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교사 발문

검색결과 88건 처리시간 0.031초

예비 과학 교사가 탐구 점수표에 따라 분석한 현장 과학 수업 (An analysis of Science Class According to Inquiry Score by Pre-Service Science Teacher)

  • 김영신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561-573
    • /
    • 2003
  • 학생들의 학업 성취에 교사가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과학 수업을 과학 예비교사들이 분석하였다. 과학 교사의 수업을 분석 위한 검사 도구는 수업, 학생 행동, 교사 행동, 발문의 4가지영역으로 구성되었다. 100명의 과학 교사의 수업을 예비 교사들이 참관한 것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예비교사들은 과학 교사의 수업은 탐구 중심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하였다. 교사의 성과 연령의 특성에 따라서 과학 수업에 통계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과학 수업이 개념 중심 그리고 교사 중심으로 수업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분석하였다.

과학적 창의성 신장을 위한 교사발문의 개발 및 적용 - 고등학교 지구과학 교과 중심으로 - (Development of Teacher Questioning for Improvement of Scientific Creativity and Its' Application - Case Study for Earth Science Class in High School -)

  • 조규성;박미숙;정덕호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3권1호
    • /
    • pp.122-132
    • /
    • 2009
  • 본 연구는 고등학교 지구과학 수업을 중심으로 발문 전략을 수립하고 이를 적용함으로써 학생들의 과학적 창의성을 신장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2004년 3월에서 2006년 2월 기간까지 고등학교 학생 15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프로그램 반응 평가지를 통하여 발문전략에 관한 학생들의 반응을 살펴보았다. 또 한국적성검사연구소에서 제작한 창의성 검사를 통하여 학생들의 과학적 창의성 신장 여부를 분석하였다. 학생들은 발문전략을 적용한 교수학습 방법이 과학적 창의성을 신장에 도움이 되었다고 반응하였지만, 교사와 학생 사이의 상호작용 증진에는 효과가 없었다고 반응하였다. 발문 전략을 적용한 교수학습의 결과 언어유추능력 항목에서 가장 많은 향상을 보인 반면, 계획적 분석능력 항목에서 가장 작은 향상을 보였다. 대응표본 t검정 결과 도형유추능력, 언어유추능력, 문장이해력 항목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 PDF

2015 개정 교육과정 초등 실과 교과서 소프트웨어와 로봇 단원 발문 분석 및 CT마중발문 개발 (Study of Types of Questions Presented in Software and Robot Units of 2015 Revised Elementary School Practical Curriculum and Development of CT Trigger Questioning)

  • 오정철;진영지;김봉철;김종훈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4권3호
    • /
    • pp.215-223
    • /
    • 2020
  • 2015 개정 교육과정 초등학교 6종 실과 교과서 소프트웨어 단원과 로봇 차시에 제시된 523개 발문 유형을 분석한 결과, SW 단원에서는 폐쇄적 발문이 77.1%, 개방적 발문이 22.9%로 나타났고 로봇 단원에서는 폐쇄적 발문이 74.8%, 개방적 발문이 25.2%로 나타났다. 폐쇄적 발문 중심인 SW 교과서 발문의 한계를 보완하고 교사들이 교육 목적과 활동 내용에 따라 컴퓨팅 사고력 신장을 위한 다양한 컴퓨터 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CT마중발문을 개발하였다.

과학영재 수업에서 언어적 상호작용을 통하여 본 교사의 발문과 피드백 사례분석 (The Case Analysis of Teacher's Questioning and Feedback through Vernal Interactions in the Classes of the Gifted in Science)

