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교사 소진

검색결과 98건 처리시간 0.02초

중등교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job stress on job exhaustion on Middle School teacher)

  • 권은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8호
    • /
    • pp.81-87
    • /
    • 2018
  • 교사들 사이에 명예퇴직이 유행처럼 번지고 있다. 이는 급격한 환경변화와 스트레스가 원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교사들의 스트레스와 직무소진 간의 영향관계를 살펴보았다. 연구는 창원시 소재 중등교원을 대상으로 하여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중등교원의 직무스트레스는 감정고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등교원의 직무스트레스는 비인격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중등교원의 직무스트레스는 감소된 개인성취감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중등교원의 직무스트레스는 직무소진과 밀접한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교원의 스트레스요인의 분석을 토대로 한 행정의 간소화, 수업에의 몰입이 가능토록 개선이 시급하다하겠다.

유치원교사의 직무만족과 심리적 소진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울산광역시 ○구 중심으로- (The Effect on Self-Esteem according to job satisfaction and the Psychological Exhaustion of kindergarten teacher - With a Focus on ○ Gu, Ulsan City-)

  • 김필연;조성제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169-177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유치원교사의 직무만족과 심리적 소진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울산시에 소재한 유치원 교사 168명을 대상으로 2014년 9월 10일부터 10월 17일까지 설문조사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WIN 21.0, Amo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t-test, 일원변량분석, 상관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구조방정식 등을 실시하였고, 실증분석은 유의수준 5%에서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직무만족과 자아존중감의 관계는 상관관계가 없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심리적소진과 자아존중감의 관계는 서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는 유아교육의 질적인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방향성을 모색하고, 유치원교사의 근무 환경 개선 및 유아교사 교육의 방향을 제공하는데 기초적인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 된다.

70점 체육교사의 삶과 고백: 교사로서 회의감의 근원에 대한 생애사 연구 (C Grad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Life and Confession : A Life History Research on root of Skepticism as a Physical Education Teacher)

  • 장승현;임새미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1195-1208
    • /
    • 2021
  • 본 연구는 체육교사로서 회의감의 근원적 문제를 찾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이준호 체육교사를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고 생애사 연구방법을 활용하였다. 그 결과, 1) '스테레오타입과 문화', 2) '훈육의 변화', 3) '혼란과 자책', 4) '참교사가 아닌 보통교사'의 내용이 도출되었다. 그 결과, 이준호 교사를 괴롭혀온 회의감은 '변화의 아이러니'로 설명될 수 있었으며, 그것은 '비동시성의 동시성'이라는 근원적 배경에서 비롯된 것임을 확인시켜주었다. 결국, 학교 내 존재하는 '비동시성의 동시성'의 모순으로 인해 이준호 교사의 감정적 소진은 필연적 귀결이었으며 그것은 한편으로 그가 이 시대의 평범한 체육교사임을 보여주고 한국사회 평범한 체육교사들의 삶과 고민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었다고 판단된다.

고등학생의 학업소진과 학업열의에 관한 연구: 직무요구-자원모형 검증을 중심으로 (Study on Academic Burnout and Engagement among Highschool Students: Applying the Job Demands-Resources Model)

  • 조수현;이민영;이장희;이상민
    • 한국교육학연구
    • /
    • 제24권3호
    • /
    • pp.1-26
    • /
    • 2018
  • 본 연구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학업요구와 학업자원이 학업소진 및 학업열의에 미치는 영향을 직무요구-자원 모형(Job Demands-Resources Model)을 바탕으로 학업 장면에서 검증하고자 한다. 이에 서울, 인천, 경지 소재의 정규 교과과정 중에 있는 8개의 학교에서 고등학교 3학년 총 934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학업요구, 학업자원, 학업소진 및 학업열의간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하여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의 노력, 학업과몰입, 교사압력으로 구성된 학업요구는 학업소진과 학업열의 모두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보상, 또래지지, 교사 자율성지지, 부모 학업적지지로 구성된 학업자원은 학업소진에 유의한 부적인 영향을, 학업열의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직무요구-자원 모형을 학업장면에서 검증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으며, 이에 대한 한계를 포함하여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우울 및 동료교사/원장의 정서적 지지가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 정서적 지지의 주효과와 완충효과를 중심으로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Colleagues/supervisor's Emotional Support Levels and Burnout Experienced by Teachers in Kindergartens and Childcare Centers)

