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Relationship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n the Purpose of Multicultural Education, Multicultural Sensitivity and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목표 관점 및 다문화감수성과 다문화교수효능감 간의 관계 분석

  • Received : 2015.04.15
  • Accepted : 2015.06.09
  • Published : 2015.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ulticultural sensitiv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ir perception on the purpose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any possible differences in those regards according to their background variables in an effort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the multicultural sensitiv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ir perception on the purpose of multiculitural education on multicultural sensitivity, as the two variables were closely bound up with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83 selected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for perception on the purpose of multicultural education, caring-centered perception was most common among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ir scores in multicultural sensitivity were a little above average.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teachers in multicultural sensitivity and perception on the purpose of multicultural education according to career, age and academic credential. Third, multicultural sensitivity and four perceptions on the purpose of multicultural educa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Multicultural sensitivity exerted the largest influence on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Among the four perceptions of the purpose of multicultural education, caring-centered perception and social action-centered one turned out to have an impact on the subvariables of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This study will provide basic information to prepare some solutions that enforce ealry childhood teachers' mulitucultutral education ability by improving their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수효능감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다문화감수성과 다문화교육목표 관점의 전반적인 인식 수준과 배경변인별 인식 수준의 차이를 밝히고, 유아교사의 다문화감수성과 다문화교육목표가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유아교사 283명이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목표 관점은 배려중심의 관점이 가장 높았고, 다문화감수성은 평균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경력과 연령, 학력에 따라 다문화감수성과 다문화교육목표에 대한 인식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다문화감수성과 다문화교육목표의 네 가지 관점은 다문화교수효능감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다문화 감수성이 다문화교수효능감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쳤으며, 다문화교육목표의 네 가지 관점 중에서 배려중심 관점과 사회적 행동 관점이 다문화교수효능감의 하위변인에 미치는 영향력이 실증적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수효능감을 향상시켜 유아교사의 다문화 교육역량을 강화시키는 방안을 마련하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순미, 이세나 (2013). 다문화그림책을 활용한 유아문학교육 프로그램이 예비유아교사의 다문화 감수성과 다문화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4(4), 335-354.
  2. 견주연, 하은실, 정계숙 (2012). 유아 교실 내 다문화교육 수행에 대한 교사 인식 및 실제. 아동학회지, 33(3), 177-192. https://doi.org/10.5723/KJCS.2012.33.3.177
  3. 곽윤숙 (2010). 유아교육 학술지에 게재된 다문화교육 관련 연구 분석: 유아교육연구(2000년-2010년)을 중심으로. 다문화교육연구, 3(2), 141-161.
  4. 김나림, 권이정 (2014).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다문화교육 목표에 대한 관점, 다문화교육에 대한 태도와 다문화 교수효능감과의 관계.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0(5), 83-100. https://doi.org/10.14698/JKCCE.2014.10.5.083
  5. 김대영, 이성숙 (2014). 초등학교 예비교사의 다문화교육 목표에 대한 인식과 다문화적 효능감에 관한 연구.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7(4), 145-161.
  6. 김연권 (2009). 다문화 사회와 한국어. 시학과 언어학, 17, 7-33.
  7. 김옥순 (2008). 한.중 예비교사들의 문화 간 감수성 비교연구. 비교교육연구, 18(1), 193-217.
  8. 김정덕, 모경환 (2011). 문화성향과 다문화 감수성 관계 연구. 교육문화연구, 17(3), 193-226.
  9. 김혜자 (2009). 다문화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효능감 및 교육 실제.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0. 김혜진, 김미진, 손유진 (2014). 유아교사의 다문화 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간의 구조모형 분석: 다문화감수성, 다문화신념, 다문화교육 인식을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34(6), 255-274.
  11. 노경란 (2012). 예비 중등교사의 문화 대응적 교수 자기효능감이 다문화교수능력에 미치는 영향:여자대학교 사범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연구, 53, 243-277.
  12. 모경환, 황혜원 (2007). 중등 교사들의 다문화적 인식에 대한 연구: 수도권 국어, 사회과 교사를 중심으로. 시민교육연구, 39(3), 79-100.
  13. 배문조, 박세정 (2013). 예비보육교사의 다문화 감수성과 보육교사 전문성 인식이 다문화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78, 139-164.
