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교사의 경험과 인식

검색결과 526건 처리시간 0.024초

봉사에서 협력으로, 전달에서 학습으로 -과학교사의 국제개발협력사업 참여를 통한 상호문화주의 학습 경험 해석- (From Volunteering to Collaboration, and from Transmission to Learning: Interpreting Science Teachers' Learning Experiences in Interculturalism through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 황세영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429-440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과학교육 분야에서 국제협력 담론을 개발하는데 있어 상호문화주의의 가치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개발도상국에서 과학교육 교수 경험이 있는 네 교사를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고, 상호문화주의와 대화적 관점에서 교사의 경험과 인식을 분석하였다. 교사 내러티브 분석 결과는 봉사와 전달에서 협력과 학습으로 교사의 관점이 변화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봉사에서 협력으로의 전환은 교사들이 현지에서 이방인으로 살아가면서 타인을 만나는 방법을 배우는 과정에서 나타났다. 개입과 충돌을 경험하면서 교사들은 자신의 정체성을 재규정해 나갈 수 있었다. 또한 그들이 경험한 과학 교수 실제는 과학교육의 보편적인 또는 이상적인 가치와 현지 과학교육의 문화적, 특정한 상황으로 발생하는 이질성 간의 협상 경험으로 이해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경험을 통해 교사들은 문화적으로 적정한 방식으로 과학교육의 수요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었다. 분석 결과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개발도상국 과학교육 실제의 다양성과 복합성, 교사 전문성, 문화적정교수법, 지속가능한 정책의 측면에서 상호문화주의에 입각한 과학교육협력의 담론을 제안하였다.

예비수학교사 교육에서 수학적 문제제기 수업 사례 (A Case Study on Mathematical Problem Posing in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 한혜숙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1권1호
    • /
    • pp.63-89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예비수학교사들의 수학적 문제제기 교육에 대한 전문성 신장을 위하여 예비수학교사 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문제제기 수업을 개발하여 적용한 후 연구에 참여한 예비수학교사들의 문제제기에 대한 인식의 변화 및 문제제기 수업 경험에 대한 의견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문제제기 수업은 문제제기 이론에 대한 교육, 문제제기 활동 체험, 문제제기 수업 지도안 작성 및 수업 수행의 3단계로 구성되었다. 설문 조사, 면담, 수업 일지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본 연구를 통해 수행된 문제제기 수업은 예비수학교사들의 문제제기 활동 및 문제제기 전략에 대한 이해도와 문제제기 교육의 효과에 대한 이해도를 향상시키는데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고, 이와 더불어 예비교사들의 문제제기 활동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의 함양에도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문제제기 수업에서 이루어진 다양한 문제제기 활동에 대한 직접적인 체험과 문제제기 수업 수행 경험이 예비교사들의 문제제기에 대한 이해 및 교수학적 내용 지식의 함양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유학기제 과학과 평가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제 (Teacher Perception and Practice on Free Semester Science Assessment)

