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공사진도관리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31초

내역물량 측정에 의한 건설공사진도율 산정시스템 (Construction Progress Measurement System by tracking the Work-done Performance)

  • 최윤기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4권3호
    • /
    • pp.137-145
    • /
    • 2003
  • 건설공사관리체계는 실적자료를 바탕으로 운영되어야 하며, 공사실적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합리적인 건설공사진도 율 측정기준 및 그에 따른 진도 율 산정방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건설공사관리체계 구축에 필수적인 건설공사진도율 산정시스템 개발 및 그 시스템의 합리적인 운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 방법으로서 분할된 단위작업들은 공사 진행에 따라 집행된 내역물량을 기준으로, 상위레벨의 작업범위에 대하여는 실행기성(earned value)을 바탕으로 건설공사의 진도 율을 산정 할 수 있는 시스템(construction progress measurement system; CPMS)을 제시하였다 일반 PC의 Window환경에서 제공되는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interface) 기능인 ODBC(Open DataBase Connectivity)는 상이한 프로그램간의 데이터 교환을 통해 정보공유를 가능케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건설공사진도 율 산정 시스템은 ODBC를 통해, 상용 일정관리프로그램을 활용해서 생성된 데이터를 그대로 이용하고, 시스템 내에서 생성된 데이터는 일정관리프로그램에 갱신(update)된 정보로 제공된다. 제안된 건설공사진도 율 측정시스템의 실용화를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진도 율 측정에 의한 수치 값을 분석하여 향후 공사의 전망 등을 예측할 수 있어야 하는데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단위작업 물량 달성율과 투입 노무량을 이용한 진도율 산정방법에 관한 연구 - 공동주택공사의 골조공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rogress Measurement Method using Percent Complete of Work and Labor Productivity - Focusing on Structural Works of Apartment Construction -)

  • 최현하;이준복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6권1호
    • /
    • pp.212-219
    • /
    • 2005
  • 건설공사에서 공정관리는 중요하다. 특히 공동주택의 경우 입주일이라는 절대공기의 준수가 매우 중요하다. 이와 같은 공정관리를 위해 공동주택공사에서는 공종별 진도관리가 필요하며, 이는 진도율 산정을 통하여 일정계산 및 기성 산정의 척도로서 사용되고 있다. 현재 국내의 공동주택 건설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진도율 산정방식은 경험과 개략적인 수치에 의한 판단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아공정의 계획과 공정의 지연시 합리적 만회 대책의 수립이 어려움등 한계를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단위작업에서의 물량 달성율과 투입 노무량을 이용한 진도율 산정방식을 제시하고 있다. 즉, 단위작업 진도율은 단위작업에서 수집된 투입 노무량을 층단위의 전체 투입노무량 중의 가중치로 환산하고 이를 물량달성도($\%$)와 곱하여 산출된다. 같은 방법으로 본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작업분류체계의 상위단계인 층 진도율, 동 진도율을 산출하게 된다 공동주택공사의 골조공사를 대상으로 단위작업, 층, 동 진도율 산정방법을 예시로서 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진도율은 향후 단위작업의 노무생산성과 달성물량에 대한 실적데이터의 축적이 이루어질 경우 보다 합리적이고 과학적인 공정관리의 근간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건설진도율 산정을 위한 진도관리단위에 관한 연구 (Standardized Progress Measurement Package)

  • 정영수;강승희;진상윤;김예상;정문헌;박순찬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4년도 제5회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565-570
    • /
    • 2004
  • 건설진도율은 프로젝트 성과 측정 및 진행관리의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로서 이용되고 있으나, 작업 진도 산출기준 및 방법이 현장 상황에 따라 다르게 운영되기 때문에 진도 산출의 정확성이 각 현장 특성에 크게 의존되고 있는 실정이다. 즉, 현장별 공사 진행 상태 비교 시 상당한 오류-가 발생될 수 있으며, 그 신뢰도 역시 매우 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모든 현장의 공사 진행 상태를 같은 기준으로 파악이 가능한 전사 차원으로서의 공통 기준인 진도관리단위 및 평가요소를 정의하며, 이와 더불어 진도관리단위 적정성 평가 방안 및 진도산정모델의 프로세스를 제안하고자 한다.

