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교사 지식

검색결과 1,442건 처리시간 0.024초

미국 수학교사 전문성 신장 프로그램에 관한 소고 (Reflections on U.S. Professional Development in Mathematics Education)

  • 이수진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5권2호
    • /
    • pp.349-369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수학교육분야에서 전문성 신장 프로그램 연구 및 수행에 대한 고찰을 통해 드러나는 다섯 가지 중요한 범주들이 기술되었다: (1) 효율적인 지원 공동체 수립, (2) 교사 지식에의 주목, (3) 학생의 학습에 대한 지식을 기반으로 한 교사지식의 구성, (4) 인식기반 및 개념기반 관점, (5) 장기간에 걸친 현장에서의 교사교육. 결론에서는 바람직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이 포함해야 할 요소들과 앞으로 이 분야에서 이루어져야할 연구방향 등이 제시된다.

  • PDF

교사들의 등분제 분수 나눗셈 지식에 관한 연구 (Exploring Teachers' Knowledge of Partitive Fraction Division)

  • 이수진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4권1호
    • /
    • pp.45-64
    • /
    • 2012
  • 본 정성 연구에서는 교사들의 등분제 분수 나눗셈에 대한 지식을 분석하였다. 자료 수집은 13명의 교사들이 참여한 분수, 소수, 비례 등에 대한 주제를 다룬 40시간의 교사교육 프로그램으로부터 수집되어 일부분이 활용되었으며, 교사들의 등분제 분수 나눗셈 지식을 세밀하게 분석하기 위해 두 가지 지식 요소들 (단위에 대한 지식, 분할 조작)을 분석틀로 사용하였다. 그 결과, 제수와 피제수가 서로소인 등분제 나눗셈 문제 상황을 다루는 능력이 두 지식 요소의 사용여부와 수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두 단계의 단위 구조만을 가지고 추론한 교사의 경우 한 사람의 몫을 주어진 단위로 정확하게 나타낼 수 없었다는 점에서 제한점을 보였으며, 세 단계의 단위 구조를 가지고 추론한 교사는 다양한 분할 조작과 참조 단위의 활용으로 보다 유연하게 문제 상황에 대처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 PDF

초등학교 교사의 등호 개념에 관한 지식분석 사례 연구 (An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Knowledge of Concept of Equality)

  • 정호정;최창우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11-236
    • /
    • 2014
  • 본 연구는 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등호 개념에 대한 교사의 지식을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등호 개념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지식을 내용 지식과 교수 지식으로 나누어 분석 하였다.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구광역시 달서구에 소재하는 P초등학교에서 저, 중, 고학년을 담당하는 교사 3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등호에 대한 교사 지식 분석을 위한 질문지를 개발하여 반구조화 된 면담, 수업관찰, 비디오촬영 등을 통해 각 교사의 지식을 알아보았다.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학생들의 등호 개념 지도 시 필요한 교사 지식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PDF

예비교사의 프로그래밍 교수내용지식 향상을 위한 프로그래밍 교육프로그램 설계 (Designing Programming Curriculum for Developing Programm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Pre-service Informatics Teachers)

