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Chitosan Treatment on Growth, content of Sugars of Autumn Potatoes in Jeju Island

키토산 처리가 제주산 가을감자의 생육 및 저장중 체내성분변화

  • Published : 2001.04.01

Abstract

제주도의 감자재배면적은 전국의 30.6%를 차지하고 있으며 본도 제2의 소득작물로 자리잡고 있는데 최근 국내외적으로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관심이 고조됨에 따라 안전농산물에 대한 수요가 늘면서 유기농업자제를 이용한 고품질 안전 농산물을 생산하려는 시도가 늘어가고 있다. 이런 관점에서, 키토산을 \circled1토양처리 (1kg/a), \circled2키토산침지 (0.2%/30분), \circled3토양처 리+생육기처리 100배 (2회), \circled4토양처리+생육기처리 200배 (2회), \circled5생육기처리 100배 (2회), \circled6생육기처리+200배 (2회), \circled7무처리로 구분하여 시험하였다. 발아율은 대조구에 비해서 종서침지, 토양관주+생육기 200배처리, 생육기 200배처리한 것이 다소 높은 편이었고, 경장 경수 및 복지수는 시일이 경과할수록 많은 편이고 그 중에서 종서침지가 가장 양호한 편이었다. 그리고 10a당 총수량, 상서수량 및 설서수량(30g이하인 괴경)은 역시 종서침지, 토양관주+생육기 200배 (2회)처리 및 토양관주+생육기 100배처리 순서로 상서수량이 많은 편이었다. 처리별 상서수량은 종서침지한 것이 71%, 29%로 가장 많았고 토양관주+생육기 100배처리한 것이 대조구보다 많은 경향이었다(Table 1).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