  • 김유라;최애란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143-160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자유학기제가 전면 시행된 이후 자유학기제 과학과 평가 경험이 있는 중등 과학교사 15명을 대상으로 자유학기제와 자유학기제 평가에 대한 교사의 인식, 자유학기제 과학과 평가의 실제를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서술형 문항 설문과 개인 면담 전사본은 반복적 비교 분석법을 통해 분석하였고, 선택형 문항 설문은 응답 빈도를 분석하였다. 자유학기제 기본 방향 중 평가 방법 변화는 낮은 순위로 선정한 교사가 많았고, 자유학기제 평가의 객관성 부족, 자유학기제 평가의 입시 미반영, 자유학기제 평가에 대한 체계 미확립, 활동 중심 수업 및 교과에 대한 학생의 흥미 유발이 평가보다 더 중요함 등을 이유로 언급하였다. 본 연구의 대부분 교사들은 자유학기제 평가의 기본 방향을 교육부에서 제시한 과정 중심 평가로 이해하고 있었다. 과정 중심 평가를 매우 긍정적 또는 긍정적으로 인식한 교사들은 학생에게 미칠 수 있는 긍정적인 영향에 초점을 맞추어 설명한 반면, 과정 중심 평가를 보통 또는 부정적으로 인식한 교사들은 교사들이 겪는 어려움에 초점을 맞추어 설명하였다. 본 연구의 절반 교사들은 주관성과 복잡성 등의 이유로 학생 자기평가 학생 동료평가를 실행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간 부족을 이유로 평가 결과에 대한 피드백을 거의 제공하지 않은 교사들도 일부 있었다. 일부 교사들은 평가 방법에 익숙하지 않거나 평가를 실행하기 위한 방법을 모르기 때문에 특정 평가 방법을 사용하지 않았다고 하였다. 본 연구 참여 교사들 중 교과 협의를 하지 않은 교사들은 동 학년을 담당하는 교사의 수나 동료 교사의 태도와 같은 환경적 요인에 의하여 협의를 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 관련 연수에 참여하지 않은 교사들은 자유학기제 담당자만 연수에 참여하거나 연수의 필요성에 대한 교사의 인식 부족, 교사 개인 사정 등과 같이 교과 협의회와는 달리 교사의 자율적 선택에 의해 연수에 참여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예비유아교사의 커리어 포트폴리오 제작 경험의 의미 (Meaning of the Experiences of Career Portfolio Production among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 유수경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8권5호
    • /
    • pp.129-156
    • /
    • 2012
  • 본 연구는 유아교사 양성과정에 커리어 포트폴리오 제작 프로그램을 적용해봄으로써 예비유아교사들이 겪게 되는 다양한 경험의 의미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커리어포트폴리오 제작 프로그램의 교육적 가치를 살펴보고자 진행되었다. 프로그램은 K대학 3학년 1학기에 재학 중이면서 교직실무 교과목을 수강하는 예비유아교사 23명에게 적용되었으며 연구자는 자료수집을 위해 프로그램이 적용되는 9주 동안 예비유아교사의 반성적 저널, Coaching Professor 프로그램 지도 보고서, 소그룹 면담 자료 등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은 주제별 약호화의 방법으로 분석되었으며 그 결과 8개 하위영역 즉, '시간의 흐름 지각하기', '흩어진 경험 모으기', '혼돈 속에서 나 찾아가기', '함께임을 인식하기', '심리적 안녕감 형성하기', '유아교사로서 나의 모습 그리기', '발전하는 나 설계하기', '세상으로 나아가기' 로 분류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커리어 포트폴리오 제작 프로그램의 참여가 예비유아교사들이유아교사로 성장하는데 필요한 가치 있는 경험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수학 교사의 증명과 증명 지도에 대한 인식 - 대학원에 재학 중인 교사를 중심으로 - (Mathematics Teachers' Conceptions of Proof and Proof-Instruction)

  • 나귀수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8권4호
    • /
    • pp.513-528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대학원에 재학 중인 중 고등학교 수학 교사 36명을 대상으로 증명 및 증명 지도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대부분의 교사들이 증명의 정당화 역할은 잘 인식하지만, 설명(확인), 이해, 발견, 의사소통, 체계화, 수학적 표현의 사용 등으로서의 역할은 미흡하게 인식하며, 많은 교사들이 증명의 조건에 대해 혼란스러운 개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증명 지도의 이유에 대해서는 논리적 사고력 함양, 수학적 사고력 신장, 명제의 이해, 참인 명제의 확인, 수학의 본질 이해, 수학 지식 증가, 수학적 표현 증진, 수학의 즐거움 경험, 의사소통, 엄밀성 추구, 연계성 추구 등의 다양한 의견을 제시하였다. 증명 지도의 수행과 관련하여, 상당수의 교사들이 실제 증명 지도가 미흡하게 이루어지고 있다고 응답했으며, 학생들의 두려움과 흥미 부족, 증명 지도 시간 부족, 학생 사고수준 미흡, 지도 방식 미흡 등을 증명 지도의 제약 조건으로 언급하였다. 한편, 본 연구에서는 '증명'이라는 수학적 용어가 누락된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살펴보았다. '${\cdots}$를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는 성취기준은 증명 교수-학습과 관련하여 적절하지 않으며, 특히 논리적 추론이나 정당화 과정을 증명과 동일시하는 미흡한 개념을 가지고 있는 교사들에게 더욱 큰 혼란을 줄 위험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수학영재학생들의 독립연구능력과 수학영재담당교사들의 독립연구 인식 실태 (The Reality of Mathematics Gifted Children's Independent Study Ability and Mathematics Teachers' Recognition of Independent Study)