  • 안상진;이영준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1-10
    • /
    • 2016
  • 본 연구는 프로그래밍 교육을 효과적으로 실시하기 위한 실제적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프로그래밍 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적용하여 예비교사의 프로그래밍 교수내용지식의 변화를 확인한 연구이다. 제작된 교육 프로그램에서는 블록 기반 모바일 프로그래밍 언어인 앱 인벤터를 사용하였고, 문제 기반 학습 방법과 프로젝트 기반 학습 방법을 활용하였다. 개발된 교육프로그램을 예비정보교사에게 교육하고 프로그래밍 교수내용지식을 확인하기 위한 평가문항으로 자기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문제 기반 학습 방법으로 프로그래밍을 학습한 후 프로그래밍 교수내용지식 점수와 교수법영역 지식의 점수가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프로젝트 기반 학습 방법을 적용한 후 내용지식영역, 교수법영역, 교육과정영역의 점수가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유아역사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개념도 분석 (Analysi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Concept Map on the Contents of Histor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 민보경;이시자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187-208
    • /
    • 2017
  • 본 연구는 인천광역시에 소재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 중인 유아교사 60명을 대상으로 Novak과 Gowin(1984)이 고안한 개념도를 사용하여 유아교사가 지닌 유아역사교육에 대한 내용지식 및 그 지식수준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구체적으로, 연구자는 유아교사와의 소그룹 면담을 실시하여 유아역사교육에 대한 개념도를 작성하도록 요청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들에 의해 사용되어진 유아역사교육의 상위개념의 범주는 11개로 확인되었으며, 그 가운데, 교사들이 가장 많이 사용한 상위개념은 '생활양식', 그 뒤를 이어 '문화/예술', 위인'의 순서로 조사되었다. 둘째, 특정 상위개념에 포함된 종속개념 수의 평균을 알아본 결과, '생활양식'이 가장 많은 종속개념을 가지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 문화/예술, 활동방법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교사가 알고 있는 유아역사교육 내용 가운데 '생활양식'에 대한 지식의 폭이 가장 넓다는 것을 의미하며, 교수-학습 방법의 지식 폭도 상대적으로 넓은 것으로 확인된다. 하지만 위인의 경우는 상위개념에서 빈번하게 확인되었으나 종속개념에서는 그렇지 않아, 그 지식의 폭이 좁은 것으로 확인된다. 학자들은 교사의 교과내용에 대한 관심과 지식이 높을수록 다양한 교수 방법을 활용하여 확장, 분화하여 가르칠 수 있다고 설명한다. 따라서 유아역사교육에 대해서도 교사의 지식이 깊고 체계화되어야 하며 이를 위한 교사 재교육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 하겠다.

반성방법의 차이가 예비 지리교사의 수업전문지식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Reflective Thinking Methods on Improvement of Pre-service Geography Teacher's Teaching Knowledge)

  • 이소영;오정준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459-476
    • /
    • 2011
  • 본 연구는 반성방법의 차이에 따른 예비 지리교사의 수업전문지식 변화를 파악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l차 모의수업 결과를 토대로 통일한 수준에 있는 데 명의 예비교사들을 선정한 후, 각각 상이한 반성을 거쳐 2차 모의수업을 실시하도록 하였다. 이 때 각각의 수업에 대한 동료평가를 실시함으로써 예비교사들의 수업전문지식 구비정도를 파악했고, 1차 및 2차 수업 간의 점수를 비교함으로써 반성방법의 차이에 따른 수업전문지식의 변화 양상을 파악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1차와 2차 모의수업을 비교해본 결과 모든 예비교사의 평균점수가 상승했지만, 반성하지 않거나 자기반성을 행한 예비교사에 비해 전문가와의 협력적 반성을 행한 예비교사의 점수가 큰 폭으로 향상되었다. 다음으로 자기반성을 통해 반성적 성찰지를 작성한 예비교사의 경우 반성적 사고는 가능했지만 반성적 실천으로 이어지는 데에는 한계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내용지식의 향상은 전문가와의 협력적 반성을 행한 예비교사에게만 나타났다. 특히 영역과 학습자에 대한 이해 영역에서 유의미한 통계 값이 나타났다. 이를 통해 내용이나 상황영역 부문은 예비교사 스스로의 자기반성 및 반복적 수업 실연을 통해서도 향상될 수 있지만, 영역과 학습자에 대한 이해 영역은 조력자의 도움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도출할 수 있었다.

  • PDF

초등교사의 정보교과 교수내용지식(PCK)에 대한 인식과 교수 가능성과의 관계 분석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PCK and Possibility of Teaching about Informatics Subject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 황준영;김자미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63-73
    • /
    • 2017
  • 2015 개정교육과정에서는 초등학교 실과교과에서 17시간의 정보 수업을 필수로 진행하도록 하고, 교수-학습방법으로 언플러그드를 권장하고 있다. 언플러그드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교사의 정보교과 교수내용지식 수준이 높아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들의 정보교과 교수내용지식에 대한 인식과 교수 가능성과의 관계를 밝히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목적 달성을 위해 초등교사 172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현직 초등학교 교사들은 정보교과 교수내용지식 수준이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교수내용지식과 교수 가능성과의 상관이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초등교사들의 정보교과 교수내용지식 수준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초등교사의 저작권 지식수준 분석을 통한 교육정보 이용 활성화 방안 연구 (A Study of the Copyright Knowledg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Association with the Utilization of Education Information)