  14. 서현, 이승은 (2009). 다문화 관련 유아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4(4), 89-116.
  15. 서혜은, 손유진 (2013). 보육교사와 부모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개념도 분석. 유아교육연구, 33(1), 323-334.
  16. 성태제 (2010). 알기 쉬운 통계분석: 기술통계에서 구조방정식모형까지. 서울: 학지사.
  17. 우희숙 (2010). 예비교사의 다문화 멘토링 참여 경험에 대한 사례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27(4), 141-165.
  18. 윤갑정, 김미정 (2010). 다문화시대 유아교사에게 요구되는 문화적 역량의 구성요소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30(3), 169-194.
  19. 이광현 (2012).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성과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연구. 지방교육경영, 16(1), 90-111.
  20. 이규림, 김영옥 (2010). 다문화적 접근에 의한 통합 활동의 효과. 열린유아교육연구, 15(6), 75-102.
  21. 전재영 (2012). 학교 다문화교육의 성격 및 목표 체계화에 관한 연구. 교육학연구, 50(1), 131-159.
  22. 정대현 (2009). 유아교사의 인적 변인과 다문화교육 신념이 교수 실제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58, 219-241.
  23. 정성진, 임은미 (2012).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역량강화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아동교육, 21(4), 67-80.
  24. 정혜욱 (2012). 예비유아교사의 문화성향이 다문화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 감수성의 매개효과. 유아교육연구, 32(3), 309-329.
  25. 진정선, 송승민, 박수정 (2014). 유아교사의 다문화 감수성과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관계에서 다문화 수용태도의 매개효과. 아시아아동복지연구, 12(3), 169-186.
  26. 채영란 (2008). 유아교사의 다문화 교육에 대한 인식과 다문화적 교사효능감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12(3), 165-190.
  27. 최충옥, 모경환 (2007). 경기도 초중등 교사들의 다문화적 효능감에 대한 조사 연구. 시민교육연구, 39(4), 163-182.
  28. 최현정, 우민정 (2012). 예비유아교사의 다문화 태도 및 다문화 효능감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학논총, 16(5), 315-338.
  29. 황해익, 송연숙, 최혜진, 손원경 (2008). 영유아 아동연구에서의 SPSS 자료분석. 서울: 창지사.
  30. 황혜원 (2007). 중등 사회과 교사들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1. Bennett, C. (2007). Comprehensive multicultural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6th ed.). Boston, MA: Pearson.
  32. Chen, G. M. & Starosta, W. J. (2000).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intercultural sensitivity scale. Paper presented at the 86th annual meeting of the National Communication Association, Seattle.
  33. Dilworth, P. (2004). Multicultural citizenship education: Case studies from social studies classrooms. Theory and Research in Social Education, 32(2), 153-186. https://doi.org/10.1080/00933104.2004.10473251
  34. Guyton, E. M., & Wesche, M. V. (2005). The multicultural efficacy scale: Development, item selection, and reliability. Multicultural Perspective, 7(4), 21-29. https://doi.org/10.1207/s15327892mcp0704_4
  35. Hammer, M. R., Bennett, M. J., & Wiseman, R. (2003). Measuring intercultural sensitivity: The intercultural development inventory.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cultural Relations, 27(4), 421-443. https://doi.org/10.1016/S0147-1767(03)00032-4
  36. Ladson-Billings, G. (1995). Culturally relevant teaching. Theory into Practice, 34(3), 159-165. https://doi.org/10.1080/00405849509543675
  37. Pang, V. O. (2005). Multicultural education: A caring-centered, reflective approach (2nd ed.). New York: McGraw Hill.
  38. Sleeter, C. E., & Grant, C. A. (2007). Making choice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Five approaches to race, class, and gender (5th ed.). Hoboken, NJ : John Wiley & Sons.
  39. Villegas, A. M., & Lucas, T. (2002). Preparing culturally responsive teachers: Rethinking the curriculum.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53(1), 20-32. https://doi.org/10.1177/0022487102053001003
  40. You, J. K. (2000). Early Childhood Teachers' Beliefs and Practices Regarding Multicultural and Antibias Educa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Cited by

  1. Predict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e vol.23, pp.3, 2017, https://doi.org/10.24159/joec.2017.23.3.2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