  • 임근광;강순자
    • 영재교육연구
    • /
    • 제18권1호
    • /
    • pp.79-109
    • /
    • 2008
  • 본 연구는 수학영재학생들의 독립연구 수행 능력이 어떠한지를 알아보고, 수학영재담당 교사들은 독립연구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현재 독립연구와 관련하여 산출물 제작 실태는 어떠한지를 분석하여 추후 수학영재학생들의 독립연구 수행에 대한 연구의 기초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독립연구는 영재학생들이 매우 선호하는 학습스타일로 교사와 함께 주의 깊게 계획되고 빈번히 점검되어 학생들이 자기주도적으로 수행할 때 연구기능 또한 신장된다. 본 연구는 수학영재학생 85명과 수학영재담당 교사 51명을 대상으로 조사연구방법으로 수행되었다. 연구결과 수학영재학생들의 독립연구 수행능력은 매우 낮은 편이었으며, 영재교육경험이 많고 적음에 따라, 교사 관여 없이 과제로 수행된 독립연구 경험의 유무에 따라 능력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학영재담당 교사들은 독립연구의 필요성은 인식하나 독립연구 방법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이집 연장보육전담교사의 일과운영경험과 놀이중심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인식 (Suggestion for revising the play-centered early childhood curriculum Awareness of daycare center extended child care teacher's experience and play centered curriculum operation)

  • 지인숙;박지희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5호
    • /
    • pp.473-483
    • /
    • 2024
  • 본 연구는 연장반 전담교사들의 일과 운영 경험을 알아보고 연장 보육 전담교사의 놀이 중심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인 연구 참여자는 충청북도에 있는 어린이집에 재직중인 연장반 전담교사 8명이며, 2023년 9월부터 10월까지 개인별 심층 면담을 2회씩 실시하여 자료수집을 수행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장보육전담교사는 영유아 혼합반의 구성으로 영아와 유아의 놀이에 대한 요구가 다르므로 놀이 중심교육의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둘째, 연장반 전담교사들은 연장반 교실에 부재로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었다. 셋째, 연장보육전담교사는 보조교사 같은 역할을 수행하고 있었다. 넷째, 연장보육전담교사는 놀이중심교육을 수행하기에 부담감을 갖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연장보육전담교사를 위한 전담교실, 놀이중심교육을 위한 연수 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서교사의 직무소진 경험에 관한 실증적 연구 (An Empirical Study on the Job Burnout of Teacher Librarian)

  • 노동조;김수진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227-249
    • /
    • 2018
  • 본 연구는 사서교사에게 직무소진이 발생하는 요인 및 상황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고등학교 도서관에서 근무하고 있는 15명의 사서교사를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사서교사의 직무환경, 사서교사의 역할 및 정체성의 문제, 학교공동체 구성원들의 학교도서관 및 사서교사에 대한 인식 등이 직무소진의 영향 요인으로 밝혀졌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사서교사들에 대한 적절한 보상 체계의 마련, 사서와 사서교사간의 명확한 직무 구분, 학교공동체 구성원들의 사서교사에 대한 인식 전환을 위한 계기 및 제도적 장치의 마련, 사서교사의 자기계발 및 재충전의 기회 제공 등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연구 참여 경험을 통한 과학 교사의 전문성 발달 과정 탐색 (Exploring Professional Development of Science Teachers through the Research Experience for Teachers Program)

