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탄성 해석

Search Result 1,218,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Robust Aeroelastic Analysis considering a Structural Uncertainty (구조 불확도를 고려한 강건 공탄성 해석)

  • Bae, Jae-Sung;Hwang, Jai-Hyuk;Ko, Seung-Hee;Byun, Kwan-Hwa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43 no.9
    • /
    • pp.781-786
    • /
    • 2015
  • An aeroelastic stability can be degraded due to an aeroelastic modeling error and a structural uncertain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edict the aeroelastic stability boundary considering an aeroelastic modeling error and a structural uncertainty. Robust aeroelastic analysis was proposed to predict the aeroelastic stability boundary considering these error and uncertainty. In the present study, the robust aeroelastic modeling and analysis were performed by using the ${\mu}$ analysis technique and the aeroelastic model of the control fin with modal approach and MSA. The computer program for the robust aeroelastic analysis was developed and verified by comparing its results with those of conventional aeroelastic analysis methods.

Analysis of the Flow-Induced Stress Waves in Lavered Structures (적층구조물내의 유체유발 탄성응력파 해석)

  • 이준근;이우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5.04a
    • /
    • pp.328-333
    • /
    • 1995
  • 본 연구에서는 난류경계층 압력유동을 받는 구조물의 탄성응력파의 전파특성을 파동역할을 이용하여 해석하였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직각좌표계를 이용하여 난류운동이 동일한 한 방향으로 흐르는 경우에 대해 탄성응력파의 전파특성을 해석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유체가 구조물의 표면에 수직으로 입사하여 방사형으로 흘러나갈 경우에 발생하는 탄성응력파의 전파 특성을 극좌표계를 이용하여 해석하였다. 또한 기초 구조물의 깊이방향으로 전파되는 탄성응력파를 감소시키기 위해 기초구조물의 표면에 접착시키는 탄성중합체층을 설계하는데 보다 효율적으로 응용할 수 있는 단순화된 1자유도계 모델을 유도하였다.

  • PDF

Study on the Aeroservoelastic Stability Analysis with ZAERO (ZAERO를 활용한 서보공력탄성학적 안정성 해석기법 연구)

  • Rho, Hong-Gi;Bae, Jae-Sung;Hwang, Jai-Hyuk
    • Journal of Aerospace System Engineering
    • /
    • v.14 no.5
    • /
    • pp.1-8
    • /
    • 2020
  • The aeroservoelastic analysis that deals with the interactions of the inertial, elastic, and aerodynamic forces and the influence of the control system have been performed. MSC Nastran was used for the free vibration analysis of the structure model as the pre-analysis. ZAERO was used to calculate the unsteady aerodynamic forces. The unsteady aerodynamic forces were verified by comparing with Doublet Hybrid Method. Karpel's Minimum-State Approximation method was used for approximation of the aerodynamic forces to the Laplace domain in the frequency domain. The aeroservoelastic state-space equation was obtained by combining the aeroelastic equation with the actuator dynamics. The analysis of aeroservoelastic stability concerning the elevator input of the high aspect ratio model was performed. The root-locus method and time-integration method were used for the analysis of aeroservoelastic in frequency and time domain.

Nonlinear Aeroelastic Analysis of a Wing with Control Surface Freeplay in Subsonic/Transonic Regions (조종면 유격이 있는 날개의 아음속 및 천음속에서의 비선형 공탄성 해석)

  • Kim, Kyung-Seok;Kim, Jong-Yun;Yoo, Jae-Han;Bae, Jae-Sung;Lee, I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35 no.4
    • /
    • pp.295-301
    • /
    • 2007
  • The aeroelastic characteristics of a wing with control surface freeplay are investigated. The transonic small disturbance equation is used for unsteady aerodynamic forces in subsonic/transonic region. The fictitious mass method is introduced to apply a modal approach to nonlinear structural models. Nonlinear aeroelastic time responses are calculated by the coupled time integration method. Using these methods, an efficient aeroelastic analysis is achieved for aerodynamic and structural nonlinearities simultaneously. The effects of the aerodynamic nonlinearity, initial flap amplitude, and freeplay magnitude in aeroelastic characteristics a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Aeroservoelastic Modeling and Gust Response Analysis of Flexible Wing for Gust Response Alleviation (유연날개 돌풍응답경감제어를 위한 서보공탄성 모델링 및 돌풍응답해석)

  • Kim, Sung-Chan;Hong, Chang-Ho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10.04a
    • /
    • pp.488-491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돌풍응답경감제어 효과 검증을 위한 풍동시험에 사용될 유연날개에 대해 공탄성 모델, 조종면 작동기 모델, 돌풍 모델 등으로 구성되는 서보공탄성 모델링을 수행하였으며, 이에 대한 연속돌풍 응답해석을 수행하여 상용 Solver를 이용한 해석결과와 비교하여 구성된 서보공탄성 모델을 검증하였다. 또한, 유연날개의 돌풍응답을 경감하는 조종면 제어기를 설계하고, 이에 대한 수치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돌풍응답 경감효과를 검증하였다.

