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관주처리

검색결과 128건 처리시간 0.033초

관주처리에 따른 양액재배 딸기의 농약잔류 특성 (Pesticide residual characteristics in Strawberry, treated by drenching under hydroponics)

  • 이효섭;황인성;천재인;권혜영;홍수명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2권1호
    • /
    • pp.11-17
    • /
    • 2019
  • 딸기는 한국의 주요 농산물 중 하나로 2017년 4,000만 달러 이상이 수출되었다. 최근에는 양액재배를 이용해 경작하는 농가가 많아지면서 농약 관주 처리가 딸기농가에서 큰 관심을 받고 있다. 그러나 농약 관주처리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여, 현장에서는 제대로 이용되지 못하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관주 처리 활성화와 안전성 향상을 위해서 딸기 중 농약살포조건을 상이하게 하여 관주 처리 후 농약 잔류량을 경시적으로 분석하였다. 실험은 딸기에 시험농약을 상이한 조건(살포횟수, 살포량, 희석배수)으로 관주처리한 후 azoxystrobin과 prochloraz는 0, 7, 14, 24, 40일에 분석하였고, thiamethoxam은 0, 7, 24일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azoxystrobin 및 prochloraz는 관주 처리하였을 때 최종처리 14일 후에 불검출 되었고, thiamethoxam은 0.02-0.85 mg/kg으로 잔류하였다. 농약 관주처리시 이행량은 농약의 옥탄올-물 분배계수와 물의 대한 용해도가 큰 영향을 미쳤다. 농약을 관주처리 할 때 농산물 내 잔류량은 농약을 실질적으로 살포한 유효함량에 가장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사료된다.

경엽 및 관주 처리에 따른 딸기 중 침투성 농약 잔류패턴 비교 (Comparison of residue patterns between foliar application and drenching in export strawberry)

  • 이효섭;홍수명;권혜영;김단비;문병철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0권4호
    • /
    • pp.313-319
    • /
    • 2017
  • 딸기는 한국의 주요 농산물 중 하나로 매년 3,000만 달러 이상이 수출된다. 그러나 농산물 안전은 최근 농업 무역에서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어, 안전한 농산물을 생산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안전한 농산물을 생산하려면 적절하게 농약을 관리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딸기는 고설재배를 이용해 경작하는 곳이 많아지고 있는데 점적관수를 이용해 수분, 양분 및 농약을 관주 처리하여 투여하고 있다. 농약을 살포 할 때 관주 처리는 경엽처리를 사용하는 것보다 잔류농약 수준이 더 낮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딸기 중 농약을 관주처리 및 경엽처리 하였을 때, 농약의 잔류량을 경시적으로 비교 하였다. 농약을 농약안전사용기준량 및 두배량으로 처리 한 후 0, 3, 6, 9, 13, 16 및 21 일에 수집한 후 $-18^{\circ}C$에서 보관 하였다. 샘플을 LLE(액체-액체 추출) 및 QuEChERS의 전처리 후 LC 및 LC-MS/MS로 분석 하였다. 결과적으로 관주 처리 한 딸기는 모든 처리구에서 1 mg/kg 미만으로 검출되었다. 농약을 경엽 처리와 관주 처리 하였을 때 딸기의 잔류량 차이는 carbendazim의 경우 5-27배 정도 경엽처리가 높았고, azoxystrobin은 관주처리 시 불검출 되어 비교할 수 없었다.

토양 미생물제제인 돌리도의 관주처리가 장미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ubirrigation of Dolrido on the Growth of Rose)

  • 손병구
    • 생명과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889-895
    • /
    • 2003
  • 장미 삽목묘에 돌리도를 주기적으로 관주하여 초장, 경직경, 엽수, 엽면적, 최대 근장 등 생육반응을 검정한 결과 돌리도의 관주처리는 삽목묘의 초기생육에 큰 차이는 없었으나 60일 후의 후기생육은 향상되었다. 장미 유목에 돌리도를 관주 처리하면 초장, 경직경의 향상과 줄기의 부피생장 더불어 엽수 및 엽면적이 증가되었다. 돌리도를 주기적으로 관주한 장미유목은 이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구에 비해 초장이 6.4∼11.0 cm, 경직경은 0.70∼l.14 cm증가하였고, 엽면적도 $136cm^2$ 높았다. 또한 돌리도의 처리에 의해 총 생체중 및 총 건물중을 증가시켰는데, 그 효과는 생육후기로 갈수록 현저하였다.