  • 백인영;김희백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663-679
    • /
    • 2011
  • 본 연구는 첨단과학 교사연수센터에서 실시한 교사연구경험(Research Experience for Teachers, RET) 프로그램에 참여한 세 명의 과학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사례 연구이다. 교사들은 RET 프로그램이 진행되는 6개월 동안 과학자의 연구실에서 실험 수행 경험을 하였으며, 이 경험을 토대로 학교에서 적용할 수 있는 교수 자료를 개발하였다. 교수법적 내용 지식(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을 교사가 전문성을 갖추기 위해 가져야 할 지식으로 규정하고, RET 프로그램을 경험한 후에 나타난 교사들의 전문성의 변화와 그들의 전문성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였다. 3명의 참여 교사들은 RET 프로그램에 참여함으로써 과학 교수 지향, 과학 지식, 학생 지식, 교수 지식, 그리고 자원 지식과 같은 PCK 요소들의 통합된 발달을 보였다. RET 프로그램을 통해서 발달한 PCK 요소들은 학교에서의 교수 실행에 반영되었으며, 시간이 지날수록 교사들이 자신의 PCK 발달을 더욱 명확히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참여 교사들이 RET 프로그램을 통해서 진정한 맥락인 과학자의 연구실에서 ‘합법적인 주변 참여’를 통해서 학습했기 때문에 실제 과학의 과정을 알 수 있었으며, 교수 자료를 개발하는 동안에 새롭게 발달한 PCK요소들과 교사가 이미 가지고 있던 PCK의 통합으로 그들의 PCK가 학교 현장의 실행으로 이어지도록 발달하였기 때문이다. 한편 참여 교사들에 따라서 전문성 발달 요소와 양상에 차이가 있었는데, 이는 RET프로그램에 참여할 때 교사들이 가진 목적이나 그들이 가지고 이미 가지고 있던 PCK의 차이에 기인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는 연구 경험 제공을 통한과학 교사들의 전문성 발달 프로그램 개발에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두명의 한국 중학교 과학 교사들의 과학 수업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분석 (Two Middle School Science Teachers' Experiences of Teaching Science in the Republic of Korea: A Phenomenological Analysis)

  • 남윤경;장명덕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93-101
    • /
    • 2013
  • 이 연구는 두명의 중학교 과학 교사의 과학 수업이 어떻게 한국의 독특한 교육 상황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이러한 수업 경험이 그들에게 가지는 의미가 무엇인지를 알아보기 위한 현상학적 해석 연구이다. 특히 본 연구는 두 과학 교사가 어떻게 교수 방법을 선정하며 외부적인 상황 즉 교육과정, 학교정책, 환경, 문화, 학생들의 학습동기등이 어떻게 과학 교사들의 교수 방법, 수업 실제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중점을 두었다. 이 연구는 두 달간 대도시의 한 중학교에서 시행되었으며, 각 참여 교사에 대한 수업 관찰과 수업 관찰 후 이루어진 인터뷰가 주요 데이터로 사용되었다. 연구 결과는 현상학적 연구 방법에 의해 분석, 기록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첫째, 과학 수업에서 다루어야 할 과중한 교과 내용의 양과 제한된 수업 시간등의 외부적 요인들이 중등학교 과학교사들의 수업에 대한 신념이나 경험에 상관없이 수업의 형태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둘째, 사교육을 통해 이루어지는 학생들의 과학교과 선행학습과 학생들이 수업에 참여할때 나타나는 낮은 학습 동기가 각 교사의 교사의 역할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며, 궁극적으로 교사들의 교수 방법 선정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