  • PDF

Failure mode prediction for steel cable-stayed bridges using modified inelastic eigenvalue analysis (수정된 비탄성 고유치해석을 이용한 강사장교의 파괴모드 예측)

  • Yoo, Hoon;Na, Ho-Sung;Choi, Dong-Ho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11.04a
    • /
    • pp.587-588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강사장교의 극한강도 및 파괴모드를 간략하게 예측할 수 있는 간단하고 빠른 해석법을 제안하였다. 기존의 비탄성 고유치해석의 기본 개념을 바탕으로 기둥 요소에 대한 수렴 기준을 보였고, 사장교 구조 시스템의 거더 및 주탑 요소에서 보-기둥 거동을 고려하기 위한 새로운 수렴 기준을 제시하였다. 제시된 방법의 타당성 검증을 위하여 중앙경간 길이와 거더의 높이를 변화시킨 강사장교 모델에 대하여 제안된 비탄성 고유치 해석과 비선형 탄소성 해석 결과를 비교하였다. 해석 결과, 제안된 수렴 기준을 적용한 비탄성 고유치 해석은 기존에 기둥의 수렴기준을 적용했던 방법에 비하여 강사장교의 극한강도를 보다 정확히 예측할 수 있었다. 또한, 제안된 방법은 강사장교의 파괴모드 역시 근사하게 모사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Comparison Study of Elastic Catenary and Elastic Parabolic Cable Elements (탄성현수선 및 탄성 포물선 케이블 요소의 비교연구)

  • Kim, Dong-Yeong;Song, Yo-Han;Kim, Moon-Young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11.04a
    • /
    • pp.224-227
    • /
    • 2011
  • 케이블구조의 기하학적 비선형해석을 위한 탄성포물선 케이블요소를 제시한다. 탄성현수선 케이블요소에 대한 적합조건과 접선강도행렬을 토대로 장력이 충분히 도입되어 자중에 의한 처짐 형상이 포물선에 가깝다는 가정 하에서 무응력길이를 포함하는 탄성포물선 케이블요소의 비선형 힘-변형관계식과 접선강도 행렬을 구한다. 또한 현(chord)방향으로 두 케이블요소의 등가 공칭장력식을 정의한다. 탄성포물선 케이블 요소의 수치적인 정확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경사진 케이블을 탄성현수선과 탄성포물선 케이블요소로 각각 모델링하여 매개변수 해석을 수행하고 비교, 분석한 결과를 제시한다.

  • PDF

Sequential multiscale analysis of FCC nanofilm considering hyperelastic effect (비선형 탄성효과를 고려한 FCC 나노박막의 순차적 멀티스케일 해석)

  • Kim, Won-Bae;Cho, Maeng-Hyo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11.04a
    • /
    • pp.253-256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표면효과와 비선형 탄성효과를 고려한 FCC 나노박막의 순차적 멀티스케일 해석 모델을 제시한다. 표면에서의 구성방정식은 표면응력과 표면탄성계수를 이용하여 선형으로 표시되며, 표면효과를 나타내기 위한 표면물성들은 EAM 포텐셜을 이용한 원자적 계산 방법으로 계산된다. 두께가 얇은 나노박막은 표면응력으로 인하여 면내 방향으로 수축 또는 인장의 변형이 발생하게 된다. 나노박막의 평형상태에서의 변형율은 두께가 얇은 박막의 경우 재료가 선형 탄성 영역을 벗어나는 값을 가지는 경우가 많으므로 나노박막의 해석시 벌크 영역의 비선형 탄성 효과를 고려해야 한다. 이러한 비선형 탄성 효과를 고려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FCC 구조를 가지는 금속의 비선형 탄성 모델을 제시하고, EAM 포텐셜로 계산된 응력과 탄성 계수를 이용하여 매칭 기법을 통하여 비선형 탄성 모델의 계수들을 결정한다. 또한 Cauchy-Born Rule 모델과 분자동역학 전산모사를 통하여 본 연구에서 제안된 비선형 탄성 모델에 대한 검증을 수행한다.

  • PDF

Inelastic Buckling Analysis of Partially Restrained Frame (유연 뼈대 구조물의 비탄성 좌굴 해석)

  • Kim Seung Eock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1996.10a
    • /
    • pp.19-28
    • /
    • 1996
  • 본 논문에서는 유연 연결부를 갖고 있는 이차원 구조물의 비탄성 좌굴해석을 연구하였다. 본 해석을 통하여 구조물의 기하학적, 및 재료적 비선형 뿐만 아니라 유연 연결부의 비선형 효과가 구조물의 거동과 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할 수 있다. 본 해석 결과는 실험 결과와 비교하였으며 예제해석도 수행하였다.

  • PDF

Dynamic Aeroelastic Characteristics of an All-Movable Canard with Oscillating Flap Used in UAV (플랩이 있는 무인기 전운동 카나드의 동적공탄성 특성)

  • Kim, Dong-Hyun;Koo, Kyo-Nam;Lee, In;Kim, Sung-Jun;Kim, Sung-Chan;Lee, Jung-Jin;Choi, Ik-Hy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32 no.6
    • /
    • pp.56-63
    • /
    • 2004
  • In this study, dynamic aeroelastic analyses of the canard with oscillating flap are conducted considering the effect of aerodynamic compressibility. The canard model considered herein is an all-movable type with a pitching axis on a canard-rotor-wing aircraft which was considered as one of the major UAV candidates under developing in Korea. The equivalent structural model is constructed based on the initial design data by the Korea smart UAV development center. Both the frequency and the time-domain aeroelastic analyses have been applied to practically conduct parametric studies on the effects of equivalent torsional stiffness. In the case of all-movable control surface with oscillating flap, the equivalent rotational stiffness of the pitch axes are important design parameters. The parametric results for the aeroelastic instability are practically presen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