  • PDF

철도시설공사의 현장 공정관리를 위한 원격 영상 운영체계 개발 (Development of Telepresence System for Schedule Management in Railway Construction Project)

  • 강인석;김현승;박진정;문현석;신민호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3권1호
    • /
    • pp.23-30
    • /
    • 2010
  • 4D CAD에 의한 건설공사 공정관리시스템은 가상건설기법의 그래픽에 의한 계획일정위주 공정관리에 중점을 두고 있으므로 실제 현장상황의 판단에 의한 진도관리가 어려운부분이 있다. 본 연구는 4D CAD기반의 공정관리에 현장 웹카메라를 갖춘 Telepresence 기법을 이용한 원격현장 실시간 진도관리 모니터링체계를 연동하는 공정관기시스템 개발을 시도하고 있다. 개발된 시스템은 철도시설공사에 적용하여 활용성을 검증하였으며, 4D CAD에 의한 계획 공정현황과 웹카메라에 의한 실시간 실제현장 영상을 비교하여 시각적 진도관리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건설공사의 진도율 산정 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ogress measurement method of a construction project)

  • 박세정;김수용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3년도 학술대회지
    • /
    • pp.450-453
    • /
    • 2003
  • 건선 사업에 일어서 초기 계획과 기성의 주기적이고 반복적인 비교 검토는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정확한 현장 실적자료가 제공되어야하고, 작업량을 객관적으로 계량화하는 기준 및 진행상황을 정확히 반영한 진도율 산정이 필요하다. 이러한 진도율 산정을 위해서는 전체 사업이 명확한 작업범위를 갖는 단위작업으로 분할되어, 각 단위 작업에 필요한 정보가 할당되어야 한다. 국내 건설 사업에서와 같이 내역중심의 사업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하에서는 각 단위작업의 물량, 공사비 둥을 포함한 비용 정보 뿐만 아니라 일정 정보를 반영한 진도율 산정 방법이 필수적이며, 본 연구에서는 두 가지 정보에 의한 가중 진도율 산정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대표공종의 선정을 통한 약식 기성 산정 방법에 관한 연구 - 자연형 하천공사를 중심으로 (A Study on Simplified Payment Method by Progress Measurement for Specified Activity - Focusing on Construction of Eco-River)

  • 이정윤;우성권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1권1호
    • /
    • pp.160-169
    • /
    • 2010
  • 내역서를 기반으로 하는 국내 공공공사의 기성 산정 방법은 작업진도의 산출과 무관한 기성고 산정과 많은 양의 서류작성과 복잡한 절차 등의 많은 문제점이 있다. 국가계약법에서 정식과 약식 기성 산정 방법으로 구분되며, 이중에서 약식 기성 산정 방법은 절차와 신청서류를 간소화하여 이와 같은 문제점을 상당 부분 해결 가능하지만 이의 활용이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작업분류체계의 수립과 이를 기반으로 선정된 대표공종의 진도율을 이용하여 기성을 산정하는 방법을 제안하였으며, 자연형 하천공사의 실적공사 데이터를 수집하여 이를 적용을 통한 국내 공공공사의 기성 산정 방법과의 비교를 통해, 기성 산정을 위한 관리항목의 감소로 인한 업무 부담의 감소와 빠르고 효과적인 기성 산정을 통한 업무효율의 증가 등 그 효율성을 검증하였다. 이러한 기성 산정 방법론의 도입은 기존 방법의 문제점 해결을 통한 업무효율의 증가뿐만 아니라 향후 공공공사의 사업관리에 있어서 그 효율성이 검증된 공정-공사비 통합관리의 기반을 다지는 데 있어 큰 의미가 있다.