  • 정민수;전미란;채희권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7권9호
    • /
    • pp.881-892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영재교육 수업현장에서 이루어지는 교사들의 발문과 피드백,학생들의 응답에 대한유형과 빈도를 분석하여 현황을 파악하고 교사-학생의 언어적 상호작용이 활발한 수업에서 나타난 교사들의 발문과 피드백에 대한 특징을 파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중학교 2학년 과학 영재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8차시 24시간 분량의 수업을 비참여 관찰하고 녹화하였으며,교사와 학생간의 상호대화를 전사 분석하고,교사들과의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수업 분석 결과,교사들은 대체적으로 기억회상과 인지 기억의 질문과 즉각적 피드백을 사용한 반면,학생들은 단답형 응답을 선호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교사-학생의 언어적 상호작용이 상대적으로 활발한 수업의 특징은 도입단계에서 개방적 질문을 사용하였고,발문의 처리단계를 높였으며, "왜"와 "어떻게"의 질문을 많이 사용하였고,평가질문을 사용한다는 것이었다. 피드백의 특정으로는 학생의 응답을 수용하고 받아들이는 태도를 보였고,지연피드백을 많이 사용하였으며,칭찬과 격려로 다음 문제해결에 자신감을 부여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ChatGPT의 수학교육 활용 가능성 탐색: 분수 문제에 관한 학생의 산출물과 예비교사의 담화 사례를 중심으로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using ChatGPT in Mathematics Education: Focusing on Student Product and Pre-service Teachers' Discourse Related to Fraction Problems)

  • 손태권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6권2호
    • /
    • pp.99-113
    • /
    • 2023
  • 본 연구는 수학교육에서 ChatGPT의 활용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해 분수 문제에 대한 학생의 산출물과 예비교사와 학생과의 담화 자료를 사례로 선정하여 ChatGPT를 통해 분석하고 수학교육전문가의 분석 결과와 비교하였다. 학생 자료는 학생의 문제해결 전략과 수학적 사고를 분석했으며 예비교사 자료는 예비교사의 발문이 학생의 반응을 토대로 이루어지는지 그리고 발문이 수학적 사고를 이끌어내는지를 평가 기준으로 선정하고 ChatGPT에게 분석을 요청하였다. ChatGPT의 분석 결과, 학생 자료에 대한 분석 결과는 수학교육전문가의 분석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예비교사 자료는 유사점과 차이점이 함께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수학교육에서 ChatGPT의 활용 가능성과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2007년 개정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과학교과서에 제시된 발문의 유형 분석 (The Analysis on Patterns of Questions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Textbooks under the 2007 Revised Curriculum)

  • 최윤미;이형철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6권1호
    • /
    • pp.120-129
    • /
    • 2012
  • 본 연구는 2007년 개정 초등 과학교과서의 발문 사고 유형 분석을 통해 현장 수업에 교육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향후 수시 개정되는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 개발에 정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2007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3~6학년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문장 중에서, 본 연구의 조작적 정의에 부합하는 2,446개의 발문을 추출하였고, 이것을 Blosser의 분류체계를 조금 수정한 분석틀로써 발문의 유형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 추출된 2,446개 발문 중에서 제안적 발문요소가 49.2%로 가장 높게, 그리고 평가적 발문요소가 1.4%로서 가장 낮게 나왔다. 둘째, 학년별로 발문의 유형을 살펴본 결과, 모든 학년에서 제안적 발문요소가 가장 많이 나왔다. 또, 학년이 올라갈수록 재생적, 제안적, 예상적 발문요소는 점차 조금씩 줄어드는 경향을, 적용적, 확산적, 평가적 발문요소는 조금씩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셋째, 과학과 4개 영역인 에너지, 물질, 지구, 생명 영역에 나타난 발문의 유형을 분석해 보았을 때 에너지 영역의 발문 수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이 화학 영역이었다. 4개 영역 모두 제안적 발문요소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재생적, 예상적 발문요소는 에너지와 물질 영역이 다른 두 영역보다 조금 더 많았고 적용적, 확산적 발문요소는 지구와 생명 영역이 다른 두 영역보다 조금 더 많았다.

  • PDF

협력적 멘토링 과정에서 나타나는 초임중등과학교사의 교수실행 문제점 (An Analysis on Beginning Secondary Science Teachers' Problems in their Teaching Practice through Collaborative Mentoring)