Paraconiothyrium minitans CM2의 상추 균핵병균(Sclerotinia sclerotiorum)에 대한 생물적 방제 (Biological control of Paraconiothyrium minitans CM2 on Lettuce Sclerotinia Rot Caused by Sclerotinia sclerotiorum)

  • 이상엽;홍성기;김정준;한지희;김완규
    • 한국균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271-276
    • /
    • 2012
  • S. sclerotiorum에 의한 상추 균핵병의 생물적 방제를 위하여 기생진균 P. minitans CM2을 선발하였다. 경기도 양평군의 상추 시설재배포장에서 실험이 3월부터 4월에 수행되었다 상추균핵병 발생초기에 기생진균의 포자현탁액의 농도별로 7일 간격 1회 부터 3회까지 상추의 지제부에 관주처리하였다. P. minitans CM2($1{\times}10^7/m{\ell}$)의 1회 처리구가 11.0%, 베노밀수화제가 2.7%, 무처리가 31.0% 각각 균핵병이 발생하였고, 2회 관주처리가 7.9%, 3회 관주처리가 12.8% 균핵병이 각각 발생하였다. P. minitans CM2 균주의 처리시기에 대한 시험을 양평과 수원에서 실시하였다. P. minitans CM2 균주의 포자현탁액($5{\times}10^6/m{\ell}$)을 상추 정식직후에 관주 처리가 75.3~84.7%, 정식전 육묘 200공 연결포트에 관주처리한 후 균핵병 발생초기에 관주처리는 58.0~63.8% 방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결과에서 P. minitans CM2 균주는 상추균핵병에 생물적 방제를 위한 유망한 미생물농약개발이 가능하다고 생각된다.

Streptomyces sp. A75와 A501 균주의 인삼 잘록병에 대한 방제효과 (Control of Ginseng Damping-off by Streptomyces sp. A75 and A501)

  • 이상엽;송재경;윤봉식;박경훈;김정준;한지희
    • 한국균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330-337
    • /
    • 2016
  • Streptomyces sp. A75와 A501 균주는 인삼 잘록병을 일으키는 R. solani와 Pythium sp.의 균사 생장을 억제하였다. 인삼 잘록병 R. solani에 대하여 Streptomyces sp. A75와 A501 균주의 배양액을 혼합한 50배 희석액에 종자 침지처리, 100배 희석액의 관주처리와 종자 침지처리(50배) + 관주처리(100배)는 81.3%, 84.8%와 32.2%의 방제 효과를 각각 나타내었다. 인삼 잘록병 Pythium sp.에 대하여 Streptomyces sp. A75와 A501 균주의 배양액을 혼합한 50배 희석액에 종자 침지처리, 100배 희석액의 관주처리와 종자 침지처리(50배) + 관주처리(100배)는 51.0%, 52.1%, 75.3%의 방제효과를 각각 나타내었다. 이들 결과에서 Streptomyces sp. A75와 A501 균주의 배양한 혼합액으로 종자 침지한 후 관주처리가 인삼 잘록병 발생을 효과적으로 감소시켰다.

카보퓨란 처리 방법 별 벼멸구에 대한 살충 효과 판별 최적 시기 (Optimal Duration of Determining the Insecticidal Effect of Carbofuran on Nilaparvata lugens Using Different Application Methods)

  • 이시우;정진교;서보윤;박창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6권4호
    • /
    • pp.351-356
    • /
    • 2017
  • 관주처리에 의한 벼멸구 흡즙 섭식 독성, 잎 침지처리에 의한 접촉독성과 식물체내 침투에 의한 섭식독성, 미량국소처리에 의한 표피 접촉 독성 등, 처리 방법에 따른 카보퓨란의 벼멸구에 대한 살충 작용 특성을 분석하였다. 카보퓨란 관주처리는 시간에 따른 벼멸구의 살충력 변화가 2가지 패턴으로 나타났다. 상대적으로 높은 농도(8~30 ppm)의 처리에서는 급격히 사충율이 올라가다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율이 낮아지는 로그곡선의 형태와 낮은 농도(1~4 ppm)의 처리에서는 사충율 증가 패턴이 S 자 모양의 곡선 형태를 보였다. 관주처리 시 높은 농도에서는 처리효과가 즉시 나타나 하루 만에 치사율이 40% 이상 도달하였으나 상대적으로 낮은 1~2 ppm의 농도에서는 처리 5일 후에야 80~100%에 달하는 사충율을 얻을 수 있었다. 침지처리는 사충율이 처리 1일 후 약효가 급격히 증가하고 이 후 증가율이 낮아졌다. 국소처리도 침지처리와 비슷한 경향을 보이나 침지처리와는 달리 처리 후 3일 이후에는 사충율이 거의 증가하지 않았다. 약효 최적 조사 시간은 관주처리에서 처리 후 2일 (42시간)이었으며 침지처리와 국소처리에서는 처리 후 1~2일이 약효 조사 적기였다.