UML을 이용한 실시간 진도관리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로봇 크레인 기반 철골공사를 중심으로 -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Real-Time Progress Management System Using UML (Unified Modeling Language) - The Focus on Steel Structural Construction -)

  • 박정로;김경환;김재준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09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학계
    • /
    • pp.163-166
    • /
    • 2009
  • All sorts of technique for schedule progress management is being developed recently, These can change and develop the abstractive concept model to a detailed model that describes the visual 3D image about a schedule plan. but, this technique is troublesome, because this requires the handwork by means of connection between 3D-CAD and scheduling Program. In this study, the process of real-time schedule progress control system using the integrated database by 3D-CAD object information system and schedule module is presented. This study present the process of a schedule progress management using UML, and the process of real-time schedule progress management using RFID system. Through this study, we want to realize the rapid generation of estimated schedule information and to simulate and analyze actual schedule information by real-time.

  • PDF

BIM 기반의 시공단계 견적데이터를 활용한 일일 진도관리모델 구축 방안 (A Method to Build Daily Progress Management Model based on BIM Estimate Data in Construction Phase)

  • 정준호;진상윤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2권5호
    • /
    • pp.23-34
    • /
    • 2011
  • 건설현장에서 정확한 진도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비용정보와 일정정보를 결합한 통합정보가 요구되며 프로젝트의 성과측정을 위한 기초자료가 된다. 그러나 국내 건설공사는 비용과 일정정보를 각각 관리함으로써 객관적인 성과측정이 어려우며 내역서상의 물량을 액티비티에 분개하는 작업을 통해 생산성을 감소시킨다. 한편, BIM을 활용한 연구가 진행되면서 BIM을 통해 보다 효율적으로 진도관리하는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며 현장에서는 일일 작업관리에 대한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건설 산업의 흐름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BIM 모델의 위치정보와 BIM기반의 견적데이터를 활용하여 3가지 타입의 진도관리단위를 생성하고 이를 통해 일일 진도율 및 일일 기성액을 파악하는 정보모텔을 제시하고자 한다.

비용-일정통합기반 진도관리 개선방안 (Improvement of Cost-Schedule integration based Progress Management through PMIS)

  • 윤유상;서상욱;장규성;최장식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4권5호
    • /
    • pp.144-152
    • /
    • 2013
  • 최근 건설프로젝트가 대형화되면서 건설사들은 PMIS(Project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를 이용하여 대부분의 관리업무를 수행한다. 특히, 건설공사 수행과정에서 가장 빈번한 정보입출력이 발생하는 진도관리 기능은 PMIS의 여러 기능 중 가장 효율적으로 운영되어야 한다. 그러나 PMIS 내에서 입력되는 정보가 대부분 중복입력 없이 운영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진도관리를 위한 데이터는 비용과 일정 정보의 개별 입력을 통해 관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물가상승, 설계변경 등에 의해 비용과 일정이 변경되는 사항에 대한 정보가 연계되지 못하여 진도측정의 부정확성과 PMIS에서 관리해야할 데이터의 증가를 유발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진도측정방법의 개선과 이를 기반으로 한 PMIS 진도관리 모듈의 구현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수량산출정보 기반의 비용-일정 통합 진도측정방법과 비용-일정 통합관리에 필요한 PMIS 공통관리항목을 기반으로 한 PMIS 진도관리 개선 모듈을 제시하고자 한다.

진도율 산정을 위한 측정 단위 도출 방안에 관한 연구 (A General ion Method of Measurement Units for Performance Tracking)

  • 윤수원;진상윤;김예상;정영수;박성수;박순찬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3년도 학술대회지
    • /
    • pp.521-524
    • /
    • 2003
  • 최근 현장에서는 공사관리의 효율화를 위한 여러 가지 공사관리 시스템을 적용하고 있으며, 이를 통하여 현장의 실적자료를 수집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실적자료의 바탕이 되는 현장 데이터는 객관적 수집 또는 기준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주관적 판단 또는 측정자별로 상이한 기준에 의해 이루어져 각 현장별로 큰 차이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최근 모바일 기술의 발전을 활용한 현장의 데이터 수집을 위한 여러 가지 방안이 연구되고 있으며, 데이터의 체계화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공종별 특성에 따른 진도 측정 단위 도출 방안을 제안하고, MS Access를 활용한 Prototype의 진도 측정단위 생성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마지막으로, 제안된 도출 방안과 시스템 및 체계는 측정된 데이터의 객관성 및 정확성을 높임으로서, 현장별로 표준화된 진도측정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 PDF