  • 민하영
    • 아동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1-14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colleagues/ supervisor's emotional support and burnout experienced by teachers in kindergartens and childcare centers. The subjects were 195 teachers who worked in kindergartens or childcare centers in Daegu and Gyeongbuk Province. Questionnaires, which required self-report by teachers, were used to investigate depression, colleagues/supervisor's emotional support and burnout.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by means of paired t-test, Pearson's correlation, simple regression, hierarchial regression, using SPSS Win 15.0.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emotional support from colleague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from that provided by the supervisor. Moreover, teachers' depression levels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burnout. (2) Colleagues' emotional support operated as major determining factor with the effect that burnout decreased as colleagues' emotional support levels increased. There were observable interactional effects between depression and the emotional support provided by colleagues' to colleagues experiencing burnout. (3) The supervisor's emotional support operated as a major factor with the effect that burnout decreased with a rise in the levels of a supervisor's emotional support. No interactional effects were observed between depression and supervisor's emotional to colleagues dealing with burnout.

영아교사의 개인적 배경 및 근무여건과 사회적 지지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Variables Affecting Burnout among Teachers of Infants and Toddlers)

  • 김지은;안선희
    • 아동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149-162
    • /
    • 2007
  • A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102 teachers who worked in non-profit, for-profit and company-operated child care centers. The relationships of demographic, work conditions, and social support variables were examined by correlation,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s. Results showed that working hours, salary and social support we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fluencing emotional exhaustion. Higher levels of burnout were found among teachers of infants and toddlers who worked for more than 12 hours on average, teachers with lower salary, and those with a lower level of social support. Results in general indicated that shorter working hours was a very important variable for reduction in burnout among teachers of infants and toddlers.

  • PDF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소진 (Child 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Burnout)

  • 조성연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69-79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hild r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in relation to their burnout and differences in their job satisfaction by demographic variables.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85 child care teachers in Chungnam province. They responded to 'Teachers' Work Satisfaction Scale' and 'Teachers' Burnout Scal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one-way ANOVA, Pearson's partial correlation,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Scheff{\acute{e}}$ test for post hoc test, and Cronbach's a for reliability with SPSS PC program(10.0 vers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otal job satisfaction was high in teachers with high school diploma and those married. Also, burnout level was high in teachers with high school diploma, those with more than 5 year, those married, and those over 40 years old. Second, the partial correlation coefficient of teachers' job satisfaction in relation to their burnout was -.52. Finally, teachers' burnout and demographic variables explained approximately 31% for total score of job satisfaction and $13{\sim}33%$ for subscales of it.

  • PDF

보육교사의 소진에 영향을 주는 변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of Child Care Teachers' Burnout)

  • 황혜신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589-600
    • /
    • 2008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factors on child care teachers' burnout. For this purpose, degrees of child care teachers' overall burnout, job satisfaction, and job environments were examined. Also, child care teachers' burnout was examined depending on their personal factors, job satisfaction, and job environment. Finally, the relative power of the three factors were examined. A survey was administered to 184 child care teachers in Seoul and Kyonggi areas to investigate their degrees of burnout, job satisfaction, and job environment. Maslach Burnout Inventory(Maslach and Jackson, 1986) and questionnaires on job satisfaction and job environmen were used.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12 version.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Child care teacher's overall degrees of burnout is not so high and different on their personal factors such as age, educational level, and career, and job satisfaction and job environment. The most powerful factor on their burnout was their demographic fact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