  • 김자미;박정호;이원규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241-251
    • /
    • 2011
  • 학교현장에서 교육정보의 활용이 증가하면서, 교사 및 학교를 대상으로 한 저작권 법 위반 피소 사례 또한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교사 대상의 저작권 교육이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나, 교사들의 교육정보에 대한 인식이나 저작권에 대한 지식수준 등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편이다. 이에 본 연구는 초등교사 349명을 대상으로, 교사들이 인지하고 있어야 할 저작권 관련 지식을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저작권교육 여부보다는 교육용콘텐츠 제작 경험 여부에 따라 저작권 지식은 차이를 보였다. 즉, 저작권 교육을 받았다 할지라도 자신의 필요에 의해 활용되었을 때, 해당 지식이 더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저작권 교육이 하나의 지식으로 교육되기보다는 교육정보가 활용되는 상황에 적합한 저작권 교육이 더 효과적일 것이라는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 PDF

상관관계에 대한 교사 지식 분석 - 2×2 분할표를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Teachers' Knowledge about Correlation - Focused on Two-Way Tables -)

  • 신보미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9권3호
    • /
    • pp.461-480
    • /
    • 2017
  • 이 연구는 상관관계에 대한 교사 지식의 특징을 $2{\times}2$ 분할표를 활용하여 분석함으로써 상관관계 및 관련 개념 지도에 대한 교수학적 함의를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times}2$ 분할표를 활용하여 상관관계에 대한 교사 지식의 특징을 알아보기 위한 지필검사 문항을 개발하였다. 지필검사 문항 개발에는 $2{\times}2$ 분할표와 관련된 선행 연구 검토를 통해 추출한 교수학적 이슈를 문항 개발의 주요 관점으로 구체화하여 반영하였다. 개발한 검사 문항을 활용하여 현직 중 고등학교 교사 53명을 대상으로 지필검사를 실시하고, 지필검사에 대한 교사들의 답변은 검사 문항 개발의 주요 관점에 비추어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 과정을 통해 $2{\times}2$ 분할표로 주어진 변량 사이의 상관관계에 대한 교사 지식의 특징을 '내용 지식', '학생들의 이해에 대한 지식', '수업 활용 지식'의 3가지 측면에서 분석함으로써 학교 교육과정에서 상관관계 및 관련 개념을 다루는 것과 관련된 시사점을 설명하였다.

중학교 과학 교사의 과학 탐구 교수 지향 (Science Teachers' Orientation toward Scientific Inquiry-Based Teaching)

  • 양정은;최애란
    • 대한화학회지
    • /
    • 제64권4호
    • /
    • pp.210-224
    • /
    • 2020
  • 본 연구는 1년간 동료 교사들과 과학 탐구 수업을 협력적으로 계획하여 수행한 다섯 명의 중학교 과학 교사들이 과학 탐구 수업에 대하여 어떠한 교수 지향을 가지고 있는지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사전·사후 설문과 면담, 교사들의 협력적 수업 계획 및 성찰 대화, 개별 수업 관찰 및 수업 후 면담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과학 탐구 교수 지향은 다음과 같이 4가지로 나타났다. 첫째, 본 연구의 교사들은 학생이 과학 탐구를 수행하여 스스로 과학 개념을 형성하고 과학적 소양을 함양하는 것이 중요한 과학 교육 목표라는 '과학 탐구 교육 목표'에 관한 믿음을 가지고 있었다. 둘째, 교사의 치밀한 수업 설계와 학생의 능동적인 과학 탐구 수행을 통해 진정한 과학 학습이 이루어진다는 '과학 탐구 교수-학습'에 관한 지식과 믿음을 가지고 있었다. 셋째, 논의를 활용한 교수가 학생의 사고를 구체화하고 조직하여 과학 학습에 효과적이라는 '논의 기반 과학 교수-학습'에 관한 지식과 믿음을 가지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과학 탐구가 과학적 증거와 사회적 합의를 통해 과학 지식을 형성한다는 '과학 지식 및 과학 탐구의 본성'에 관한 인식론적 믿음을 가지고 있었다. 본 연구의 교사들이 과학 탐구 수업에 대하여 실천적이고 구체적인 교수 지향을 가지게 된 것은 1년 동안 동료 교사와 함께 과학 탐구 수업 계획 및 실행을 하고 성찰하며 수업을 개선한 교사학습공동체 경험과 관련되는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