있는 요인들을 조사하고 교육 프로그램에 적용하는 후속연구가 요구된다. 문화적 공감능력은 다문화 교육, 누리과정의 예술경험 영역에의 접근뿐만 아니라 교육과정 전반적인 부분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연구들이 이루어져야 한다.

유아의 활동성 기질과 자기조절능력과의 관계: 어머니-유아 관계, 교사-유아 관계의 중재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Activity Temperament and Self-Regulation Ability in Young Children: The Moderating Effects of Mother-Child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s)

  • 서은희;이미숙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0권2호
    • /
    • pp.27-46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moderating effects of mother-child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s in regar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activity temperament and self-regulation ability in young children. The participants were 236 mothers and 15 teachers who were in charge of children, who were 5 years old in kindergartens or childcare facilities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The key research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the children's activity temperament exerted negative influence over their behavioral and emotional self-regulation ability. Secondly, it was found that an affectionate relationship between mother and child was proven to have some moderating effect, thus influenc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ctivity temperament and self-regulation ability in a child. Anyway, there was no moderating effect of the rejection in mother-child relationship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tivity temperament and self-regulation ability in a child. Thirdly, it was found that both intimacy and conflict in teacher-child relationships had no moderating effects when it came to the relationship between activity temperament and self-regulation ability in young children.

예비유아교사의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 연구 (A Study on the Perception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on Climate Change)

  • 김세루
    • 보건의료생명과학 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379-386
    • /
    • 2022
  •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G광역시 G대학교 예비유아교사 15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지를 수집하여 빈도와 백분율, 다중응답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기후변화 인식은 모두가 인지하고 있었으며, 온실효과 개념, 기후변화개념, 온실가스 종류에 대해 충분한 이해가 요구되며 과학적 지식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기후변화와 인간과의 관계에 대해 지구온난화 원인과 기후변화신호에 대해 적절하게 인식하고 있으며 지구온난화 영향에 대한 인식은 높았으나 종합적인 이해는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예비유아교사의 기후변화 대응에 대해 기후변화협약은 어느 정도 알고 있으며 기후변화 방지 주체는 국제사회로 인식하고 기후완화노력은 개인에 한정되어 나타났다. 생활 속 탄소 배출 감소를 위한 실천내용에 있어서 대부분 잘 실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기후변화에 대한 예비유아교사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예비유아교사의 놀이경험과 놀이성, 그릿 간의 관계 분석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lay experience, playfulness, and grit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 박선미
    • 보건의료생명과학 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41-49
    • /
    • 2021
  •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어린 시절 놀이경험과 놀이성, 그릿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그릿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과 충남, 전북지역의 전문대학 유아교육과 2, 3학년 총 164명을 대상으로 구글 설문을 활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1.0을 이용하여 연구문제에 따라 t 검정과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변인별 일반적 경향 및 학년에 따른 차이를 분석한 결과 예비유아교사의 놀이성은 평균보다 약간 높고, 그릿은 평균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놀이경험과 놀이성, 그릿 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각 변인 간에는 일부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다. 셋째, 놀이경험과 놀이성이 그릿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그릿에 대해 놀이경험은 약 10%, 놀이성은 약 30%의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그릿 증진 프로그램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유아교사의 인성에 따른 유아 인성교육의 인식 및 실태 (A study on Teacher's Perception, the actual condition for the Early Childhood Character Education depend on Teacher's Personality)

  • 손은경;유지은;김숙희;손혜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8915-8926
    • /
    • 2015
  •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인성과 개인변인에 따른 인성의 차이를 살펴보고, 유아교사의 인성 집단에 따른 유아 인성교육에 대한 인식, 실태를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다. 이에 충청도 D시에 근무하고 있는 유아교사 194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유아교사의 인성은 경력과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둘째, 유아 인성교육에 대한 인식에서는 유아교사는 인성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공감하고 있었으나 그에 따른 실천방법에 대한 부재가 장애요인이었다. 셋째, 인성이 높은 집단은 교사의 인간관계 덕목과 생명존중 및 인간애가 중요한 덕목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유아 인성교육에 대한 실태에서는 유아 인성교육의 목적을 인간존중으로 보았으며 바른 가치관이 교육의 내용으로 전 영역을 통한 지도를 해야 한다고 인식하였다. 다섯째, 인성이 낮은 집단의 교사는 직무수행이 교사의 덕목이며 유아는 예절이 필요한 덕목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인성교육의 목적과 내용을 예절교육이라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가정과의 연계를 통한 지도가 바람직하다고 인식하였다. 이에 유아에게 인성교육을 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교사 자신 스스로 반성적 사고를 할 수 있는 기회가 필요하다.

예비유아교사의 교직인성과 교직윤리의식이 교사역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eacher Disposition and Teaching Ethics on the Teacher Competenc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 김영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278-287
    • /
    • 2021
  • 이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전공 학생들의 교직인성과 교직윤리의식이 교사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대상자는 I시에 소재하는 있는 예비유아교사 211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2.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및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또한 신뢰도 검증으로 Cronbach's α를, 각 변인간의 관련성으로 상관관계 분석, 다면적 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에 대하여 첫째, 예비유아교사들이 지각한 교직인성에서는 도덕성과 교육적신념이, 교직윤리의식에서는 영유아에 대한 윤리 및 가정에 대한 윤리가, 교사역량에서는 교육과정 이해와 유아보호 및 유아 학습지원이 가장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들이 교직인성, 교직윤리의식, 교사역량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예비유아교사들의 교직인성의 하위요인과 교직윤리의식의 하위요인이 교사역량의 모두에 긍정적인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로 볼 때, 유아교육 전공 학생들의 교사역량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여 질 높은 유아교육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는 올바르고 긍정적인 교사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다각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