칼슘제 처리가 '부유' 단감의 무기성분, 품질 및 갈변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alcium Application on Fruit Mineral Nutrients, Quality, and Browning in 'Fuyu' Sweet Persimmon)

  • 나양기;김월수;최현석;최경주;이연;이유석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83-92
    • /
    • 2011
  • 본 연구는 '신고' 배나무에 Ca처리 방법을 달리 했을 때 과실 내 무기성분과 품질 그리고 갈변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Ca 엽면시비는 대조구, Ca 관주처리, 그리고 Ca 엽면시비+IBA 관주 처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과실 내 Ca 함량이 나타났다. 과실내 Mg와 B 그리고 Mn 농도는 Ca 엽면시비에 의해 다른 처리구에 비해 오히려 낮거나 비슷한 수준이 나타났다. 과실의 착색은 처리구간에 별다른 차이가 없었다. Ca 엽면시비와 관주처리는 저온저장 후 0, 60, 100일 후에 대조구에 비해 과실의 경도를 유지시켰고 갈변율을 감소시켰다. 저온저장 100일 후에 10일간 상온에 두었을 때도 비슷한 현상이 나타났다. Ca 엽면시비+IBA 관주 처리의 경우 대조구에 비해 과실경도를 유지시켰지만, 과실의 갈변과 부패율은 대조구와 비슷한 수치를 보여서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키토산 처리가 제주산 가을감자의 생육 및 저장중 체내성분변화 (The Effect of Chitosan Treatment on Growth, content of Sugars of Autumn Potatoes in Jeju Island)

  • 양국남;박용봉;김기택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01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 /
    • pp.65-66
    • /
    • 2001
  • 제주도의 감자재배면적은 전국의 30.6%를 차지하고 있으며 본도 제2의 소득작물로 자리잡고 있는데 최근 국내외적으로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관심이 고조됨에 따라 안전농산물에 대한 수요가 늘면서 유기농업자제를 이용한 고품질 안전 농산물을 생산하려는 시도가 늘어가고 있다. 이런 관점에서, 키토산을 \circled1토양처리 (1kg/a), \circled2키토산침지 (0.2%/30분), \circled3토양처 리+생육기처리 100배 (2회), \circled4토양처리+생육기처리 200배 (2회), \circled5생육기처리 100배 (2회), \circled6생육기처리+200배 (2회), \circled7무처리로 구분하여 시험하였다. 발아율은 대조구에 비해서 종서침지, 토양관주+생육기 200배처리, 생육기 200배처리한 것이 다소 높은 편이었고, 경장 경수 및 복지수는 시일이 경과할수록 많은 편이고 그 중에서 종서침지가 가장 양호한 편이었다. 그리고 10a당 총수량, 상서수량 및 설서수량(30g이하인 괴경)은 역시 종서침지, 토양관주+생육기 200배 (2회)처리 및 토양관주+생육기 100배처리 순서로 상서수량이 많은 편이었다. 처리별 상서수량은 종서침지한 것이 71%, 29%로 가장 많았고 토양관주+생육기 100배처리한 것이 대조구보다 많은 경향이었다(Table 1).

  • PDF

생장억제제 관주처리가 'Angel's Trumpet'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renching Treatment of Growth Retardants on Growth in Datura suaveolens 'Orange Star')

  • 김주형;김시동;이희두;김태중;윤태;민경범;백기엽
    • 화훼연구
    • /
    • 제17권4호
    • /
    • pp.231-236
    • /
    • 2009
  • 생장억제제 관주처리가 'Angel's Trumpet'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자 pacloblltrazol, ethephon, uniconazole 및 daminozide를 처리한 결과, ethephon을 제외하고는 생장억제제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초장이 단축되었다. 특히 생장억제제 중 uniconazole 처리시 초장과 초폭이 크게 단축되었으며 엽폭과 엽장이 작아졌고 꽃수가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꽃크기 역시 단축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개회소요일수가 단축되었으며 개회횟수가 크게 증가되는 결과를 볼 수 있었다, 그러나 ethephon은 반대의 경향을 보였으며, 초장과 초폭이 커졌으며 개화일수의 증가로 개회횟수가 적어짐을 볼 수 있었다. 전체적으로 볼 때 생장억제제 관주처리에 의한 'Angel's Trumpet' 왜화의 정도는 uniconazole > daminozide > paclobutrazol순으로 나타났다.

