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공학교과과정

검색결과 346건 처리시간 0.032초

비교과과정 운영 사례 조사 및 운영방안 도출에 관한 연구 (A Case Study on Management Systems for Non-curriculum Courses to Develop a Proper Management System for Non-curriculum Courses)

  • 최진영;신판석;박윤국;김도영;박종원;윤구영;김우년
    • 공학교육연구
    • /
    • 제14권4호
    • /
    • pp.69-77
    • /
    • 2011
  • 공학인증 운영 프로그램에서는 프로그램 학습성과를 달성하기 위한 도구로서 교과과정과 비교과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교과과정의 경우 프로그램 소속 학생들이 많은 시간을 할애한다는 점에서 이를 통한 프로그램 학습성과가 달성되기를 기대한다. 하지만, 교과과정만으로 이를 달성하기는 어려운 일이다. 따라서 비교과과정 운영을 통해 교과과정에서 달성도가 떨어지는 학습성과의 달성도를 높이려는 움직임들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프로그램 학습성과 운영 및 평가 시 교과과정만으로는 달성하기 어려운 소프트 스킬에 대한 대체로서 비교과과정 운영에 대한 사례를 조사 분석하였다. 국내 40개 인증 프로그램의 비교과과정 운영 현황을 조사한 비교과과정 운영 사례를 바탕으로 총 30개의 비교과과정을 발굴 정리하고 각 과정별 학습성과 평가단위와 가중치를 제안하였다.

교육과정에 따른 중등 수학과 교과서에서 공학 도구 활용의 변화 분석 (The Analysis on Utilization Trend of the Technology in Secondary Mathematics Textbooks Based on the $6^{th}$, $7^{th}$ and 2007 Revised Curriculum in Korea)

  • 김미화;손홍찬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5권4호
    • /
    • pp.975-994
    • /
    • 2013
  • 본고는 제6차, 제7차 및 2007 개정 교육과정의 중등 수학 교과서 180권에 나타난 공학 도구의 활용 현황을 내용 영역, 활용된 공학 도구 종류, 활용 방식의 관점에서 분석하고 시사점을 찾고자 한 것이다. 분석 결과 제6차 교과서에서는 주로 대수 및 해석 영역에서 계산기나 프로그래밍 언어와 같은 간단한 공학 도구의 기능 소개 및 보조 도구형태로 활용되었고, 그 빈도수가 작았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제7차와 2007 개정 교육과정에 들어오면서 대수, 해석, 기하 및 통계 내용 영역에서 비교적 고르게 다양한 공학 도구가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제7차에서는 인터넷의 활용이 두드러지게 증가하였다가 2007 개정 교과서에서는 많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제6차에서는 의도된 탐구 유형의 활용 장면이 거의 없었지만, 제7차 및 2007 개정 교과서에서는 그와 같은 활용 장면이 증가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학생중심의 탐구 학습 유형의 활용 장면은 매우 적어 앞으로 늘릴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스토리텔링 수학 교과서에서 공학적 도구의 활용과 미분적분학 단원에 관한 개발 사례 (A Case Study of Perceptions on Storytelling Mathematics Textbooks with Computer Algebra System)

  • 이상구;신준국;김경원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8권1호
    • /
    • pp.65-79
    • /
    • 2014
  • 스토리텔링 기법을 수학 교과서에 적용할 때, 스토리를 전개하는 방법에 따라 늘어나는 학습시간을 효율적으로 조절하는 것은 중요한 문제이다. 특히 고교과정의 수학은 중학교 과정과 비교하여 소화하여야 할 수학적 지식의 양과 질이 차별화 되므로, 각 단원에 적절한 스토리텔링 기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미분적분학 단원을 중심으로, 공학적 도구를 활용하여 수학 문제 풀이에 요구되는 계산 시간을 줄여 개념학습 시간을 충분하게 확보하는 스토리텔링 교과서 개발 사례를 제시한다.