  • 박지훈;남정희;권정인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557-564
    • /
    • 2015
  • 이 연구에서는 과학교사의 수업전문성 향상을 위한 협력적 프로그램에 참가한 초임중등과학교사의 교수실행에서의 문제점을 알아보았다. 연구 대상자는 대학교 과학교수학습센터에서 주관한 중등과학교사 수업전문성 향상을 위한 멘토링 연수 프로그램에 참가한 24명의 교사 중 5번의 멘토링 과정을 모두 이행한 6쌍(12명)을 선정하였다. 연구를 위해 멘토 및 멘티 저널, 일대일 멘토링 녹음본 및 전사본, 멘토링 중간과 사후에 실시한 인터뷰 녹화본과 전사본, 멘토링 초기와 후기에 실시한 설문지를 수집하였다. 이러한 자료를 통해서 얻은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멘티교사는 수업을 준비할 때 수업목표를 명확하게 정하지 않았으며, 학생들의 성취수준을 고려하지 않고 수업내용을 선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과학적인 개념 이해에서도 어려움을 나타내었다. 대부분의 멘티교사는 한 차시에 너무 많은 내용을 수업하였으며 발문의 형태는 학생들의 사고를 이끌어내는 발산적 발문보다는 수렴적 발문이 대부분 이였다. 또한 학생들의 행동을 잘 통제하지 못하여 실험수업이나 탐구수업 수행 시 힘들어 하였으며 대부분의 수업에 학생의 참여가 없는 교사중심의 강의식 수업이 일어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멘티교사들 중 일부는 자신의 교수실행에 대해 문제라고 인식한 부분에 대한 반성을 하였고 교수실행의 개선으로 이어졌다. 같은 문제점을 가진 멘티교사라도 자신의 문제점에 대해 인식하고 반성을 한멘티교사는 문제점이 해결되는 모습을 보였으나, 반성이 일어나지 않는 경우에는 멘토링이 진행되는 동안 계속해서 동일한 문제점을 나타냈다. 또한 이 연구에서는 초임 과학 교사의 교수 실행에 대한 반성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건 A와 사건 B가 동시에 일어날 확률' 수업의 발문 분석 (An Analysis of Questioning in an Instruction on the Probability that Event A and Event B Occur)

  • 신보미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0권1호
    • /
    • pp.19-42
    • /
    • 2017
  • 이 연구는 '사건 A와 사건 B가 동시에 일어날 확률' 수업에서 제기되는 '발문의 유형'과 '발문의 내용'을 분석하여 해당 내용을 적절하게 다루는 지도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발문을 제기하는 교사의 의도에 따라 발문 유형을 분류한 Morgan & Saxton(2006)의 연구와 '사건 A와 사건 B가 동시에 일어날 확률' 지도에 대한 선행 연구를 검토하여 발문 분석을 위한 준거 4가지를 추출하였다. 이를 토대로 수업을 분석한 결과 발문과 관련하여 드러난 특징을 요약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사건 A와 사건 B가 동시에 일어날 확률'에 대한 수업 개선과 관련된 시사점을 기술하였다.

  • PDF

초등 수학교과서의 창의성 신장을 위한 발문 (A Study on the Questioning in the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

  • 박만구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3권1호
    • /
    • pp.25-35
    • /
    • 2010
  • 본 연구는 초등학교 수학교과서에서의 발문을 분석하고 초등 수학에서 창의성의 의미와 창의성 신장을 위한 효과적인 발문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를 위하여 창의성의 정의를 고찰하고 2007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한국의 3학년 1학기 수학교과서에서의 발문 분석을 통하여 창의성 신장을 위한 효과적인 발문의 성격을 고찰해 보았다. 초등학생들의 수학 수업에서 창의성 신장을 위해서는 제시하는 과제의 성격뿐만 아니라 실제 수업에서 교사의 학생의 수준에 맞는 적절한 발문이 필수적임을 제안하였다.

보육교사의 이야기나누기 수업운영의 어려움 (Difficulties of Day-care Center Teachers' Story-Telling Classroom management)

  • 문현경;강영식;김미숙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논문집 2부
    • /
    • pp.785-788
    • /
    • 2011
  • 본 연구는 보육교사들의 이야기나누기 수업 운영의 어려움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아보기 위해 수업운영과정에서 교사가 경험하는 내용과 의미에 대한 질적인 분석을 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반성적 사고능력의 향상과 다양한 수업에 대한 지원을 통한 보육교사의 수업능력 향상을 돕는데 있다. 이 연구를 위하여 어린이집에서 담임으로 근무하는 교사 7명이 연구에 참여하였고, 참여관찰, 심층면담, 동료교사와의 협의, 교사의 저널쓰기 등의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야기나누기 수업 운영에서 교사들은 이야기나누기 수업준비를 위한 시간부족과 유아와의 상호작용, 교사의 발문, 유아의 주의집중에서 어려움으로 느끼고 있었으며 수업 운영에 필요한 다양한 지원과 함께 교사가 수업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학의 필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