Effect of Application Method and Concentration of Plant Growth Retardants On Plant Quality of Potted Saxifraga rosacea Moench

  • Park, Yeon Hee;Kim, Yoon Jin;Jung, Hyun Hwan;Kim, Ki Sun
    • 화훼연구
    • /
    • 제19권3호
    • /
    • pp.127-138
    • /
    • 2011
  • 운간초의 분화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Kumoma'와 'Kumoma-Gusa' 두 품종의 생장과 개화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식물생장억제제 (PGRs) 4종을 처리하였다. 식물생장억제제 종류와 처리농도는 paclobutrazol (10, 20, 40, $80mg{\cdot}L^{-1}$), flurprimidol (5, 10, 20, $40mg{\cdot}L^{-1}$), daminozide (500, 1000, 2000, $4000mg{\cdot}L^{-1}$), chlormequat (50, 100, 200, $400mg{\cdot}L^{-1}$)이고 엽면살포와 토양관주 방법으로 처리하였다. Paclobutrazol $40mg{\cdot}L^{-1}$ 처리는 운간초의 두 품종에서 초장과 화경장을 줄이는데 효과적이었다. 'Kumoma' 품종에서, paclobutrazol $40mg{\cdot}L^{-1}$ 엽면살포와 토양관주 처리방법은 초장을 각각 12.6, 12.5 cm로, 화경장은 3.4, 3.3 cm로 줄일 수 있었다. 'Kumoma-Gusa' 품종에서는 paclobutrazol 토양관주는 처리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초장은 13.2-10.7 cm, 화경장은 3.9-2.0 cm까지 줄일 수 있었지만 꽃의 수는 대조구와 비교했을 때 현저하게 감소하여서 20개까지 감소하였다. Flurprimidol $20mg{\cdot}L^{-1}$ 스프레이와 토양관주 처리는 두 품종 모두 초장과 화경장을 줄일 수 있었다. 'Kumoma' 품종에서 flurprimidol $10mg{\cdot}L^{-1}$ 스프레이 또는 토양관주 처리는 개화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었고 대조구와 비교해 꽃의 수는 44.7개 이상, 출하 일수는 5일 정도 빨리 출하 할 수 있었다. 'Kumoma-Gusa' 품종에서 PGRs처리에 의한 초장과 화경장 억제효과가 가장 큰 것은 paclobutrazol $80mg{\cdot}L^{-1}$과 flurprimidol $40mg{\cdot}L^{-1}$ 이었고 paclobutrazol과 flurprimidol 스프레이와 토양관주 처리에서 각각, 초장은 10.7, 9.9 cm, 화경장은 2.0, 1.5 cm 로 생장 억제효과가 가장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flurprimidol $40mg{\cdot}L^{-1}$ 토양관주 처리에서 출하일수는 농도에 따라 3-13일 정도 대조구보다 늦어졌고 꽃의 수는 15.6개로 가장 적은 것을 관찰 할 수 있었다. 두 품종 모두에서 daminozide 처리는 초장과 화경장이 줄어들지 않았지만 'Kumoma' 품종에서는 대조구와 비교했을 때 꽃의 수가 증가하였다. Chlormequat 처리는 paclobutrazol 과 flurprimidol 처리와 비교했을 때 화경장 감소효과는 작았고 처리 식물의 잎은 다른 처리에 비해 연한 녹색을 보여주었다. 두 품종 모두에서 chlormequat 과 daminozide 처리는 생육과 개화 품질에 효과적으로 영향을 주지는 않았지만 꽃의 수는 모든 처리농도에서 41개 이상을 보여주었고, 'Kumoma-Gusa' 품종에 chlormequat 토양관주 처리는 최대 꽃의 수 63개를 볼 수 있었다. 이번 결과들은 paclobutrazol 과 flurprimidol 처리가 운간초 분화의 품질 향상을 위한 화경장의 생육을 조절하는 생장억제제로서 사용 될 수 있음을 보여 주었고, 'Kumoma' 품종에서는 paclobutrazol $40mg{\cdot}L^{-1}$ 스프레이는 생육특성을, flurprimidol $10mg{\cdot}L^{-1}$ 토양관주 방법은 개화관련 특성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생장억제제의 농도로 추천 될 수 있고, 'Kumoma-Gusa' 품종에서는 flurprimidol $20mg{\cdot}L^{-1}$ 스프레이와 flurprimidol $5mg{\cdot}L^{-1}$ 토양관주 방법이 운간초 분화의 생육특성과 개화품질을 향상시키는 생장억제제의 농도로 추천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