교과목 및 프로그램 학습성과 평가의 전략적 접근 (A Study of Strategic Approach for Course and Program Outcomes Assessment)

  • 김정식
    • 공학교육연구
    • /
    • 제10권2호
    • /
    • pp.73-86
    • /
    • 2007
  • 이 연구의 목적은 인증평가 시스템과 공학교육의 개선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연구이다. 이 목적을 위하여 공학교육의 현 상황을 돌아보고, 대학 현장의 교육환경과 출판물, 연구 논문 등을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우리나라의 공학교육 평가 시스템에서 개선점을 제안하는 것이다. 우리나라에서 공학교육인증이 시행된 지 벌써 5년이 지났다. 공학교육인증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는 학습성과의 평가이다. 학습성과는 프로그램 학습성과 속에 교과목의 학습성과를 평가하는 것이 필요하다. 프로그램의 질은 학생들이 그 프로그램을 이수하고 나서 어떤 능력이 생겼는가를 판단하는 측정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프로그램의 학습성과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그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있는 교과목의 학습성과를 평가할 수 있어야 한다. 이것은 과정중심의 교과과정 평가이기 보다는 결과중심의 교과과정을 중시하는 공학교육의 특수한 성격에 따라 생긴 용어이다. 프로그램의 평가는 개인별 학생의 평가는 아니지만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학생의 능력을 평가하는 것이 타당한 평가가 된다. 이러한 평가 전략은 교육평가의 타당도, 신뢰도, 객관도를 적절히 갖춘 평가도구를 선택하는 새로운 평가 접근법이다.

기계.시스템 디자인 공학 교과과정 개발을 위한 설문조사 사례 연구 (A Case Study and Survey for Development of New Curriculum and Learning Method for Mechanical and System Design Engineering)

  • 한병기;최성준;김병주;조성산;김정수;지해성;박승호
    • 공학교육연구
    • /
    • 제7권2호
    • /
    • pp.40-50
    • /
    • 2004
  • 최근 홍익대학교 기계 시스템디자인공학과에서는 급변하는 시대 조류에 부응하도록 교과목 체계를 검증하고, 신규 교과목, 교수-학습 방법 및 교과과정을 개발하며, 산업체에서 필요로 하는 기술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전문가, 졸업생 및 재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 설문조사에 근거하여 산업체 중역과 현장 실무자가 필요로 하는 인재를 양성하는 동시에 재학생들의 요구도 충족할 수 있는 신규 교과목과 교수-학습 방법을 개발하고 적합한 교과목 체계를 검증하고자 한다. 재학생, 졸업생 및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분석한 결과, 신규 교과목 및 교수-학습 방법은 다양한 실습 경험 기회를 제공하고 언어 소통 능력을 교육하며 첨단/연계분야에 적합한 학과목을 개설함으로써 산업체에서 요구하는 인재를 양성하고, 재학생에게는 동기를 부여할 수 있는 방향으로 개발되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체 수요에 기반한 산업의료원 교과목 운영 사례 (Case Study on Engineering Clinic Operation Based on Industry Needs)

  • 유윤섭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6권1호
    • /
    • pp.51-55
    • /
    • 2014
  • 산업체 수요에 기반한 공학혁신형 산업의료원 교과목과 운영 사례에 대해서 소개한다. 산업의료원 교과목은 산업체에서 제공한 애로기술 문제를 교수와 학생이 산업의료원 교과목 수업을 통해서 해결한다. 산업체는 애로기술을 제시하고 담당교수는 제시된 애로기술을 해결하는 강의 계획을 수립해서 학생들과 함께 산업체 애로기술을 해결하는 과정을 수행하고 학생들은 그것을 통해서 현장적응력을 키웠다. 학생들은 교과목 운영 목적 인식 정도, 수행기간의 적절성, 커뮤니케이션의 원활성, 전공지식의 이해 및 활용에 기여, 문제해결능력, 협업 학습 능력, 진로선택의 기회, 교과목 추천 등에 높은 평가를 하였다. 산업의료원은 한 학기 과정보다는 두 학기로 운영한 경우가 학생들의 만족도가 높게 평가된다. 그 이유는 산업의료원에서 제시하는 애로기술 문제가 한 학기에 해결책을 찾기 어렵기 때문이다. 산업의료원 교과목을 통해서 산업체에 취업연계를 가질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